"영양 집중 지원하면 코로나19 중증 환자 사망률 40% 낮춰"

분당서울대병원 연구진 분석…유럽임상영양대사학회 저널에 게재

 코로나19 중증 환자에게 영양을 집중 지원하면 사망률이 40%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오탁규 교수팀(송인애 교수, 이경화 약사)은 성인 코로나19 중증 환자를 수용한 각 병원의 영양집중지원팀(NST) 운영 여부와 환자 사망률을 분석했다.

 분석 대상은 2020년 10월∼2021년 12월 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한 중증 환자 1만3천여명으로, 이 가운데 NST를 운영하는 병원에 입원한 환자는 1만103명, 운영하지 않는 병원에 입원한 환자는 3천명이었다.

 NST는 영양 불균형 환자를 선별하고 상태를 평가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영양을 공급하는 팀으로, 의사·간호사·약사·영양사로 구성된다. 2014년 관련 수가(酬價)제도가 신설됨에 따라 대부분의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서 NST를 운영하고 있다.

 송인애 교수는 "NST는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필요한 영양을 제공해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며 "이번 연구는 NST가 실제로 환자의 생존율을 개선할 수 있음 보고한 최초의 연구"라고 말했다.

 오탁규 교수는 "수가가 너무 낮아 NST 운영이 어려운 병원이 많다"며 "중증도 높은 환자의 사망률을 낮추는 데 NST의 효과가 입증된 만큼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임상영양대사학회의 공식 저널인 '임상영양학'(Clinical Nutrition)에 게재됐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생존율, 마음에 달려…긍정적 태도 따라 4.63배 차이"
말기 암 환자의 생존율은 환자가 삶에 대해 어떤 마음을 먹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긍정적인 마음으로 문제 상황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가 있는지와 우울증 여부에 따라 생존율이 4.63배 차이가 났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교육인재개발실 윤제연 교수 연구팀은 생존 기간이 1년 이내로 예측된 암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삶에 대한 긍정적 대처(Proactive Positivity)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런 결과를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긍정적 대처란 환자가 위기 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무너지지 않고 삶의 방향을 주체적으로 재정비하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를 칭한다.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 의미로 재해석해 수용하고,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적극적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실천할 때 높다고 평가된다. 연구팀은 긍정적 대처 능력의 높고 낮음과 우울증 유무에 따라 환자들을 4개 그룹으로 나눈 뒤 이들의 1년 생존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긍정적 대처 능력이 낮고 우울증이 동반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사망 위험이 4.63배 높았다. 반면 긍정적 대처 능력이 높은 환자는 우울증 유무에 따른 사망 위험의 차이가 없었다. 즉,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