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54% "경기도서 태어나지 않았지만 살다보니 고향 같아"

경기도 사회조사…아파트주민·여성·60대 이상에서 '고향 인식' 높아

 "경기도에서 태어나서 대학 생활과 군 복무 시절을 제외하고 50년 정도 살고 있지만, 평소 경기도를 '고향'이란 개념으로 생각해본 적이 있나 싶어요. 지방도, 서울도 아닌 수도권으로 불리잖아요.

 하지만 명절을 맞아 고향을 찾아 '민족 대이동'을 할 때면 '고향 경기도'를 다시 생각하곤 합니다."

 경기 안성이 고향인 강모(59·수원 거주) 씨가 설 명절을 앞두고 '고향'에 대한 질문에 이렇게 답변했다.

 국내 인구의 27%가 거주하는 경기도에서 도민들의 정서적 소속감은 어느 정도일까.

 9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도내 3만1천740가구 가구 내 15세 이상 6만2천25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사회조사'에서 정주의식 및 거주지 소속감에 대해서도 조사를 진행했다.

[경기도 자료. 재판매 및 DB 금지]

 그 다음으로 '태어나지 않아서 고향 같지 않다' 28.5%, '태어나서 고향이다' 15.3%, '태어났으나 고향 같지 않다' 2.0% 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니 '태어나지는 않았지만 살다 보니 고향 같다'는 응답은 아파트 거주자(60.0%), 여성(56.6%), 60세 이상(70.2%)에서 높았다.

 2년 전인 2021년 조사와 비교해 '고향 같다'는 2.4%포인트 줄고 '고향 같지 않다'는 2.5%포인트 늘었다.

[경기도 자료. 재판매 및 DB 금지]

 '현재 살고 있는 시군에 대해 어느 정도의 소속감을 느끼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69.7%가 '소속감이 있다'고, 30.3%가 '소속감이 없다'고 답했다. 이는 2021년 조사와 비교해 '소속감이 있다'는 응답이 2.2%포인트 낮아졌다.

 '향후 10년 후 현재 살고 있는 경기도에서 거주하고 싶은가'를 묻는 항목에서는 71.3%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이는 2021년 조사 때보다 3.8%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향후 10년 후 현재 살고 있는 시군에 거주하고 싶은가'라는 질문에는 62.8%가 '그렇다'고 응답했는데, 이 역시 2021년 조사 때보다 3.9%포인트 오른 수치다.

 이밖에 '거주지를 선택할 고려할 사항'으로는 '직장(직업) 및 취업'이 32.1%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편의시설' 16.1%. '경제적 여건' 13.1%, '경제적 가치 상승' 11.0% 등의 순으로 꼽았다.

 현재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보면, 주택 만족 비율은 53.5%, 기반시설 만족 비율은 54.6%, 주거지역 내 주차장 만족 비율은 38.6%로 조사됐다.

 2021년과 비교해 주택은 10.2%포인트, 기반시설은 7.7%포인트, 주차장은 6.0%포인트 각각 높아졌다.

[경기도 자료.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