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트로겐 노출 기간 짧으면 치매 위험 높아질수도"

 여성 호르몬 에스트로겐 노출 기간이 짧은 여성은 치매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의 박경희 정신의학 교수 연구팀이 영국 바이오 뱅크(UK Biobank)의 데이터베이스 중 여성 27만3천260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메디컬 뉴스 투데이가 최근 보도했다.

 이 중 3천694명이 치매 진단을 받았다.

 연구팀은 초경 연령 등 특정한 생식 특징이 치매 위험과 연관이 있는지 분석했다.

 에스트로겐 노출 기간은 초경에서 자연 폐경 또는 자궁절제, 난소 절제까지의 년 수로 했다.

 에스트로겐 노출 기간이 비교적 긴(38~42년) 여성은 에스트로겐 노출이 가장 짧은 여성보다 치매 위험이 28% 낮았다.

 에스트로겐 노출이 늦은 나이(50~52세)까지 계속된 여성은 이른 나이(45세 이전)에 끝난 여성보다 치매 위험이 24% 낮았다.

 초경이 15세 이후에 시작된 여성은 12세 이전에 일찍 시작된 여성보다 치매 위험이 12% 높았다.

수술 병력이 있는 여성은 수술 병력이 없는 여성보다 치매 위험이 8% 높았다.

 이는 에스트로겐 노출이 이른 나이에 시작되거나 늦은 나이까지 계속되면 치매 위험이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결과는 치매 가족력, 교육 수준, 체질량 지수(BMI), 흡연, 당뇨병, 고혈압 등 여러 교란 변수를 고려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다만 호르몬 대체 요법(HRT)과 치매 위험 사이에는 연관이 없었다.

 이 연구 결과에 대해 미국 캘리포니아 메모리얼 케어 새들백 메디컬센터 여성건강 의료실장 마이클 크리치먼 박사는 에스트로겐이 치매로부터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이 연구 결과는 장기간의 에스트로겐 노출이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논평했다.

 그러나 이 연구에는 연구팀도 시인하고 있듯이 많은 교란 변수가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따라서 에스트로겐의 치매 예방 효과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그는 강조했다.

 뉴욕시 보건의료 시스템 모태 의학 전문의 케시아 게이서 박사는 에스트로겐은 피부, 심장, 혈관계, 모발, 골반 근육 조직, 뇌, 점막, 비뇨기계 등 체내의 복합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노인 정신의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항암제 부작용 줄인다" 폐암세포만 공격하는 '나노바디'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최근 정주연 박사 연구팀이 폐암 세포만 인식해 공격하는 초소형 항체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폐암은 국내 암 사망 원인 1위로, 그중 전체 폐암 환자의 절반을 차지하는 비소세포 폐암인 폐선암은 조기 진단이 어렵고 치료 후 재발률도 높다. 연구팀은 폐선암 세포에서 많이 발견되는 단백질인 'CD155'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초소형 항체 'A5 나노바디'를 개발했다. 이 나노바디는 일반 항체 크기의 10분의 1 수준으로 작아 몸속 깊은 곳까지 침투할 수 있으며, 정상세포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암세포 표면에만 달라붙는 등 정밀성도 높다. 연구팀은 항암제 '독소루비신'을 담은 약물 캡슐에 나노바디를 결합, 암세포 표면의 CD155 단백질에 항암제가 도달하도록 했다. 실험 결과 암세포 내부로 전달되는 약물의 양이 최대 3배 이상 증가했고, 폐선암 세포에만 선택적으로 달라붙어 암세포의 이동과 침투를 50% 이상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실험과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유사 장기) 모델을 활용한 실험에서 종양 크기는 70∼90%까지 줄었고, 세포 사멸 지표도 크게 증가했다. 또 간, 심장, 신장 등 주요 장기에도 손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항암제가 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