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거주 외국인도 고령화…2035년부터 외국인 10명 중 1명 고령층

2022년 5.8%→2042년 12.1%…내국인은 17.8→36.9%로 폭증

 국내 거주하는 외국인도 고령화 영향으로 11년 뒤엔 10% 이상이 고령인구일 것으로 전망됐다.

 12일 통계청의 '내·외국인 인구추계: 2022∼2042년'에 따르면 중위 추계에서 외국인 가운데 고령인구(65세 이상) 규모는 2022년 9만5천명에서 2030년 20만4천명으로 20만명대에 진입한다.

 그러다 2038년 30만1천명으로 30만명대에 들어서 2042년에는 34만4천명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20년 만에 3배 이상으로 늘어나는 셈이다.

 이는 올해 6.3%, 2027년 7.2%, 2029년 8.4%, 2031년 9.1%로 점차 증가하다가 2035년 10.3%로 10%를 넘어설 전망이다.

 2035년부터 외국인 10명 중 1명은 고령층이라는 의미다.

 외국인 가운데 65세 이상 비중은 그 이후로도 증가해 2037년 11.0%, 2042년 12.1%로 예측됐다. 2022년(5.8%)과 비교하면 두 배를 넘는다.

 통계청 관계자는 "외국인 가운데 유학생·비전문취업 외에 재외동포, 결혼·이민으로 들어온 경우도 있는데 이들이 정착해 내국인과 함께 고령화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외국인 중 생산연령인구(15∼64세) 비중은 2022년 89.2%에서 2042년 82.6%로 20년간 6.6%p 줄어든다.

 0∼14세 유소년인구 비중은 2022년 5.1%에서 2028년 5.8%로 늘었다가 다시 줄어들어 2042년에는 5.3%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내국인의 고령화 속도와 비교하면 현저히 더딘 편이다.

 내국인의 경우 65세 이상 고령층 비중이 2022년 17.8%에서 2042년 36.9%로 폭증한다.

 같은 기간 내국인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70.5%에서 55.0%로 급감한다.

 외국인 고령인구는 국제 이동이 활발하다고 가정한 고위 추계에서 더 늘어난다.

 고위 추계에서 외국인 고령층 인구 규모는 2022년 9만5천명에서 2029년 21만1천명으로 20만명대 진입, 2035년에 30만명대로 들어선 뒤 2042년 46만5천명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외국인 가운데 고령층이 차지하는 비중도 2042년 12.9%로, 중위(12.1%)나 저위(10.7%) 추계보다 높다.

 고위 추계에서 외국인 입국자 중 40∼50대 인구가 고령층이 되고 기대여명이 늘어나는 영향 등이 있다고 통계청 관계자는 설명했다.

 고위 추계에서 전체 외국인 인구는 2022년 165만2천명에서 2042년 361만2천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20년 뒤 총인구에서 외국인의 비율은 6.9%까지 높아진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들, 환자단체 찾아 "의정갈등으로 불편 겪은 국민께 사과"
전공의들이 28일 환자단체를 찾아 장기간 이어진 의정 갈등으로 불편과 불안을 겪은 국민에게 사과했다.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사무실에서 환자단체 대표들과 만나 "1년 5개월 이상 길어진 의정갈등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불안하셨을 국민 여러분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 사태가 장기화한 데 대해 의료계 또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아울러 의료계를 대표하고 이끄는 위치에 있었던 일부 의사들의 부적절한 언행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도 대한민국의 일원인 젊은 의사로서 깊이 사과드린다"며 "저희는 앞으로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회적인 책무를 다하고 보다 나은 의료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정갈등 당시 일부 의료계 인사가 "정부는 의사를 이길 수 없다"고 하거나, 메디스태프와 같은 익명의 의사 커뮤니티에서 "환자 죽어도 감흥 없다" "죽을 뻔한 경험 쌓여야 의사 존경한다"는 등 선 넘는 발언이 나온 상황을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또 "긴 세월 국민과 의료계 모두 상처받고 힘든 시간을 보냈다"며 "이런 일이 다시 생기지 말아야 한다는 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