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눈·귀·손발 되는 첨단기술…'현실 장벽 낮추자'

 4월 20일은 장애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장애인의 재활 의욕을 끌어올리기 위해 제정한 '장애인의 날'이다.

 의료·과학계에서도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장애인이 신체·정신적 제약을 넘어 주체적으로 삶을 살 수 있게 하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9일 뉴냅스의 인지치료 소프트웨어 '비비드 브레인'(VIVID Brain)을 국내 제3호 디지털 치료기기로 허가했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최근 '의료기기 품목 및 품목별 등급에 관한 규정'을 개정해 장애인의 일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AI 자율주행 휠체어, 의료용 착용형 로봇, 청력 재활 소프트웨어 등에 대한 소분류 체계를 마련하기도 했다.

 이 가운데 AI 자율주행 휠체어는 주변 환경을 인식하는 센서로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해 이용자 조작 없이 원하는 장소에 도착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기다.

 목표 지점을 설정하면 알고리즘이 주변 환경 상황을 고려해 최적의 경로를 계산한다. 이동 도중 장애물을 발견하면 이를 반영해 실시간으로 경로를 수정하거나 긴급히 정지할 수 있다.

 아직은 경로가 확실하고 장애물이 적은 실내용으로 주로 개발되고 있지만, 기술이 더욱 발전하면 실제 도로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청각이 남아있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AI 보청기도 있다.

 AI 보청기는 사람의 두뇌 작동 방식을 모방해 환경이 변해도 선명하게 말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개발됐다.

삼성전자 릴루미노

 저시력 장애인이 앞을 더 잘 볼 수 있게 해주는 시각 보조 설루션 '릴루미노'도 첨단 기술을 장애인 생활 보조에 활용한 사례다.

 삼성전자 사내 벤처 육성 프로그램 'C랩'을 통해 개발된 릴루미노는 특별 제작한 안경을 통해 시각장애인이 인식하기 쉬운 형태로 바뀐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게 한다.

 한편 의료 기술 발달로 장애 진단도 조기에, 신속히 이뤄질 수 있다.

 특히 자폐성 장애는 조기에 치료를 시작할수록 치료 가능성이 높아 관련 진단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는 추세다.

 예컨대 SK텔레콤과 서울대병원이 개발한 'AI 리빙랩'은 부모를 등진 아이를 불렀을 때 고개를 돌리는지 여부를 관찰하는 검사에서, 아동이 반응하기 전까지 호명 횟수, 반응 속도, 고개를 돌리는 각도 등을 평가하는 등 장애 정도를 수치화해 자폐 스펙트럼 조기 진단을 돕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