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기 요양병원 항생제 사용 28% 증가…적정성 35% 불과

질병청, 요양병원 항생제 사용 실태 및 인식도 조사 결과 발표

 국내에서 코로나19 유행이 극심했던 2020년부터 2022년 사이 요양병원의 항생제 사용량이 28% 증가했지만, 환자에 적합한 항생제를 적절히 투여하는 적정성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24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국내 요양병원의 '항생제 사용 실태 및 사용관리 인식도·요구도'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질병청은 이번 연구에서 전국 요양병원 1천500곳의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3년간 항생제 사용량과 사용 유형 변화, 요양병원 20곳의 항생제 처방 적정성 등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전국 요양병원 입원환자의 55.8%가 항생제를 사용했고, 항생제 사용 환자의 85.4%가 65세 이상이었다. 2020년 대비 2022년의 항생제 사용량은 28.1% 늘었다.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항생제는 폐렴, 복강 내 감염, 피부연조직 감염 등에 사용하는 퀴놀론계·3세대 세팔로스포린계·페니실린계였다.

 2020년 대비 2022년 사용량 증가율은 다제내성균에 의한 폐렴과 골반내감염에 주로 쓰는 카바페넴계 항생제가 78.6%로 가장 높았다.

 요양병원 20곳을 대상으로 별도 조사한 결과, 항생제 사용의 96.6%는 감염증 치료를 위해 처방됐다.

 감염증 치료 목적으로 처방된 항생제의 종류와 투여 용량 및 경로 등이 적절했는지를 평가했을 때 적정성은 35.2%였다.

 주로 항생제의 선택(38.0%)과 용량(43.9%)이 부적절한 경우로 밝혀졌다. 요양병원에서 항생제를 처방할 때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사용 지침이 마련돼있지 않은 점이 원인으로 파악됐다.

 질병청은 대한요양병원협회 소속 전국 요양병원 의사 106명을 대상으로 항생제 사용관리 인식도 등을 설문한 결과도 함께 공개했다.

 이들의 47.2%는 항생제 처방 시 혈액검사를 참고한다고 응답했다. 중단은 임상 증상(76.4%)과 염증 수치(67.9%)의 호전 여부를 보고 결정했다.

 요양병원에서 항생제를 적정하게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건 응답자의 88.6%가 항생제 사용관리 중재 활동이라고 답했다.

 항생제 적정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적정 사용에 대한 보상(85.8%), 요양병원 맞춤형 감염질환 지침서 개발(84.9%) 등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이번 조사로 요양병원의 항생제 사용관리 현황과 항생제 적정 사용을 위한 현장의 요구를 파악했다"며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요양병원의 항생제 처방을 개선하기 위한 지침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은경 복지장관 "의료대란 영향 조사 필요…목적·방법 검토"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의료대란이 환자 등에게 끼친 영향에 대해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장관은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출석해 "환자·시민단체들은 반드시 지난 의료대란에 대한 피해 조사와 대책 마련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장관님 견해는 어떤가"라고 묻는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조사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다만 정 장관은 "환자단체에서의 조사 요구와 의원님이 말씀하신 (보건의료기본법 일부개정안의) 조사는 조금 달라서 피해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고, 개인에 대한 개별적인 피해 조사와는 다른 측면이 있어 그런 부분을 잘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이 "정부가 의료대란의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체계적으로 조사해 알릴 필요가 있고, 혹시라도 반복될 시 정부가 어떤 대응을 해야 하는지 알기 위해서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동의하시냐"고 묻는 질문에는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의대 증원과 전공의 사직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이 1년을 넘기며 장기화하자 환자·시민단체들은 의료 공백에 따른 피해 조사와 재발 방지책이 필요하다고 호소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