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중해 식단으로 알츠하이머병 유전적 위험 상쇄할 수 있다"

美 연구팀 "유전적 알츠하이머 고위험군, 지중해식 식단 후 위험 23% 감소"

 알츠하이머병(AD)에 걸릴 유전적 위험이 가장 높은 사람들이 지중해식 식단을 따르면 유전적 위험이 낮은 사람들보다 치매 위험을 더 크게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T.H.챈 공중보건대학원 및 MIT·하버드대 브로드연구소 위시 류 박사팀은 27일 의학저널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에서 여성 4천200여명과 남성 1천4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지중해식 식단이 치매 위험에 미치는 영향 연구에서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류 박사는 "이 결과는 지중해식 식단이 주요 대사 경로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쳐 인지 저하 위험을 줄이고 치매를 막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이는 특히 유전적으로 치매 위험이 큰 사람들에게 더 중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류 박사는 "지중해식 식단은 무작위 시험에서 인지적 이점과 인과적으로 연결된 유일한 식이 패턴"이라며 이 연구에서 지중해식 식단이 유전적으로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감수성이 다른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산발성 알츠하이머병의 가장 강력한 유전적 위험 요인은 노년기 발병에 큰 영향을 미치는 APOE4 변이 유전자다.

 APOE4 변이 유전자가 1개인 사람은 없는 사람보다 알츠하이머병 위험이 3~4배 높고, 변이 유전자가 2개(APOE4 동형접합자)인 사람은 위험이 12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지중해식 식단이 치매 위험을 줄이고 인지 건강과 관련된 혈액 대사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간호사건강연구(NHS)에 참여한 여성 4천215명의 데이터(1989~2023년)를 분석했다.

 또 이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1993년부터 2023년까지 추적 관찰한 보건 전문가 추적 연구(HPFUS)에 참가한 남성 1천490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식품 섭취 빈도 조사를 통해 지중해식 식단 실천 점수에 따라 참가자들을 3개 그룹으로 나누고 혈액을 채취해 대사산물을 조사했다. 또 유전자 데이터를 사용해 각 참가자의 알츠하이머병 유전적 위험을 평가했다.

 그 결과 APOE4 변이 유전자가 2개인 사람 중 지중해식 식단 이행 점수가 상위 3분의 1인 그룹은 알츠하이머병 위험이 23% 감소했다.

 유전자가 1개인 그룹은 위험이 10%가량 낮아졌고, APOE4 변이 유전자가 없는 그룹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연구팀은 지중해식 식단을 따를 경우 치매 위험이 APOE4 변이 유전자가 2개인 고위험군에서 가장 크게 감소한 것은 이 식단이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유전적 위험을 상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류 박사는 "이 연구에서 지중해식 식단과 알츠하이머병의 유전적 위험 간 연관성이 밝혀졌지만, 유전체학과 대사체학은 아직 알츠하이머병 임상 위험 예측 모델 대부분에 사용되지 않는다"며 "이 발견을 일상적인 의료 진료에 적용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Medicine, Liu Y et al., 'Interplay of genetic predisposition, plasma metabolome, and Mediterranean diet in dementia risk and cognitive function', http://dx.doi.org/10.1038/s41591-025-03891-5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