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환자 '운동기능 개선'…비대면운동 프로그램 개발

불안·우울증 감소에도 효과…파킨슨병 운동연구소 웹사이트에 공개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 환자들을 위한 비대면 운동 프로그램이 개발됐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과 파킨슨병 및 이상운동질환 학회는 파킨슨병 환자들이 집에서 스스로 할 수 있는 비대면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해 임상 연구를 진행한 결과, 운동기능 증상 개선과 불안 및 우울증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고  11일 밝혔다.

 참여자 80% 이상이 운동 프로그램 절반 이상을 소화했고, 특별한 부작용이 확인되지 않아 프로그램의 안정성과 적합성이 입증됐다.

 파킨슨병은 운동을 조절하는 뇌 부위에서 분비되는 신경 전달 물질인 도파민 생산 세포가 소실되면서 근육 경직, 몸 떨림, 느린 동작 같은 운동 장애가 나타나는 중추신경계 질환이다.

 고령화로 파킨슨병 환자 수가 늘고 있는데, 2016년 기준 9만6천499명이었던 환자 수는 2020년 11만1천311명으로 15.4% 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된 운동 프로그램은 '파킨슨병 운동연구소 웹사이트(https://www.parkinson.co.kr/)'와 모바일 앱 '닥터파킨슨'에서 이용할 수 있다.

 운동 치료 효과는 단기간에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필휴 파킨슨병 및 이상운동질환 학회장은 "이 운동 프로그램으로 움직임에 제한이 있는 파킨슨병 환자들이 집에서 비대면으로 운동치료를 꾸준히 받을 수 있게 돼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앞으로도 파킨슨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필요한 기술개발을 계속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항암제 부작용 줄인다" 폐암세포만 공격하는 '나노바디'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최근 정주연 박사 연구팀이 폐암 세포만 인식해 공격하는 초소형 항체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폐암은 국내 암 사망 원인 1위로, 그중 전체 폐암 환자의 절반을 차지하는 비소세포 폐암인 폐선암은 조기 진단이 어렵고 치료 후 재발률도 높다. 연구팀은 폐선암 세포에서 많이 발견되는 단백질인 'CD155'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초소형 항체 'A5 나노바디'를 개발했다. 이 나노바디는 일반 항체 크기의 10분의 1 수준으로 작아 몸속 깊은 곳까지 침투할 수 있으며, 정상세포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고 암세포 표면에만 달라붙는 등 정밀성도 높다. 연구팀은 항암제 '독소루비신'을 담은 약물 캡슐에 나노바디를 결합, 암세포 표면의 CD155 단백질에 항암제가 도달하도록 했다. 실험 결과 암세포 내부로 전달되는 약물의 양이 최대 3배 이상 증가했고, 폐선암 세포에만 선택적으로 달라붙어 암세포의 이동과 침투를 50% 이상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실험과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유사 장기) 모델을 활용한 실험에서 종양 크기는 70∼90%까지 줄었고, 세포 사멸 지표도 크게 증가했다. 또 간, 심장, 신장 등 주요 장기에도 손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항암제가 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