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간호사 업무 범위 법제화하고 병원 내 활용 강화해야"

보건의료인력정책 토론회…"전세계적으로 전문·전담간호사 고용 늘어"
"의료기관 평가와 정부 사업에 전문간호사 투입해야"

 

 의료인력 부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전문간호사의 업무 범위를 법제화해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과 정의당 강은미 국회의원실은 1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간호 노동 현장 증언과 올바른 보건의료인력정책 마련을 위한 국회 토론회'를 개최했다.

 발제자로 나선 최수정 성균관대(임상간호대학원) 교수는 "미국에서 전문간호사와 PA 간호사를 통칭하는 '비의사직 상급실무전문가(Advanced practice providers) 고용이 앞으로 계속 늘어날 것으로 추계됐고, 이는 세계적 추세"라며 간호사의 역할과 업무 범위를 법적으로 재정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 교수는 "전문간호사 제도가 활성화되면 환자는 서비스 접근성이 좋아지고 수련의 처우가 개선되고 전문의 업무 부담도 감소한다"며 시범사업이 종료된 후에도 이들 간호사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간호사는 의료법 제78조에 따라 보건·마취·정신·가정·감염관리·산업·응급·노인·중환자·호스피스·종양·임상·아동 등 13개 분야에 대해 복지부 장관이 인정하는 전문 자격 직종이다.

 전문간호사 자격시험은 지난 2003년에 법제화됐지만, 구체적인 업무 범위가 법제화되지 않아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나왔다.

 최 교수는 "이번 시범사업을 계기로 전문간호사 업무 범위를 법안으로 확대해야 한다"며 "필수의료 분야별 간호인력 배치 기준을 강화 시 전문간호사를 활용하는 등 의료기관 평가와 정부 주도 사업 인력에 전문간호사를 투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위해 전문간호사 수가와 배치 기준 등 보상체계를 논의해야 하고, PA 간호사를 전문간호사로 흡수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론자로 참여한 최훈화 대한간호협회 전문위원은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 중 '전문의 중심병원 구현'의 필요 조건은 '간호사 역량 혁신'이고 충분조건은 '간호사 역할 확대'"라며 "전문간호사 교육과정과 평가체계를 개편하고 지역사회 역할을 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의 시범사업이 현장 상황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오선영 보건의료노조 정책국장은 "전문간호사에게 별도로 주어지는 업무 영역이 매우 미미한데, 정부 시범사업은 전문간호사가 최고난도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돼 있어 현장에서 적용이 불가능하다"며 "개별 의료기관이 업무 범위를 결정하게 해 기관마다 간호사의 업무 범위가 다른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부 "지역의사제 도입하고 공공의료사관학교 설립"
보건복지부는 18일 지역·필수·공공의료 인력 양성을 위한 지역의사제 도입과 공공의료사관학교(공공의대) 설립 계획을 공식화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복지부 주요 업무 추진 현황을 보고하면서 "지역·필수·공공의료인력 양성을 위해 충분한 투자와 보상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어진 세부 업무보고에서 김혜진 복지부 기획조정실장은 지역·필수·공공의료 강화와 관련해 "지역의사제를 도입하고 공공의료사관학교를 설립해 안정적인 공공의료 인력 양성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지역의사제 도입과 공공의료사관학교 설립은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대선 공약이기도 하다. 복지부는 이르면 2028년도 신입생부터 의대 신입생 일정 비율을 지역의사 전형으로 선발해 지원하고 졸업 후 특정 지역에서 의무 복무하게 하는 방식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공공의료사관학교는 국립중앙의료원 부설 교육기관으로 신설이 추진된다. 이날 정 장관은 "국민과 의료계가 공감할 수 있는 국민 중심 의료개혁을 추진해 지속가능한 보건의료체계를 만들어나가겠다"며 "국립대병원을 지역 거점 병원으로 육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요양병원 간병비에 건강보험을 단계적으로 적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