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 동료 살리려 다친 다리 진단하고 절단 수술도 한다"

국제 연구팀 "플로리다 왕개미, 상처 부위 따라 절단·소독 치료…생존율 급증"

 다리를 다친 개미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동료 개미들이 상처를 진단하고 감염 우려가 큰 다리를 선택적으로 절단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연구진은 인간 외 다른 동물에서 이런 정밀한 수술 치료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독일 뷔르츠부르크대 에릭 프랭크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지난 3일 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서 플로리다 왕개미(Camponotus floridanus)가 동료 개미의 다친 다리를 진단 후 소독하거나 절단하는 등 정교하게 치료하는 행동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치료 효과를 실험적으로 테스트한 결과 치료받은 개미의 생존율이 치료받지 않은 개미보다 월등히 높았다며 동물계에서 이처럼 상처를 체계적으로 진단해 절단 치료를 하는 사례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유일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개미가 대퇴골 열상과 정강이뼈에 열상을 입은 경우 동료 개미들이 어떻게 치료하는지 관찰하고, 각 치료법의 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개미들은 대퇴골 열상의 경우에는 모두 상처 부위 세척 후 다리를 입으로 씹어 완전히 절단했으나, 정강이뼈 부상은 상처 부위를 입으로 세척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치료를 받은 개미는 모두 치료받지 않은 개미보다 생존율이 훨씬 높았다.

 대퇴골 부상 후 다리가 절단된 개미는 90~95%가 생존했고, 정강이뼈 부상 후 세척 치료만 받은 개미는 75%의 생존율을 보였다. 치료받지 않은 개미의 생존율은 대퇴골 부상 40%, 정강이뼈 부상은 15% 미만이었다.

 연구팀은 상처에 따라 다른 치료법을 쓰는 것은 감염 위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대퇴골은 마이크로 컴퓨터단층촬영(CT) 결과 대부분 근육 조직으로 돼 있어 혈액(혈림프)을 몸체로 밀어 보내는 역할을 하지만 정강이뼈 부분에는 근육 조직이 거의 없어 혈액 순환에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랭크 교수는 "대퇴골을 다치면 근육 손상으로 혈액 순환이 느려져 병원체가 혈액을 타고 몸으로 퍼질 위험이 적지만, 정강이뼈를 다치면 혈림프 흐름이 느려지지 않아 병원체가 더 빨리 체내에 침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경우 정강이뼈 부상 때 다리를 절단하는 게 더 적절한 치료법처럼 보이지만 문제는 다리 절단에 최소 40분 이상이 걸린다는 점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실험 결과 정강이뼈 부상의 경우 즉각 다리를 절단하지 않으면 생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랭크 박사는 "개미가 상처를 진단하고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치료하는 것은 인간에 필적할 수 있는 유일한 의료 체계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치료 행동의 정교한 특성을 고려할 때 개미들이 어떻게 이렇게 할 수 있는지 생각해볼 여지가 있다"며 "개미의 행동이 나이에 따라 변하지만 치료 행동 학습에 대한 증거가 없는 점을 볼 때 이 모든 것은 타고난 행동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 출처 : Current Biology, Erik.T. Frank et al., 'Wound-dependent leg amputations to combat infections in an ant society', https://www.cell.com/current-biology/fulltext/S0960-9822(24)00805-4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기후변화로 산림재해 강도·빈도↑…질병 매개체 늘 수도"
기후 변화로 산림 재해의 강도와 빈도가 커지고, 질병 매개체가 늘어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김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는 8일 질병관리청과 대한예방의학회가 서울스퀘어에서 연 기후보건포럼에서 발표한 '환경부 기후변화평가보고서 결과 및 시사점'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교수는 보고서를 토대로 "미래 산림의 연간 탄소 흡수량은 줄고, 산림 재해의 강도와 빈도는 늘 것"이라며 "기온 변화로 작물의 재배 면적과 병해충 발생 위험이 시공간적으로 변한 탓에 새로운 병해충과 잡초가 발생할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또 "1968∼2023년 우리 바다의 표층 수온은 전 세계 평균의 2배 이상인 약 1.44도 올랐다"며 "미래에는 주요 상업성 어종 서식지와 어류의 출현이 줄고, 양식품종 중에서는 해조류 양식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기후 변화에 따른 기온 상승과 더불어 기상 재해, 대기오염, 감염병, 정신건강 문제 등 다양한 건강 위험이 커질 것"이라며 "이에 따른 건강 피해는 지역적·사회적 취약성에 따라 불균등하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취약 인구·지역을 대상으로 적절히 개입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