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 동료 살리려 다친 다리 진단하고 절단 수술도 한다"

국제 연구팀 "플로리다 왕개미, 상처 부위 따라 절단·소독 치료…생존율 급증"

 다리를 다친 개미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동료 개미들이 상처를 진단하고 감염 우려가 큰 다리를 선택적으로 절단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연구진은 인간 외 다른 동물에서 이런 정밀한 수술 치료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라고 말했다.

 독일 뷔르츠부르크대 에릭 프랭크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지난 3일 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서 플로리다 왕개미(Camponotus floridanus)가 동료 개미의 다친 다리를 진단 후 소독하거나 절단하는 등 정교하게 치료하는 행동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치료 효과를 실험적으로 테스트한 결과 치료받은 개미의 생존율이 치료받지 않은 개미보다 월등히 높았다며 동물계에서 이처럼 상처를 체계적으로 진단해 절단 치료를 하는 사례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유일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개미가 대퇴골 열상과 정강이뼈에 열상을 입은 경우 동료 개미들이 어떻게 치료하는지 관찰하고, 각 치료법의 효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개미들은 대퇴골 열상의 경우에는 모두 상처 부위 세척 후 다리를 입으로 씹어 완전히 절단했으나, 정강이뼈 부상은 상처 부위를 입으로 세척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치료를 받은 개미는 모두 치료받지 않은 개미보다 생존율이 훨씬 높았다.

 대퇴골 부상 후 다리가 절단된 개미는 90~95%가 생존했고, 정강이뼈 부상 후 세척 치료만 받은 개미는 75%의 생존율을 보였다. 치료받지 않은 개미의 생존율은 대퇴골 부상 40%, 정강이뼈 부상은 15% 미만이었다.

 연구팀은 상처에 따라 다른 치료법을 쓰는 것은 감염 위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대퇴골은 마이크로 컴퓨터단층촬영(CT) 결과 대부분 근육 조직으로 돼 있어 혈액(혈림프)을 몸체로 밀어 보내는 역할을 하지만 정강이뼈 부분에는 근육 조직이 거의 없어 혈액 순환에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랭크 교수는 "대퇴골을 다치면 근육 손상으로 혈액 순환이 느려져 병원체가 혈액을 타고 몸으로 퍼질 위험이 적지만, 정강이뼈를 다치면 혈림프 흐름이 느려지지 않아 병원체가 더 빨리 체내에 침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경우 정강이뼈 부상 때 다리를 절단하는 게 더 적절한 치료법처럼 보이지만 문제는 다리 절단에 최소 40분 이상이 걸린다는 점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실험 결과 정강이뼈 부상의 경우 즉각 다리를 절단하지 않으면 생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랭크 박사는 "개미가 상처를 진단하고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적절한 방법으로 치료하는 것은 인간에 필적할 수 있는 유일한 의료 체계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치료 행동의 정교한 특성을 고려할 때 개미들이 어떻게 이렇게 할 수 있는지 생각해볼 여지가 있다"며 "개미의 행동이 나이에 따라 변하지만 치료 행동 학습에 대한 증거가 없는 점을 볼 때 이 모든 것은 타고난 행동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 출처 : Current Biology, Erik.T. Frank et al., 'Wound-dependent leg amputations to combat infections in an ant society', https://www.cell.com/current-biology/fulltext/S0960-9822(24)00805-4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은경 복지장관 "의료대란 영향 조사 필요…목적·방법 검토"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의료대란이 환자 등에게 끼친 영향에 대해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장관은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출석해 "환자·시민단체들은 반드시 지난 의료대란에 대한 피해 조사와 대책 마련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장관님 견해는 어떤가"라고 묻는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조사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다만 정 장관은 "환자단체에서의 조사 요구와 의원님이 말씀하신 (보건의료기본법 일부개정안의) 조사는 조금 달라서 피해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고, 개인에 대한 개별적인 피해 조사와는 다른 측면이 있어 그런 부분을 잘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이 "정부가 의료대란의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체계적으로 조사해 알릴 필요가 있고, 혹시라도 반복될 시 정부가 어떤 대응을 해야 하는지 알기 위해서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동의하시냐"고 묻는 질문에는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의대 증원과 전공의 사직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이 1년을 넘기며 장기화하자 환자·시민단체들은 의료 공백에 따른 피해 조사와 재발 방지책이 필요하다고 호소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소아청소년 셋 중 한명 비만군…가당 음료 설탕세 도입 필요"
소아·청소년 비만율을 낮추기 위해 가당 음료 설탕세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박은철 연세대 의대 교수는 최근 '소아·청소년 비만 현황 공유 및 예방관리 대책 마련' 포럼 자료집에서 설탕세 도입 시 가당 음료 소비 감소 등 효과가 기대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교수는 "가당 음료는 영양상으로 거의 또는 전혀 가치가 없고 필수재가 아니며, 액체 형태의 첨가당은 설탕이 포함된 고형 식품보다 대사증후군 등의 위험을 더 크게 유발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설탕세 도입을 통해 소아·청소년 비만율 감소, 산업계의 자발적인 무가당·저가당 음료 전환, 비만 관련 만성질환 의료비 지출 감소 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박 교수는 영국의 청량음료산업 세금을 벤치마킹할 경우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을 고려할 때 약 2천276억원 상당의 세금 수입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한상원 한림원장은 "설탕세 도입 시 저소득층 부담 증가나 산업계 반발 같은 여러 고려사항이 존재한다"면서도 "세수를 소아·청소년의 급식 질 개선, 체육 활동 지원, 건강증진 사업 등에 투자한다면 세금의 역진성 우려를 해소하고 오히려 건강 형평성을 높이

메디칼산업

더보기
음지 갇혔던 문신사 '불법' 딱지 뗄까…문신사법 복지위 통과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을 허용하는 '문신사법'이 지난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를 통과했다. 문신사법은 '문신사'라는 직업을 신설하고 그 자격과 관련 시험에 관한 절차 등을 규정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문신사 자격이 있어야 문신업소를 개설할 수 있도록 하고 매년 위생·안전관리 교육을 받도록 하는 내용도 담겼다. 비의료인의 문신 시술은 1992년 문신 시술을 '의료행위'로 판단한 대법원 판결 이후 의료법 위반으로 처벌받아왔다. 그러나 대부분의 문신 시술이 의료보다는 심미적 목적에 따른 것이고, 실제 시술자도 거의 의료인이 아닌 점 등을 들어 법과 현실 사이에 상당한 괴리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랐다. 문신 행위에 대한 관리·감독의 법적 근거가 없는 탓에 소비자 피해가 발생할 경우 대응하기 어렵다는 점 역시 문제로 꼽혀 왔다. 문신사법은 2013년 제정안 발의 후 19∼21대 국회에서 관련 법안이 계속 제출됐으나 결실을 보지 못했다. 그러나 문신사법을 처리하겠다는 현 여당의 강한 의지를 바탕으로 여야 발의안을 병합 심사한 대안이 지난 20일 복지위 법안심사소위를, 이날은 복지위 전체회의를 통과하며 입법 가능성이 커졌다. 법안을 대표 발의한 더불어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