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생간 먹은 뒤 복통·발열…수원서 '야토병' 의심 사례

"최종 확진 가능성 극히 낮아"…1급 감염병이지만 사람끼리 전파 안돼
질병청 "1996년 이후 국내 확진 없어…야외활동 시 야생동물 접촉 삼가야"

 질병관리청은 경기도에서 1급 감염병인 야토병 의심 사례가 발생했지만 최종 양성 판정이 날 가능성은 극히 낮다며 지나친 불안감을 갖지 말아 달라고 밝혔다.

 또 야토병은 사람끼리 전파되지 않는 감염병이므로 야외활동 시 곤충 기피제를 뿌리거나 상처 난 피부에 동물 접촉을 삼가는 등 예방수칙을 준수해달라고 당부했다.

 고재영 질병청 대변인은 8일 정례 브리핑에서 "야토병이라는 1급 감염병 의심 환자가 1명 발생했다는 문자를 6일 (의료기관으로부터) 수신하고 경기도와 질병청 수도권 대응센터에서 합동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상구 질병청 신종감염병대응과장도 "(신고자의 야토병) 양성 가능성은 극히 낮은 상태"라며 "하지만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대응과 검사를 철저히 진행하고 있고, 크게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경기 수원시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복통과 발열 증상으로 관내 한 병원에 입원했던 20대 남성 A 씨에 대한 혈액 검사에서 야토병균 양성 반응이 나왔다.

 질병관리청은 시로부터 야토병 의심 사례 발생 보고를 받은 뒤 야토병 확진 여부 판단을 위해 지난 6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에 혈청 검사를 의뢰했다.

 A 씨는 앞선 지난달 24일 집 근처 소 곱창 식당에서 소 생간을 먹은 뒤 증상을 호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당시 A 씨와 일행 1명이 함께 식사했지만, A 씨에게서만 증상이 나타났다.

 야토병은 야토병균(野兎病菌: Francisella tularensis)에 감염돼 발생한다. 야생 토끼를 비롯한 야생 설치류에게 물리거나 접촉해 감염된다. 개나 고양이를 흡혈한 모기나 진드기를 통해 사람에게 옮겨지기도 한다.

 폐렴이나 혈액을 매개로 감염될 경우 치명률은 높다.

 미국에서는 연평균 200건 정도 발생하고 있고, 유럽과 일본에서도 감염 환자가 나오고 있어 국내에서 발생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다만 사람 간에는 전파되지 않아 환자가 발생하더라도 일반 국민 사이에 확산할 가능성은 특히 낮다.

 질병청은 "과거 야토병 의심 환자가 의료기관 1차 검사에서 양성이 확인돼 발생하는 신고 사례가 종종 있었지만, 최종 검사에서 음성으로 모두 확인됐다"며 "국내에서는 1996년 1건 발생한 후 추가적인 확진자는 현재까지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외부 활동 시 곤충 기피제를 피부에 발라서 곤충에게 물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고, 상처 난 동물을 만지거나 상처가 난 손으로 동물을 접촉하는 것을 삼가야 한다"며 "음식물은 충분히 익혀서 섭취하고 감염 환자가 있으면 환자 체액을 직접 접촉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내년 3월 의료·요양 통합돌봄 본격 개시…복지부 추진본부 구성
보건복지부는 내년 3월 의료·요양 통합돌봄 본사업 시행을 앞두고 장관을 필두로 한 통합돌봄 추진본부를 출범시켰다고 11일 밝혔다. 의료·요양 통합돌봄은 노인이나 장애인 등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원래 살던 곳에서 건강한 생활을 누리도록 시군구 중심으로 의료·요양·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추진본부는 지난해 12월부터 운영 중이던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추진단'을 확대·개편한 것으로, 복지부 장관이 단장을 맡는다. 대상자 확대반, 사회서비스 연계반, 의료취약지 지원반 등 총 7개 반으로 구성돼있다. 추진본부는 출범 첫날인 이날 제1차 회의를 열고 통합돌봄 추진 현황과 향후 계획·방향을 점검했다. 2023년 7월부터 시작한 통합돌봄 시범사업에는 현재 지방자치단체 131곳이 참여 중으로, 내년 3월 27일에는 전국적으로 통합돌봄 본사업이 시작된다. 복지부는 추진본부 회의를 매월 2회 이상 열고 본사업을 준비하고, 다양한 서비스와 인프라를 확충할 구체적인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정은경 복지부 장관은 "돌봄은 국가와 지자체가 함께 책임져야 할 과제로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통합돌봄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