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 차단 페인트 칠하니 옥상온도 19도↓" 도봉구 쿨루프사업 '눈길'

오는 31일까지 내년 '차열페인트 도장사업' 참여 취약가구 모집

  서울 도봉구(구청장 오언석)가 지역 내 폭염 민감취약계층 6가구에 차열페인트 도장사업(쿨루프·쿨월)을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이 사업은 옥상·지붕·외벽 등에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기능성 차열페인트를 시공한다.

 표면온도를 낮춰 냉방 효율을 개선하고 에너지 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구는 "지난해 10월 2024년도 환경부 국고보조사업 선정에 따라 올해 5월 사업을 추진해 지난달 완료했다"며 "6가구의 집 옥상 등 표면온도는 사업 전후 약 19도의 차이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자세한 사항은 도봉구 누리집에서 확인하면 된다.

 오언석 구청장은 "점점 폭염 빈도가 증가하는 가운데 폭염 대응력이 낮은 취약가구의 피해 예방을 위해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며 "차열페인트 도장사업에 많은 신청과 관심을 바란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시밀러 개발 간소화로 최대 3천억원 절감…韓 기업 수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 과정이 간소화되면 미국에서만 최대 2억2천500만달러(약 3천300억원)가 절감되고 개발 기간도 1∼2년 단축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2분기 바이오시밀러 시장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근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 규제 기관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절차를 간소화하는 추세다. 대표적 사례가 '비교 임상 효능연구'(CES) 필요성에 대한 재검토에 나선 것이다. CES는 2개 이상 치료제의 임상적 효능 등을 비교해 치료제 간 효과, 안전성 등이 비슷한지 평가하는 과정이다.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를 통해 대조약과의 생물학적 동등성이 충분히 확립된 데다 작용 기전이 잘 알려진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CES를 거칠 필요가 없다고 규제 기관은 보고 있다. 약동학은 약물의 흡수·분포·대사 등을 다루는 분야다. 예컨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지난해 발표한 지침에서 경우에 따라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가 비교 임상 연구 없이도 충분한 동등성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FDA에 바이오시밀러 승인을 간소화하도록 장려하는 내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