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푸드, 가루쌀로 만든 식물성 음료 출시

식물성 치즈도 선보여…"대안식품 지속 출시"

 신세계푸드[031440]는 식물성 음료 '유아왓유잇 식물성 라이스 베이스드'를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신세계푸드는 국산 가루쌀, 현미유 등 100% 식물성 원료를 사용해 신제품을 만들었다.

 가루쌀은 물에 불리지 않고 바로 빻아 가루로 만들 수 있는 쌀 품종으로, 농림축산식품부는 가루쌀이 밀가루 수요를 일부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제품 개발을 지원해 왔다.

 신세계푸드는 지난달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국제식음료품평회에서 신제품을 선보여 국제 우수 미각상을 받기도 했다. 제품 1L에는 식이섬유와 칼슘이 각각 14g, 999㎎ 함유돼 있으며 글루텐은 포함되지 않았다. 

 신세계푸드는 환경과 동물복지 등을 고려하는

 

소비자가 늘며 식물성 음료 시장이 성장하는 점을 고려해 신제품을 기획했다.

 시장조사 기업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식물성 음료 시장은 6천769억원 규모로, 2018년(5천221억원)과 비교해 약 30% 성장했다. 오는 2026년 시장은 1조원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두유를 제외한 기타 식물성 음료 시장은 지난해 934억원 규모로, 2018년(308억원)과 비교해 203% 성장했다.

 세계 식물성 음료 시장은 지난해 200억달러(약 27조7천560억원) 규모이고, 오는 2026년 239억달러(약 33조1천684억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신세계푸드는 식물성 음료와 함께 귀리, 캐슈너트 등으로 만든 식물성 치즈 '유아왓유잇 식물성 체다향 치즈 슬라이스'도 출시했다.

 신세계푸드 관계자는 "식물성 원료를 활용한 다양한 대안식품을 지속 선보이며 소비자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깜깜이' 병원평가…"'데이터 통합'으로 기준 바로 세워야"
A병원의 '의사 1인당 병상수'는 1.5명, B병원은 2.0명. 언뜻 B병원의 인력이 더 우수해 보이지만, 이는 착시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의료기관 평가 지표는 이름만 같을 뿐, 20개에 달하는 평가 제도마다 계산 방식이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기준이 통일되지 않은 평가는 결국 국민이 내는 건강보험 재정이 진정으로 의료의 질이 높은 병원에 보상으로 가지 못하게 하는 '깜깜이 평가'라는 지적이 나왔다. 보건복지부 의뢰로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최근 수행한 '건강보험 성과보상 근거 마련을 위한 의료기관 평가체계 개편 기반 연구'보고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편화된 현재의 평가 방식을 버리고 '표준화된 원자료(raw data)'를 기반으로 한 통합 평가체계 구축을 시급한 과제로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국내 의료기관은 상급종합병원 지정, 의료 질 평가, 적정성 평가 등 20개의 각기 다른 평가를 받고 있으며, 여기에 사용되는 지표만 1천개가 넘는다. 이로 인해 병원들은 유사한 자료를 평가 기관마다 다른 양식으로 반복 제출해야 하는 행정 낭비에 시달리고 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평가 결과의 신뢰성이다. 보고서는 평가지표 이름이 동일하거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