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푸드, 가루쌀로 만든 식물성 음료 출시

식물성 치즈도 선보여…"대안식품 지속 출시"

 신세계푸드[031440]는 식물성 음료 '유아왓유잇 식물성 라이스 베이스드'를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신세계푸드는 국산 가루쌀, 현미유 등 100% 식물성 원료를 사용해 신제품을 만들었다.

 가루쌀은 물에 불리지 않고 바로 빻아 가루로 만들 수 있는 쌀 품종으로, 농림축산식품부는 가루쌀이 밀가루 수요를 일부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제품 개발을 지원해 왔다.

 신세계푸드는 지난달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국제식음료품평회에서 신제품을 선보여 국제 우수 미각상을 받기도 했다. 제품 1L에는 식이섬유와 칼슘이 각각 14g, 999㎎ 함유돼 있으며 글루텐은 포함되지 않았다. 

 신세계푸드는 환경과 동물복지 등을 고려하는

 

소비자가 늘며 식물성 음료 시장이 성장하는 점을 고려해 신제품을 기획했다.

 시장조사 기업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식물성 음료 시장은 6천769억원 규모로, 2018년(5천221억원)과 비교해 약 30% 성장했다. 오는 2026년 시장은 1조원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두유를 제외한 기타 식물성 음료 시장은 지난해 934억원 규모로, 2018년(308억원)과 비교해 203% 성장했다.

 세계 식물성 음료 시장은 지난해 200억달러(약 27조7천560억원) 규모이고, 오는 2026년 239억달러(약 33조1천684억원) 규모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신세계푸드는 식물성 음료와 함께 귀리, 캐슈너트 등으로 만든 식물성 치즈 '유아왓유잇 식물성 체다향 치즈 슬라이스'도 출시했다.

 신세계푸드 관계자는 "식물성 원료를 활용한 다양한 대안식품을 지속 선보이며 소비자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