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수 변동성, 10년에 1.2%씩 증가…인간에 의한 온난화 탓"

국제연구팀 "세계 육지 75%서 강수 변동성 증가…예측·대응 더 어려워져"

  1900년대 이후 세계 육지의 75%에서 강수 변동성이 10년마다 1.2%씩 증가했으며, 그 원인은 인간 활동으로 인한 온난화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과학원 대기물리연구소(IAP), 중국과학원대학(UCAS), 영국 기상청 공동 연구팀은 최근 과학저널 사이언스(Science)에서 1900년부터 2020년까지 5개의 전 지구 규모 강수 데이터와 8개의 지역 규모 일일 강수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강수 변동성이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면 대기 중 수분이 증가해 강수량 변화가 커지고 습한 날과 건조한 날 사이에 변동 폭도 더 커지게 된다.

 증폭된 강수 변동성은 인류 사회와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기상·기후 예측은 물론 이상 기후 대응에도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연구팀은 많은 지구 기후 모델이 온난화 진행과 함께 습한 지역의 강수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측하지만 이를 관측으로 확인하는 것은 쉽지 않다며 강수 변동성 증가가 이미 발생하고 있는지는 불분명했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이들은 강수 변동성 조사를 위해 기후학적 강수량 변화를 나타내는 전 지구 규모의 5가지 데이터 세트와 8가지 지역 규모 일일 강수량 관측 데이터 세트 등 다양한 데이터 세트를 분석했다.

 그 결과 강수 변동성은 기후 모델들의 예측대로 지난 세기 동안 다양한 시간 규모와 지역에 걸쳐 체계적으로 증폭된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런 현상은 특히 유럽과 호주, 북미 동부 지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세계 육지의 약 75%에서 강수 변동성이 증가했고, 전 세계적으로 일일 강수 변동성이 10년마다 1.2%씩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강수 변동성 증가 요인으로 온난화로 인한 대기 중 수분 증가를 꼽았다.

 강수 변동성 증가 추세는 특히 1950년대 이후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이는 이 기간 지구 평균 기온이 이전 기간보다 더 많이 상승했다는 사실과 일치한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논문 제1 저자인 중국과학원 장원샤 박사는 "강수량 변동성 증가는 주로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대기가 더 따뜻하고 습해졌기 때문"이라며 "대기 순환이 동일하게 유지돼도 대기 중 수분이 증가하면 비는 더 강해지고, 강수량 변동 폭도 커진다"고 말했다.

 교신저자인 중국과학원 저우톈쥔 박사는 "걱정하던 미래가 이미 다가왔다"면서 "이 연구에서 확인한 강수량 변동성 증가는 일일 강수량 변동이 더 커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로 환경 영향을 예측하고 대비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 출처 : Science, Tianjun Zhou et al., 'Anthropogenic amplification of precipitation variability over the past century', 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dp0212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