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해 환자 90%가 초중고생…주춤한 증가세 개학후 재확산 우려

올들어 경기도 환자 5천명 육박…"Td 대신 Tdap 접종 권고"

  경기도는 올해 백일해 환자가 5천명에 육박하고, 이 중 초·중·고교생이 90% 이상이라며 2학기 개학을 앞두고 11일 주의를 당부했다.

 질병관리청 감염병포털에 따르면 이달 7일 기준 도내 백일해 환자는 4천988명으로 전국(1만6천764명)의 29.8%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초·중·고교생은 90.2%인 4천499명(전국 90.0%)으로 나타나 학교에서 집단생활을 하는 학령기 소아 청소년에게 취약성을 드러냈다.

 다만 올들어 백일해 환자는 29주차(7월 14~20일)까지 가파르게 상승하다가 방학이 시작된 30주차부터 감소하는 추세다.

 도는 주요 발생층인 초·중·고교가 여름방학에 들어가면서 감소한 것으로 추정했다.

 아울러 도는 올해 백일해 환자 발생 양상과 예방접종력의 상관관계 확인을 위해 지난달 24일 전문가와 함께 분석을 진행했다.

 환자 중 551명을 추출해 분석한 결과, 백신(Tdap) 유효접종 후 백일해 발생 사례는 접종 후 2년 이내에서 10%, 3년 이내에서 20%, 접종력이 없거나 유효하지 않은 접종(Td)이 시행된 사례는 16%로 나타나, 백일해 백신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전문가는 판단했다.

 현재 백일해 표준접종은 6차까지 국가접종사업으로 무료 접종이 가능하며, 특히 11~12세 대상의 6차 접종은 Td(파상풍, 디프테리아) 대신 Tdap(파상풍, 디프테리아, 백일해) 접종을 강하게 권고했다.

 접종력이 없거나 유효한 접종이 시행되지 않은 사람은 적절한 접종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면역력이 약한 감염취약계층에게는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김윤경 고려대 안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영아는 백일해 감염으로 상태가 급격히 악화될 수 있어 감염병 발생 감시와 적기 접종이 중요하다"고 조언했으며,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방학 기간 감소한 백일해 환자가 새 학기에 다시 증가할 수 있는 만큼 백신 접종과 방역 현장의 대응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고 도는 전했다.

 도는 백일해 확산 방지와 중증 이환율을 낮추기 위해 ▲ 생후 2, 4, 6개월 적기 접종 ▲ 학령기 6차 미접종자는 새 학기 시작 전 반드시 Tdap(백일해가 포함된 혼합백신) 접종 완료 ▲ 유증상 시 검사 및 치료 완료 후 등교 ▲ 환자의 동거가족, 중등증 이상 천식 및 만성 폐질환자 등은 예방적 항생제 복용 ▲ 임신부 27~36주 사이 예방접종 ▲ 실내에서 잦은 환기, 기침예절 준수, 손 위생, 마스크 착용 등의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1년 6개월만에 돌아온 의대생, 첫 수업은 '설렘반, 걱정반'
"어젯밤 병원으로 돌아간다고 생각하니 떨려서 잠이 잘 오지 않았습니다." 지난 11일 오전 부산대병원 내 글로컬임상실증센터. 최근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해 휴학했던 의대생이 속속 학업에 복귀하는 가운데 이날 부산대 의대 본과 3학년 학생들의 복귀 이후 첫 임상 실습 수업이 열렸다. 하얀 의사 가운을 입고 목에 청진기를 맨 학생 3명은 다소 어색한 표정으로 담당 교수와 함께 수업에 들어갔다. 부산대 의대 본과생들은 3∼4명씩 조를 나눠 지도교수의 감독 아래 외래, 병동, 수술실 등에서 실습을 진행한다. 수술실을 재현한 실습실에서 본과 3학년 송모(26)씨가 기도 삽관에 도전했다. 송씨가 환자 모형의 기도를 확보한 뒤 동기에게서 튜브를 건네받아 기관 안에 삽입했다. 이어 그럴듯한 모습이 완성되자 학생들이 기관 내 삽입한 튜브에 수동식 인공호흡기를 연결해 여러 차례 눌렀다. 시술이 제대로 이뤄졌다면 부풀어야 할 폐 모형은 미동도 하지 않았다. 이를 본 부산대 의대 부학장인 이정규 가정의학과 교수가 "이 경우 기도삽관이 잘못된 것이죠"라고 설명했다. 학생이 머쓱한 표정을 짓자 이 교수는 "처음에는 누구나 어렵다"며 "다만 응급 환자에게는 바로 적용해야 하는 시술이니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