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일 조간)

▲ 경향신문 = 아리셀 참사 국감 증인 채택은 전무, 외국인 재해라 외면했나

대통령실 '고발사주, 전당대회 개입' 의혹 윗선 규명해야

2년 연속 열병식 연 국군의날, 장병 안전과 복리를 더 챙기길

▲ 서울신문 = '안보는 정보전' 확인시키는 이스라엘… 지금 우리는

정원 논의기구에 의료계 참여해 접점 찾기를

불어나는 '장기 백수' 청년들… 경제 역동성 되살려야

▲ 세계일보 = 장기 백수 외환위기 후 최대, 규제 혁파·노동개혁 시급하다

"핵 쓰면 북한 정권 종말" 尹 대통령 경고, 힘으로 뒷받침돼야

이스라엘, 레바논 지상전 개시… 안보·경제 악영향 차단하길

▲ 아시아투데이 = '北정권 종말' 경고…아시아판 NATO 적극 검토하길

이재명 다중 사법리스크 재판, 법원 손에 국운 달렸다

▲ 조선일보 = '생지옥' 천리마 운동에서 장점만 발굴해 낸 한국사 교과서

봉안 시설까지 포화, 장례 문화 완전히 바뀌어야

영장 기각 판사도 "소명" 인정한 위증교사, 뭘 조작했다는 건지

▲ 중앙일보 = 법원도 "이태원 참사는 인재"라는데 서장만 책임지나

전면전 위기의 중동, 모든 비상 시나리오 철저히 대비해야

▲ 한겨레 = 서울 도심서 2년째 열린 시대착오적 '군사 퍼레이드'

"대통령 사과했으니 국민이 이해하라"는 한 총리

'5·18 성폭력 고발' 피해자의 용기에 국가가 응답해야

▲ 한국일보 = 이태원 참사 인재(人災)인정… 정권 차원 반성 필요하다

이시바 내각, 한일협력 기대 불구 군사대국 기도 우려 크다

이번엔 '한동훈 공격 사주', 선 넘은 여권 내분

▲ 글로벌이코노믹 = 중국 저가폰 동남아 시장 휩쓴 이유

디지털시대 근로시간 유연화 시급

▲ 대한경제 = 거부권 행사보다 '金 여사' 사과가 먼저다

수출 호황에도 부진한 내수 진작 위해 서비스산업 족쇄 풀어야

▲ 디지털타임스 = 한은서 150조 빌린 정부, 언제까지 급전으로 재정 메울건가

또 韓 빼고 與지도부 만나는 尹… 국민이 어떻게 보겠나

▲ 매일경제 = 기강해이 공직사회, 보상체계 뜯어고치고 전문성 키워야

복지장관, 전공의에 사과 … 의료계도 조건 없이 대화 동참을

15년 무주택 4인가족조차 꿈도 못꾸는 강남 로또 청약

▲ 브릿지경제 = 고려아연 공개매수, '중국 변수' 경계해야 한다

▲ 서울경제 = 정부 '한은 마통' 누적 대출 152조 … 선심정책 경쟁할 때 아니다

국회, 기업인 무더기 증인 채택 … 망신주기 국감 악습 벗어나야

정부·의사 한발씩 물러나 '2026년 증원 재논의'로 대화 물꼬 터야

▲ 이데일리 = 76주년 국군의날에 첫걸음 뗀 북핵 대응 전략사령부

막오른 日 이시바 시대, 한일 우호·협력 흔들림 없어야

▲ 이투데이 = 수출 효자 반도체·자동차 이후엔 무엇이 있나

▲ 전자신문 = 사이버 위기 경보 체계 개선해야

▲ 파이낸셜뉴스 = 건군 76년, 한미일 공조 강화로 北도발 억제를

복지부 장관의 사과, 의정 갈등 풀 실마리 돼야

▲ 한국경제 = '병원 쇼핑'에 술술 새는 건보재정, 못 고치면 의료개혁도 차질

상고하저 우려 씻어낸 9월 수출 … 남은 퍼즐은 내수 살리기

첫 단추부터 잘못 끼운 1조 농어촌기금, 기업 팔 비틀기는 그만

▲ 경북신문 = 홍, 정쟁 격화… 정부 여당이 먼저 반성해야

▲ 경북일보 = TK, 골칫거리 빈집 특별 대책 마련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은경 복지장관 "수가 정비해 2030년까지 필수의료 적정 보상"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14일 "비용 분석에 기반해 2030년까지 필수의료에 대해 적정 보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수가 체계를 정비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충북대병원에서 필수의료 종사 의료진·전공의 등과 간담회를 열고 "국민 건강과 생명에 직결되는 분야에 종사하는 의료진들이 더욱 우대받는 환경, 자긍심을 갖고 환자 진료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최우선"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는 고난도 수술·처치 등 저평가 필수의료에 대한 수가 인상을 계속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 장관은 "고위험 필수의료 분야 의료진들이 최선의 진료를 할 수 있도록 의료사고에 대한 공적 배상 지원체계 구축과 형사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부터 불가항력 분만사고 보상한도를 높였고 하반기부터는 배상보험료를 지원한다"며 "필수의료 분야 의료진 법적 보호 방안에 대해서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또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도 본격적으로 추진하겠다"며 "근무시간 단축, 다기관 협력 수련 등 시범사업을 현재 추진하고 있고 필수의료 전공의 수련수당, 지도전문의 지원 등 수련에 대한 국가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지역 간 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심장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인
◇ 다양한 심장병 원인 심장병의 원인을 정확히 규명하긴 어렵지만, 심장병을 일으키기 쉬운 위험 인자는 몇 가지 꼽아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흡연, 운동 부족, 과음, 비만, 고혈압이나 고지혈증 가족력 등이 있다. 또한 심리적 요인, 가난, 교육 수준, 그리고 미세먼지를 비롯한 공해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나쁜 식습관이나 오랜 시간 텔레비전을 보는 생활 습관 등도 혈관 및 심장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 그 밖에 심장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뜻밖의 요인들도 있다. 먼저, 여성의 경우 12세 이전에 시작하는 초경이다. 1920~1930년대만 해도 여성의 초경 시기가 대략 17세 전후였는데 요즘은 그 시기가 굉장히 빨라졌다. 최근에 조사된 바에 따르면 요즘 여자아이의 평균 초경 시기가 11.5세라고 한다. 그보다 더 빠른 성조숙증 문제도 심각하다. 12세 이전에 시작하는 초경이 심혈관에 안 좋다고 했는데, 평균적으로 보면 요즘 여자아이들 대부분이 이런 위험성을 안고 있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리를 일찍 시작하는 여성의 경우 폐경기도 일찍 올 가능성이 높고 폐경기 이후에는 심혈관질환에 걸릴 확률이 급격히 높아지는데, 이는 여성호르몬의 보호 효과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