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선할까 악할까…아기를 통해 들여다본 인간 본성

 성선설(性善說)과 성악설(性惡說)은 예로부터 첨예한 대립 관계에 있었다.

 맹자는 우물에 빠진 아이를 보면 도와주고 싶은 마음, 즉 측은지심(惻隱之心)을 예로 들며 인간은 선하다고 했다.

 순자는 아기의 이기심을 직격하며 인간 본성은 악하다고 결론지었다.

 아기는 배고프면 울고, 양보란 걸 하지 않는 이기적인 존재라는 것이다.

 그래서 예(禮)와 같은 훈육이 필요하다고 했다.

 성선설과 성악설을 둘러싼 논란은 수천 년 동안 동서양 곳곳에서 이어져 왔지만, 여전히 결론은 나지 않고 있다.

 예일대 심리학과 교수인 폴 블룸은 신간 '선악의 기원'(21세기북스)을 통해 이 오랜 논쟁에 동참한다. 그는 토머스 홉스, 애덤 스미스, 토머스 제퍼슨 등 선배들의 통찰을 바탕으로 인간 도덕성의 뿌리와 진화 과정을 탐구한다.

 저자는 인간이 선한지 악한지를 살펴보고자 교육받지 않은 아기를 직접 실험 대상으로 삼았다.   그는 한 살배기 아기에게 세 명의 등장인물이 나오는 인형극을 보여줬다.

 극 중에서 가운데 인형이 오른쪽 인형에게 공을 굴리자 이 인형은 다시 공을 되돌려줬다.

 그다음에는 왼쪽 인형에게 공을 굴렸는데, 그만 공을 들고 달아나 버렸다.

 저자는 이 실험을 근거로 아기들이 공을 돌려주는 착한 인형과 공을 훔치는 못된 인형을 구분할 줄 안다고 주장했다.

 도덕적 판단을 한다는 것이다.

 이런 실험 결과에 더해 3개월짜리 아이들조차 '돕는 사람'을 더 선호한다는 기존 연구 결과를 인용하며 아기들이 '착한 사람에게는 끌릴 뿐 아니라 못된 사람에겐 반발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아기는 낯선 사람에게 적대적인 태도를 보이고, 자신의 집단 외에는 배타적인 모습을 띤다는 점도 지적하면서 이는 인간의 편협함과 잔인함의 뿌리를 보여주는 것 같아 우리를 불편하게 만든다고 부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푹푹 찌는 더위에 혈당 오를라…만성질환자 건강관리 '요주의'
건강한 사람도 혀를 내두를 만한 후텁지근한 날씨가 연일 이어지면서, 평소 고혈압이나 당뇨병 등을 앓는 만성질환자들의 건강 관리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폭염으로 인한 탈수는 혈당 수치를 높이고 혈전 발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갈증이 나지 않더라도 적절한 수분 섭취를 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의료계에 따르면 무더위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는 혈압을 상승시키고 심장박동수를 증가시키며 혈당 수치도 높인다. 요즘처럼 푹푹 찌는 혹서기에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는 가급적 야외 활동을 삼가며 더욱더 건강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하는 이유다. 심혈관 질환자, 고혈압·당뇨병 등을 앓는 경우 폭염에 장시간 노출 시 온열질환이 발생할 위험은 물론이고 평소 갖고 있던 만성질환이 악화하는 경우가 많다. 이 중 당뇨병 환자는 무더위로 인해 땀으로 배출되는 수분량이 많아지면 체내 혈당 수치가 높아지면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당뇨병을 오래 앓았다면 자율신경계 기능 이상으로 체온 조절 기능이 떨어지면서 온열질환에 더 취약해지기도 한다. 심뇌혈관질환자 역시 땀 배출로 체내 수분이 감소하면 떨어진 혈압을 회복하기 위해 심박동수, 호흡수가 증가해 심장에 부담이 늘어난다. 강희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