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도 사고 외식도 하고…대형마트서 엿보는 '옴니보어' 소비

마트 입점 식음료 브랜드 매출 증가세…"시성비·편의성 반영"

  최근 고물가 여파로 집밥 수요가 늘면서 대형마트 식품 매출이 호황을 보이면서 마트 내 식당가도 붐비는 손님으로 함박 웃음을 짓고 있다.

 집밥 식재료도 구매하고 외식으로 끼니도 해결하는 '잡식성 소비'가 이미 대형마트에서는 보편화된 모양새다.

 이마트에 따르면 올해 1∼8월 매장 내 패밀리 레스토랑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3% 증가했다. 전문 식당도 매출이 16% 늘었다.

 홈플러스(2월 결산법인)에 입점한 식음료 매장도 올해 3∼8월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0% 늘었다.

 특히 식품 중심으로 리뉴얼(재단장)한 '메가푸드마켓' 점포의 식음료 매장 매출은 두 배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일례로 홈플러스 메가푸드마켓 강동점의 식음료 매장 매출은 지난해 12월 입점한 패밀리 레스토랑 '쿠우쿠우'의 인기에 힘입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9월까지 매출이 지난해 동기 대비 220% 급증했다.

 롯데마트의 경우 올해 1∼8월 식음료 매장 매출이 5%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서는 이처럼 대형마트에 입점한 식음료 매장이 잘 나가는 배경으로 역설적으로 대형마트 식품 부문의 인기를 꼽는다.

 집밥 식재료를 사러 대형마트를 찾는 가족 단위 고객이 늘어난 것과 비례해 마트 내 식음료 매장을 찾는 고객도 많아졌다는 것이다.

 식음료 매장 유형 중에서도 패밀리 레스토랑에 유독 손님이 많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한 대형마트 관계자는 "집밥이 인기라는 시대 흐름과 다소 상충하는 것 같지만 장도 보고 한 끼 식사도 해결하는 '일석이조' 고객이 의외로 많다"고 말했다.

 다른 대형마트 관계자는 "'시성비'(시간 대비 만족도)와 편의성을 추구하는 쇼핑·외식 트렌드가 반영된 것으로 본다"고 짚었다.

 대형마트들이 올해 들어 매장 리뉴얼을 통해 상권 특성에 맞는 외부 식음료 브랜드 임대 매장 면적과 구성을 대폭 강화한 효과도 있는 것으로 업계는 분석한다.

 현재 대형마트별로 운영 중인 외부 식음료 브랜드 매장 비중은 전체 임대 매장의 20∼35% 수준이며, 그 비중은 해마다 높아지는 추세다.

 롯데마트의 경우 매년 새로 입점하는 식음료 업체가 5%씩 증가하고 있다.

 대형마트 입장에선 인기 식음료 매장 유치가 시대 흐름에 맞는 전략적 선택이라고 업계는 입을 모은다.

 고객 유치는 물론 전반적인 매출 개선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한편에서는 대형마트 내 식음료 매장의 인기를 두고 '옴니보어'(Omnivores) 트렌드가 이미 발현된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김난도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가 내년도 소비 트렌드 가운데 하나로 꼽은 옴니보어는 '잡식성'(雜食性)이라는 의미에서 파생해 '여러 분야에 관심을 갖는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를 차용한 옴니보어 소비자는 잡식성 소비를 추구하거나 그런 취향을 가진 이들로 볼 수 있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집밥 식재료를 구매하는 대표적인 쇼핑 채널에서 외식 수요까지 높다는 점에서 대형마트가 옴니보어 트렌드를 엿보기에 적합한 장소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