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 큰다고 맞았는데…" 성장호르몬 주사 부작용 급증

 일명 '키 크는 주사'를 처방받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주사를 맞은 뒤 이상 증상을 호소하는 사례도 해마다 급증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키가 정상적으로 크는데도 이 주사를 맞아도 되는 걸까요?

 그런데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경우에도 많이 처방되고 있는데요.

 실제로 저신장증 같은 질병이 없는 소아·청소년에게 '키 크는 주사'로 비급여 처방되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

 채현욱 강남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일반적으로 단순히 키가 작다는 이유로 성장호르몬 주사제를 맞는 것은 부작용이나 치료 효과가 명확히 입증돼 있지 않다"면서 "치료의 대상이나 범위를 제한적으로 생각을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강은구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키가 하위 3% 미만에 해당하는 특발성 저신장증 환자에게 성장호르몬 주사제를 사용해볼 수는 있지만 효과가 없는 경우가 있고 건강보험도 적용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정상적으로 키가 크고 있는데 성장호르몬 주사제를 맞을 경우 두통, 발진, 구토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요.

 폐렴이나 발작, 척추 측만증 같은 중대 부작용도 지난해 113건 확인돼 3년 새 4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채현욱 교수는 "성장호르몬 주사제 부작용으로 혈당 수치 상승이나 갑상선 이상, 척추 측만증이 나타날 수 있고 드물게 암과의 관련성이 보고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면서 "만약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주사를 중단하고 부작용에 대해 치료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성장호르몬 결핍 등 이유로 정상적으로 성장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성장호르몬 주사제 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강은구 교수는 "보통은 정상적으로 사춘기 전이라면 1년에 5~6cm 정도 키가 자라야 하는데 성장호르몬 결핍증이 있는 아이들은 2~3cm 정도밖에 자라지 못하게 된다"면서 "성장 호르몬 주사제는 단순히 키만 크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근육량을 늘리고 몸의 체지방량을 줄이는 역할도 한다"고 말했습니다.

 키 성장이 정상 범주에 있는 경우엔 성장호르몬 주사제보다는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올바른 생활 습관이 더 도움이 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강은구 교수는 "성장기의 영양 상태, 수면, 운동 등이 키 성장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 골고루 식사하는 습관,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수면과 함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생활 습관을 잘 유지하는 키 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사 X레이' 놓고 의사-한의사 충돌…입법예고 찬반 1만7천건
한의사의 엑스레이(X-ray)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법안을 놓고 의사와 한의사들이 정면으로 충돌하고 있다. 법안 통과에 반대하는 의사들과 찬성하는 한의사들이 총결집하면서 입법예고 기간 1만7천건이 훌쩍 넘는 찬반 의견이 쏟아졌다. 국회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서영석 의원이 최근 대표 발의한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입법예고(10월 13∼22일) 마감을 앞두고 지난 21일 오후 3시 30분 현재 1만7천300건가량의 의견이 등록됐다. 비공개 의견을 제외하고 제목에 '찬성' 또는 '반대'가 표기된 의견만을 놓고 보면 반대가 1만1천여 건, 찬성이 3천500여 건 정도다. 이 개정안은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책임자에 대한 규정을 바꾸는 내용이다. 현행 의료법은 의료기관 개설자 등이 방사선 장치를 설치하면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안전관리책임자를 선임'하도록 했고, 관련 복지부령은 안전관리책임자의 자격을 의사, 치과의사, 방사선사 등으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개정안은 '의료기관 개설자나 관리자는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를 설치한 경우에는 안전관리책임자가 되어' 관리할 수 있도록 했다. 즉, 한의사가 개설한 의료기관의 경우 한의사도 안전관리책임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