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수도권 및 중부권 시장의 해상 관문에 위치한 평택·당진항은 물동량 확보에 이어 항만 리뉴얼을 통한 친환경, 친수항만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단국대학교 물류학과 박근식 교수는 지난 30일 (사)평택당진항발전협의회 주최로 평택항 홍보관에서 열린 ‘2024 평택항 발전을 위한 시민참여 토론회’에서 이렇게 주장하고, 관광객 등시민과 함께 항만이 발전할 수 있도록 마리나 이슈를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교수는 특히 “30~40년 전 과거에는 물동량이 급성장했으나, 현재는 물동량 정체와 더딘 속도를 보이고 있다”며 “국가는 물론 지자체의 적극적인 참여로 항만 주변 마리나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는 최성일 명예회장이 좌장으로, 이학수 경기도의원, 김혜영 평택시의원, 김종식 전 연합뉴스 부국장, 김기수 평택시민신문 대표, 김대식 평택항운노조위원장, 이은우 평택시민재단 이사장 등이 토론자로 나와 평택·당진항이 국가 경제뿐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발전해야 한다는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토론자들은 항만으로 인해 세금은 국가가, 지자체는 환경오염과 도로파손, 교통사고 등으로 이어지는 ‘외부 불경제’ 효과를 막기위해 중앙 거버넌스 항만을 로컬 거버넌스 항만으로, 친수공간 확보 방안, 연구단체 설립, 평택과 당진의 상생방안 마련, 무역센터와 자동차 허브항에 걸맞는 시설 확충, 해군 2함대 안보공원 부대 밖 이전 등 심도 깊은 토론을 4시간 가량 이어갔다.
특히 이날 토론회에는 이동현 평택대학교 총장과 김관진 평택지방해양수산청 항만 물류과장, 이민우 경기도청 물류항만과장, 김상철 평택시청 항만수산과장 등 항만관련 실무 간부공무원 3명과 직원들이 참석해 4시간여동안 토론을 지켜봐 열기를 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