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 약이 치매 예방?…"동물실험서 타우 단백질 축적 방지"

英 연구팀 "메타졸라마이드 투여한 제브라피시·생쥐, 타우 축적 감소"

  현재 녹내장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약물이 치매를 유발하고 알츠하이머병과 관련이 있는 타우 단백질(τ protein)이 뇌에 축적되는 것을 막아준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데이비드 루빈슈타인 교수팀은  2일 과학 저널 네이처 화학 생물학(Nature Chemical Biology)에서 현재 임상에 사용되고 있는 녹내장 치료제 '메타졸라마이드'(methazolamide)를 치매 동물 모델인 제브라피시와 생쥐에 투여하는 실험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타우 단백질이 뇌에 축적되는 타우병증(tauopathy)에 걸리게 유전자 조작된 제브라피시와 생쥐에 탄산탈수효소(carbonic anhydrase) 억제제인 메타졸라마이드를 투여하자 타우 단백질 축적이 줄고 질병 징후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타우병증을 일으키는 제브라피시를 만든 다음 현재 임상적으로 승인돼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1천437개의 약물을 투여, 녹내장 치료제 메타졸라마이드가 타우 단백질 축적을 막아준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뇌에 타우 응집체가 축적되도록 유전자가 조작된 생쥐 모델도 메타졸라마이드를 투여한 결과 투여하지 않은 생쥐에 비해 뇌에 축적되는 타우 단백질이 적었고, 기억 과제 수행과 인지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세포의 산성도를 조절하는 데 중요한 탄산탈수효소를 억제하면 세포가 스스로 축적되는 타우 단백질을 제거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논문 공동 제1 저자인 애나 로페스 라미레스 박사는 "제브라피시는 세포보다 훨씬 효과적이고 현실적인 약물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며 "생쥐나 더 큰 동물에서는 불가능하거나 윤리적으로 어려운 작업도 대규모로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루빈슈타인 교수는 "이 결과는 메타졸라마이드가 타우 단백질 축적을 막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제브라피시와 생쥐를 대상으로 한 초기 단계 실험이지만 이미 안전성이 확인된 약물인 만큼 신물질보다는 훨씬 빠르게 임상시험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Chemical Biology, Lopez, A & Siddiqi, FH et al., 'Carbonic anhydrase inhibition ameliorates tau toxicity via enhanced tau secretion',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9-024-01762-7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인체 70퍼센트는 물'에 담긴 속뜻
요즘 연일 폭염이 계속되고 있다. 많은 사람이 물을 찾아 마신다. 이처럼 우리 몸에서 매우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물이다. 물은 우리 몸의 70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다. 사람은 일주일 동안 밥을 먹지 않아도 살 수 있지만 물을 마시지 않으면 죽는다. 왜냐하면 생명체에서 일어나는 모든 현상에 물이 필요하고, 특히 대사활동의 결과로 생기는 노폐물 배설을 위해서는 물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우리 혈액에 쌓인 노폐물은 신장에서 걸러진다. 신장에서 걸러진 노폐물은 오줌이라는 형태의 물을 통해 배설되기 때문에 오줌을 통해 물이 배설되는 만큼 다시 물을 보충해야 한다. 기타 대변이나 피부를 통해 나가는 수분도 보충해줘야 한다. 물은 음식물이나 식수를 통해서 공급할 수 있는데, 이론상으로는 몸에서 빠져나간 양만큼만 채워주면 되지만 좀 더 원활한 수분대사와 노폐물 배설을 위해서는 그보다는 많이 마시는 게 좋다. 많은 사람은 물을 많이 마셔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사실 의학적으로 보면 배출하는 양만큼만 물을 마시면 충분하다. 그런데 많은 전문가가 물을 무조건 많이 마시라고 하고, 심지어는 의사 중에도 그렇게 이야기하는 사람이 있다. 예컨대 하루에 1.2리터에서 2리터 정도의 물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