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증시일정](14일)

[오늘의 증시일정](14일)
    ◇ 신규상장
    ▲ 쓰리빌리언[394800]

    ◇ 추가 및 변경상장
    ▲ 버킷스튜디오 [066410](주식전환 62만7천612주 1천195원)
    ▲ 비트나인 [357880](무상증자 857만7천582주)
    ▲ AP헬스케어 [109960](유상증자 8천663만6천100주 500원)
    ▲ 엔지스테크널러지 [208860](유상증자 1천155만7천788주 0원)
    ▲ 신한알파리츠 [293940](유상증자 3천284만주 5천660원)
    ▲ 캐리소프트 [317530](유상증자 26만3천157주 3천800원)
    ▲ 에브리봇 [270660](스톡옵션 3만400주 8천25원)
    ▲ HLB이노베이션 [024850](CB전환 234만8천334주 1천22원)
    ▲ 제노포커스 [187420](CB전환 33만3천84주 4천23원)
    ▲ 제이에스코퍼레이션 [194370](CB전환 19만8천982주 1만2천790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3일) 주요공시]
    ▲ 뱅크웨어글로벌[199480] "싱가포르 종속회사 주식 21억원에 추가취득"
    ▲ 대주주 '편법적 지분 확대' 막힌다…거래소, CB 거래 공시 강화
    ▲ 웅진[016880] "계열사 렉스필드컨트리클럽 주식 86억원에 추가취득"
    ▲ 한화생명[088350], 3분기 누적 순이익 7천270억원…13.9% 감소
    ▲ SK텔레콤[017670] "SK브로드밴드 주식 1조1천459억원에 추가취득"
    ▲ 한화투자증권[003530], 3분기 영업이익 56억원…작년 대비 흑자전환
    ▲ 금호타이어[073240] "홍콩 자회사 주식 645억원 취득…지분율 100%"
    ▲ HMM[011200], 3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영업익 19.3배 오른 1조4천614억
    ▲ 올리패스[244460], 30억원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 SK네트웍스[001740] 3분기 영업이익 286억원…작년 동기 대비 74.9%↑
    ▲ 메리츠금융지주[138040] 3분기 영업이익 9천15억원…작년 대비 11.5%↑
    ▲ 메리츠증권 3분기 영업이익 2천429억원…작년 동기 대비 50.2%↑
    ▲ 하이트진로[000080] 3분기 영업이익 62%↑…"소주·맥주 매출 모두 늘어"
    ▲ 한국전력[015760] 3분기 영업이익 3조3천961억원…작년 대비 70.1%↑
    ▲ 한온시스템[018880] 3분기 영업이익 937억원…작년 동기 대비 391.1%↑
    ▲ 동양생명[082640], 3분기 누적 순이익 2천657억원…작년대비 22.2% 증가
    ▲ 경총 "지속가능성 공시, 국내 현실 고려해야…과도한 비용 안 돼"
    ▲ 파마리서치[214450] 3분기 영업이익 349억원…작년 동기 대비 27%↑
    ▲ 원익QnC[074600] 3분기 영업이익 299억원…작년比 125.6%↑
    ▲ 케이뱅크 3분기 순익 370억원…작년 동기의 2.8배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