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7.5% 당뇨병 환자, 절반은 고혈압까지…동반환자 5년간 23% 증가

심평원 2019∼2023 당뇨병 진료현황…"20대 환자 5년간 33% 늘어"

 고령화 등으로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가 꾸준히 늘어나는 가운데 당뇨병과 고혈압을 함께 앓는 환자도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지난 14일 '세계 당뇨병의 날'을 맞아 발표한 최근 5년간(2019∼2023년) 당뇨병 진료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당뇨병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총 382만8천682명이다.

 전체 인구의 약 7.5%가 지난해 당뇨병 진료를 받은 셈이다.

 당뇨병 환자의 절반 가까이는 고혈압도 앓고 있었다.

 지난해 당뇨병과 고혈압으로 동시에 진료받은 사람은 184만5천여 명으로, 전체의 48.2%였다.

 당뇨와 고혈압을 동반한 환자는 2019년 대비 23.1% 늘었다.

 당뇨병과 심혈관질환을 함께 앓는 환자도 5년간 14.8% 늘어 작년 25만7천여 명에 달했다.

 한편 지난해 진료 환자를 연령별로 보면 70대가 전체의 21.8%, 80세 이상이 18.5%, 60대가 16.4%로 60세 이상이 절반 이상이다. 고령화 속에 80세 이상 환자는 5년 사이 44.8% 늘었다.

 젊은 연령대의 경우 전체 환자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비교적 낮지만, 최근 증가 추세다.

 20대 진료 환자는 5년간 33.1% 급증했고, 10대는 23.7%, 10대 미만도 25.9% 늘었다.

 정재흥 심평원 빅데이터실장은 "대부분 당뇨병 진료 환자는 40대 이상이지만 20대 이하에서 환자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전 연령대에서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당뇨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트럼프 타깃 된 '약값'…美 vs 韓·日·유럽 제도 어떻게 다르길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미국 내 의약품 가격 인하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글로벌 제약사뿐 아니라 외국 정부들도 긴장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유럽이 내는 만큼 낼 것"이라며 미국의 약값을 유럽 등 다른 선진국 수준으로 평준화하겠다고 밝혔다. 비싸기로 악명 높은 미국 약값을 다른 나라 최저가 수준으로 낮춘다는 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때부터 공언해온 내용이지만, 당시엔 제약업계의 반발 등으로 결국 실현되지 못했다. 같은 약인데도, 심지어 미국 제약사의 약인데도 미국 내 가격이 다른 나라보다 훨씬 비싼 것은 약가 결정 체계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미국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다른 국가보다 약값에 있어 국가 통제력이 약하다. 가령 우리나라의 약값 결정 구조를 보면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의약품의 경우 제약사나 약국이 자체적으로 가격을 책정하지만,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의약품이라면 복잡한 절차를 거친다. 제약사가 신약에 대한 급여 적용을 신청하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약제급여평가위원회가 등재 여부를 심의한다. 여기서 통과되면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약사와 약가 협상을 벌이고 건강보험 정책 최고 심의기구인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