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석 젖히지 말라 vs 젖혀도 된다…여전한 논란

 코로나 엔데믹 이후 해외여행객이 급증하면서 항공기에서 좌석 젖히는 문제를 두고 승객 간에 다툼이 늘고 있다.

 최근 유럽 출장길에서 기자도 비슷한 일을 겪었다.

 야간 출발 항공편을 이용해 10여시간 비행을 한 뒤 새벽 시간 현지에 도착해 바로 업무가 시작되는 스케줄이었다.

 컨디션 조절이 필수였기에 개인 비용 100달러를 내고 가장 앞자리를 잡았다.

 항공사는 추가 비용을 낸 승객에게 앞좌석이나 비상구 좌석 등을 지정해준다.

 그런데 뒷좌석의 단체여행객 가운데 한 아주머니가 좌석을 뒤로 젖히지 말아 달라고 요구했다. 

  때마침 지나가던 승무원이 "식사 때나 안전에 문제가 있을 때를 제외하고는 좌석 젖히는 것은 괜찮다"고 말해줬다.

 기자는 "허리가 아파 유료로 좌석을 구입했다"며 공손히 답을 했다.

 아주머니는 불만에 가득 찬 표정이었으나 별다른 논리를 찾지 못했는지 이내 조용해졌다.

 문제는 한밤중에 발생했다.  새벽 3시쯤 되어서였을까. 모두 곤히 잠들어 있는 시간이었다.

 갑자기 쾅 소리와 함께 좌석에 충격이 느껴져 깨보니 사방은 무척 조용했다.

 뒷좌석 아주머니만 잠시 눈을 떴다 감는 모습이 보였다.

 왜 좌석을 치느냐고 항의하자, 아주머니는 혼잣말로 "좌석이 좁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이후 잠이 들 수가 없었고 뜬눈으로 앉아 있다 목적지에 도착했다.

 지난해 이코노미석 좌석 갈등이 국내 고속버스 좌석 갈등과 함께 논쟁이 된 적이 있다.

 그러나 고속버스 우등 좌석과 항공기 이코노미석은 각도상 큰 차이가 있다.

 비행기 이코노미석이 118도가량이 최대지만, 프리미엄 고속버스 좌석은 165도까지 젖혀진다.

 항공기의 구형 비즈니스석 좌석과 비슷할 정도다.

 비행기 좌석을 젖히는 문제에 대해서는 각 항공사가 동일한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이착륙 시와 식사 시를 제외하고는 편하게 젖힐 수 있다는 것이 각 항공사 관계자의 말이다.

 각 항공사 홈페이지에는 좌석의 넓이와 각도 등이 자세히 기재돼 있다.

 로펌 고우의 고윤기 변호사는 "여러 가지 정보를 종합해보면, 항공권 티켓을 구매한 것은 이착륙, 식사 시간이 아니면 좌석이 젖혀지는 것에 대해 동의했다고 보아야 한다"면서 "항공사에서도 논란을 방지하기 위서 좌석 등에 대한 내용을 고지해 주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특히 최근 노트북이나 태블릿을 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좌석 젖히는 문제로 논란이 빚어지는 경우가 많다.

 한 항공사 관계자는 "유독 한국 승객들 사이에서 이런 논란이 벌어지는 경향이 잦다"면서 "식사 시간 등을 제외하고 좌석 젖히는 것은 승객의 권리"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연내 공공의대 설립 근거 마련…설립까지 이르면 3년"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새 정부 보건의료정책의 핵심으로 '지·필·공(지역·필수·공공의료)'을 내세우고 의료 인력 양성을 위해 올해 안에 공공의료사관학교(공공의대) 설립을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22일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의료서비스의 지역 격차 해소, 필수의료 확충, 공공의료 강화에 힘쓰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정 장관은 "공공의료사관학교는 전국 단위의 공공의료기관이나 공공 분야에서 필요한 의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공공의대 개념"이라며 "법을 새롭게 제정하고 준비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구체적인 설립 시기를 언급하기는 어려우나, 올해 안에 법안 근거를 만드는 걸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내년도 예산에 공공의대 설계가 반영돼 있다"면서 "대학을 설립하고 준비하는 과정이 몇 년이 될지 말하기는 어렵지만 3∼5년 정도이고, 정책 실행 속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의대 졸업 후 지역에서 일정 기간 의무 복무케 하는 지역의사제 도입에 속도를 내겠다고 강조했다. 의료계가 지적하는 지역의사제의 위헌 소지나 실효성 논란에 대해서는 반박했다. 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셀트리온, 4천600억원 규모 릴리 공장 인수…"관세 리스크 제거"
셀트리온은 글로벌 빅파마 일라이 릴리와 약 4천600억원 규모의 미국 뉴저지주 브랜치버그에 소재한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앞서 7월 말 미국에 위치한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 인수 입찰에서 글로벌 기업 두 곳을 제치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발표한 지 약 2달 만이다. 셀트리온은 공장 인수 대금을 포함한 초기 운영비 등 비용으로 총 7천억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할 계획이다. 이후 인수 공장 내 유휴 부지에 생산시설 증설을 추진할 예정으로 최소 7천억원 이상의 추가 투자를 진행한다. 이에 따라 공장 인수와 증설에만 최소 1조4천원의 투자가 진행된다고 셀트리온은 전했다. 인수 주체는 셀트리온 미국법인으로 현지 업무 효율화와 지리적 요소 등을 감안해 결정됐다. 계약에 따른 공장 인수 절차는 연말까지 종료하는 것을 목표로 양사가 협력할 방침이다. 인수 예정인 공장은 약 4만5천 평 부지에 생산 시설, 물류창고, 기술지원동, 운영동 등 총 4개 건물이 갖춰진 대규모 캠퍼스다. 캐파 증설을 위한 약 1만 1천 평 규모의 유휴 부지를 보유하고 있어 확장을 통해 향후 시장 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다고 셀트리온은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