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동네 의원, 고혈압·당뇨병 진료 잘 보나…등급 첫 공개

'양호 의원' 공개에서 1∼5등급 공개로 변경…1∼2등급 총 8천403곳

 대표적 만성질환인 고혈압과 당뇨병의 의원별 적정성 평가 등급이 처음 공개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전국 2만4천640개 의원급 의료기관의 2023년 3월∼2024년 2월 외래 진료를 대상으로 한 2023년 고혈압·당뇨병 적정성 평가 결과를 최근 심평원 누리집(www.hira.or.kr)과 '건강e음' 앱 등에 공개했다.

 심평원은 환자 수가 꾸준히 늘고 있는 고혈압과 당뇨병에 대해 각각 2010년, 2011년부터 적정성 평가를 수행해 왔는데, 지금까지는 '양호 의원'만 공개했다.

 이번부터는 모든 평가 대상 의원을 점수에 따라 1∼5등급으로 나누고, 의원별로 등급을 표시함으로써 특정 의원의 고혈압·당뇨병 진료 수준이 어떤지를 환자들이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했다.

 1등급 또는 2등급을 받은 기관은 고혈압 7천795곳(전체 평가 대상 의원의 32.2%), 당뇨병 6천609곳(36.3%)이다.

 평가 대상 환자가 적거나 평가 지표가 1개 이상 산출되지 않은 의원은 '등급 제외'로 분류됐다.

 심평원은 고혈압 또는 당뇨병 1∼2등급 의원 8천403곳에 총 270억원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이다.

 강중구 심평원장은 "고혈압·당뇨병은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심뇌혈관질환 등의 합병증 예방을 위한 꾸준한 관리가 중요하다"며 "국민들이 가까운 동네의원을 선택하는데 이번 평가 결과가 적극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껌 씹기와 전기자극치료 병행, 노인 음식물 삼킴 능력 향상
껌 씹기 운동과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하면 구강 근력을 높일 수 있어 음식물 삼킴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조선대에 따르면 이 대학 작업치료학과 최종배 교수 연구팀은 최근 전기자극치료와 껌 씹기 운동의 병행이 고령층의 삼킴 능력과 구강 건강 개선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내용의 새로운 재활 치료법을 제시했다. 고령층은 근육량 감소로 씹는 힘과 침 분비 기능이 저하되는 '근감소성 삼킴장애'를 겪는 경우가 많다. 이로인해 식사와 삼킴이 어려워지고 건강이 악화하지만, 일상 속 껌 씹기 운동만으로는 개선 효과를 얻기 힘들다. 연구팀은 '전기자극치료와 껌 씹기 운동을 결합한 재활치료법'을 개발하고, 65세 이상 노인 40명을 대상으로 껌 씹기 운동만 시행한 그룹과 저작근(씹는 근육)에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그룹을 비교했다. 4주간의 연구 결과 전기자극치료를 병행한 그룹은 씹는 힘, 저작근 두께, 구강 점막의 수분도가 모두 증가했다. 단순 껌 씹기 운동만 실시한 그룹보다 개선 효과가 확연히 높았으며, 연구팀은 전기자극이 근육을 더욱 효과적으로 활성화해 저작근 강화와 침샘 기능을 촉진한 결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