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일 조간)

▲ 경향신문 = 대통령실 참모들 사표 수리하고 내란 연루 여부 수사하라

최상목은 국회에 사과하고 마은혁 헌법재판관 임명해야

제주항공 참사에 소금 뿌리는 가짜뉴스, 혐오발언들

▲ 국민일보 = 새해 첫날 대통령실 집단 사의 무책임하다

▲ 동아일보 = 대통령실 '일괄 사의' 항의… 軍 동원해 헌정 유린할 땐 뭐 했나

檢 총장 출신 대통령의 '영장 불복' 말이 되나

활주로, 둔덕, 조류… 참사는 수많은 위험신호 눈감은 결과

▲ 서울신문 = 반도체 덕에 '최대 수출'… 인재 뺏기고 정책 답보해서야

'8인 헌재'는 심판 집중, 여야는 정치 정상화 힘쓰길

대학은 배곯고, 교육청은 돈이 넘치고… 정치 포퓰리즘 탓

▲ 세계일보 = 재판관 임명, 특검 거부한 崔 대행 타협 주문에 여야 화답하라

고교 무상교육 특례 연장, 대학 등록금 동결은 교육 포퓰리즘

콘크리트 둔덕 규정 위반 땐 공항 안전관리자도 책임 물어야

▲ 아시아투데이 = 자유민주주의 세력 배신한 최상목 자진 사퇴해야

공수처, 尹 체포 영장 함부로 집행하지 말아야

▲ 조선일보 = 수출 사상 최대, 어두운 시국 속 위안 준 한국의 저력

尹 자진 출두하고, 공수처와 판사는 정치하지 말아야

전국 공항에 있는 콘크리트 둔덕, 규정 따질 땐가

▲ 중앙일보 = 재판관 임명 일단락…이제 국정 안정에 총력 쏟을 때

지방공항 안전규정 허점 없는지 철저히 점검해야

▲ 한겨레 = 윤석열 체포 방해는 '제2의 내란'이다

'8인 체제' 이룬 헌재, '윤석열 탄핵' 압도적 민심 새겨야

여야정 국정협의체, 경기부양 대책부터 세우라

▲ 한국일보 = 대통령실 참모들 사의… 최 대행 흔드는 집단항명 아닌가

오락가락 콘크리트 둔덕 규정… 국토부 신뢰할 수 있겠나

불상사 우려되는 체포 집행… 尹, 지지자 뒤 숨지 말아야

▲ 글로벌이코노믹 = 주가 채권 원화 트리플 약세 벗어나려면

미국경제 나홀로 호황 올해도 이어질까

▲ 대한경제 = '2025을사년' 역사에 부끄러운 한해로 남기지 말자

▲ 디지털타임스 = 여야에 묻는다, 새해도 그 모양 그 꼴 정치로 국민불안 키울텐가

▲ 매일경제 = 8인 체제 헌법재판소에 공정하고 신속한 판단 맡겨야

위기에도 역대 최대 기록한 수출, 성장동력 발굴 이어가길

尹 체포영장 집행, 물리적 충돌은 막아야 한다

▲ 브릿지경제 = 새 희망 이야기하며 경기 회복력 높일 때다

▲ 서울경제 = 與野 '재판관 2명 임명' 존중하고 정국 안정 해법 찾아라

북러 결속 편지…가치동맹 강화하고 힘 키워야 평화 지킨다

기업가정신 되살려 보호무역 파고 넘고 '5대 수출 강국' 만들자

▲ 이데일리 = 교육청 곳간 넘쳐도 국고 지원… 퍼주기다

8인 체제 헌재, 탄핵심판 절차 속도 내길

▲ 이투데이 = 반가울 수만은 없는 역대 최대 수출 기록

▲ 전자신문 = K테크, 재도약 원년으로 만들자

▲ 파이낸셜뉴스 = 첨단 핵심인재 줄줄 새면 미래산업은 누가 이끄나

역경 딛고 최대 수출, 기업이 쇄신의 주역되는 새해로

▲ 한국경제 = 정치 안정·국민 통합 없이 성장도 번영도 없다

내우외환 속에서도 수출 사상 최대 … 새해도 총력전이다

▲ 경북신문 = 세계 정상이 찾는 을사년 새해… 희망이 보인다

▲ 경북일보 = 2025년, TK 진정한 지방의 힘 보여줘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산림과학원 "보리밥나무, 탈모 예방에 효과…특허 등록"
국내 자생식물인 보리밥나무가 모발 성장·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모유두세포를 강화해 탈모 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상록 활엽 덩굴나무인 보리밥나무는 해안 지대에서 잘 자라며, 작은 가지에 은백색과 연한 갈색의 비늘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방에서는 '동조'(冬棗)라는 한약재로 불리며 천식·기침·가래·당뇨 등 증상에 약재로 활용돼 왔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2022년부터 모발 건강에 도움을 주는 산림바이오자원 발굴을 위해 170여종의 산림자원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보리밥나무가 모유두세포를 강화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세포 실험에서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10㎍(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g)/㎖ 농도로 처리했을 때 모유두세포 활성이 150%, 30㎍/㎖에서는 1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유두세포와 관련된 바이오마커(체내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 역시 보리밥나무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피부 안전성 평가에서 무자극 등급을 받아 원료의 안전성을 확보했으며,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앰플 시제품을 제작해 활용성과 안정성까지 검토했다고 산림과학원은 전했다. 해당 연구 결과에 대한 특허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