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3일 조간)

▲ 경향신문 = 극우 유튜브 보며 "싸우자" 한 윤석열, 내전 선동인가

올해 성장률 1.8%로 내린 정부와 국회, 추경 서둘라

'위험신호' 다 무시된 제주항공 참사, 정부 책임도 크다

▲ 국민일보 = 갈등과 충돌 부추기는 윤 대통령 메시지, 매우 부적절하다

1%대 경제 저성장 벗어날 특단 정책 마련해야

▲ 동아일보 = 불법 계엄으로 나라 만신창이 한 달… 아직도 "싸우겠다"는 尹

올 성장도, 수출도 1%대… 한 발 삐끗하면 '환란급' 충격 온다

'치매 70대' 차량 돌진에 13명 사상… 있으나 마나 한 면허관리

▲ 서울신문 = 체포 막아 달라 부추기는 尹, 어디까지 참담하게 할 텐가

1%대 저성장… 경제만은 지키자는 각오 다져야

경고음 잘 들었다면… 참사 곳곳서 드러난 안전불감증

▲ 세계일보 = 올 성장률 1.8% 전망, 민·관·정 경기부양 총력전 펼 때

"끝까지 싸울 것"이라는 尹 메시지, 물리적 충돌 자초할 건가

봉사자들 온정 이어지는 무안… 유족 명예훼손은 엄단해야

▲ 아시아투데이 = 민노총이 무슨 자격으로 대통령 체포에 나서나

사법 질서 망치는 이순형 부장판사, 징계하라

▲ 조선일보 = 정치 불안으로 국가 신용 등급까지 강등되면 진짜 위기

영장 집행 방해 요청 尹 편지, 검사 출신 대통령으로 부적절

李 대표 비판은 '입틀막'한다니, 反민주당인가

▲ 중앙일보 = 추경까지 열어 둔 경제정책 방향, 관건은 정치불안 해소

검사 출신 대통령의 법질서 유린, 국민은 참담하다

▲ 한겨레 = 물리적 충돌까지 선동하는 윤석열, 즉각 격리해야

재정 신속집행으로 경기 대응 되겠나, 추경 나서라

'내란 비호 세력' 자처하는 국무위원과 대통령비서실

▲ 한국일보 = 우여곡절 끝 8인 재판관… '국가 정상화' 막중 책임 있다

보수 잠룡 합쳐도 이재명 못 미쳐… 여당, 그 이유 돌아보라

새해 경제 추락 막으려 18조원 추가 투입… 여야 협조해야

▲ 글로벌이코노믹 = 휴간

▲ 대한경제 = 국가안위보다 당리당략 우선시한다면 공당 자격 없다

올해 성장 1.8%로 털썩, 내수 견인하려면 건설투자 더 늘려야

▲ 디지털타임스 = "끝까지 싸우겠다"는 `尹집회편지`… 당당한 태도 아니다

올해 고작 1.8% 성장… `관세맨` 트럼프 협상력 강화 화급하다

▲ 매일경제 = 무안 참사 유족 두번 울리는 악성 게시글 엄벌해야

지지자 방패 세운 尹, 대통령 품위 지켜주길

올해 성장률 1.8% 충격 전망, 내수부양 한시가 급하다

▲ 브릿지경제 = 대부업체 '생활금융' 등 옥석 가릴 필요 있다

▲ 서울경제 = 신년 화두는 "초격차 기술"…규제 혁파하고 전방위 지원하라

1%대 성장 전망…신성장 동력 점화 위한 법안 처리 속도 내야

"끝까지 싸우겠다" 尹, 자진 출두로 수사 협조해 충돌 막아야

▲ 이데일리 = 어물쩍 넘길 일 아닌 LCC·지방공항의 안전불감증

가동 임박한 국정협의체, 자영업 지원이 최우선이다

▲ 이투데이 = "증시 우상향", 말잔치만 말고 희망을 보여달라

▲ 전자신문 = 첨단산업 투자가 미래 대비 1순위

▲ 파이낸셜뉴스 = 새해 경제방향 발표, 이젠 과감한 재정정책 쓸 때

전국 15개 공항 시설·운영 실태도 시급히 점검해야

▲ 한국경제 = 우원식 국회의장의 노골적인 정치 행보

10대 분쟁지역 된 한반도, 정쟁은 국경에서 멈춰야

내수 살리기 총력전, 국회도 미래 먹거리法 조속 처리하라

▲ 경북신문 = 공수처와 판사가 정치하는 것 아니냐?… 의혹 제기

▲ 경북일보 = 국회, 미래 먹거리 사업법 초당적 처리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간협, PA 시행규칙에 거듭 반대…"신고제 교육, 안전 담보 못해"
오는 21일 간호법 시행을 앞두고 대한간호협회(간협)가 하위법령인 진료지원(PA) 업무 수행 규칙에 대한 반대 의사를 거듭 밝혔다. 간협은 2일 보건복지부 세종청사 앞에서 2차 집회를 열고 "진료지원 간호사 교육을 '신고제'로 하겠다는 정부의 주장은 안전과 숙련도를 담보할 수 없는 위험한 발상"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신고제 교육에는 표준 교육 방식이 없다"며 "수천 개의 교육기관에서 수만 명의 진료지원 간호사가 수백 가지 방법으로 교육돼 배출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진료지원 업무의 질을 유지하고 관리 감독할 체계적인 콘트롤타워를 구축해야 한다"며 "의료 신뢰성 확보를 위해 진료지원 인력에 대한 공신력 있는 자격증을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협회에 따르면 이날 집회에 전국에서 1만여 명의 간호사가 참여했다. 간호사들은 '교육 이수증 찢기' 등의 퍼포먼스를 했다. 정부 안에 따르면 진료지원 인력에 대한 교육은 이론 및 실기교육, 소속 의료기관에서의 현장실습으로 구성된다. 교육기관은 간협과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등 유관 협회, 3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 전문간호사 교육기관, 공공보건의료 지원센터, 그밖에 복지부 장관이 전담간호사 교육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