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롭게 늙어가는 대한민국…'나혼자 산다' 20%가 70대 이상

전국 226개 시군구 중 69% '초고령'…의성·군위·고흥 '절반'이 노인
올해 초등교 입학 전년比 3만↓ 33만명…2년 연속 감소에 남초 현상

 지난해 주민등록 출생인구 수가 9년 만에 반등했으나 인구 노령화의 그늘은 더 짙어졌다.

 4일 행정안전부의 '2024년 주민등록 인구통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24년 주민등록 전체 인구는 5천121만7천221명이다.

 이를 연령 계층별로 보면 0∼14세 유소년인구는 546만4천421명,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3천549만6천18명,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천25만6천782명이다.

 직전 해와 비교해 0∼14세, 15∼64세 인구는 각각 19만 9천440명(3.52%), 43만 5천39명(1.21%)씩 감소했지만 65세 이상 인구는 52만6천371명(5.41%) 증가했다.

 앞서 우리나라는 지난달 23일 기준으로 65세 이상 주민등록 인구가 1천24만4천550명으로 전체 인구 20%를 차지하며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바 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이 20%를 넘는 광역시도는 전남(27.20%), 경북(26.04%), 강원(25.36%), 전북(25.26%), 부산(23.90%), 충남(22.26%), 충북(21.95%), 경남(21.82%), 대구(20.87%) 등 9곳이었다. 서울도 19.44%로 초고령사회 진입 직전이다.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의 고령화가 더 심각했다.

 65세 이상 인구 중 수도권 거주 인구는 461만6천620명, 비수도권 인구는 564만162명으로 비수도권이 수도권보다 102만3천542명 더 많았다.

 226개 시·군·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곳은 경북 의성군(47.48%), 대구 군위군(47.32%), 전남 고흥군(45.69%), 경남 합천군(45.26%), 경북 청도군(44.27%) 순이었다.

 이에 반해 경기 화성시(10.91%), 울산 북구(11.76%), 광주 광산구(12.10%), 경기 오산시(12.23%), 대전 유성구(12.33%) 등은 고령층 비중이 낮았다.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는 시·군·구는 시 38곳, 군 78곳, 구 35곳 등 151곳이었다. 전체 226개 시·군·구 중 69%에 해당하는 수치다.

 빨라지는 고령화는 연령대별 1인 세대수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2024년 1인 세대의 연령대별 비중을 보면 70대 이상이 20.46%이다. 1인 세대 5곳 중 1곳이 70대 이상인 셈이다.

 다음으로 60대(18.73%), 30대(16.95%), 50대(16.22%), 20대(14.69%), 40대(12.53%), 10대 이하(0.42%) 순이었다.

 수도권 거주 1인 세대는 30대(20.86%), 20대(17.11%), 70대 이상(16.55%), 60대(16.53%) 등의 순이었다.

 한해 사이 70대 이상(79만7천900세대)이 5만2천944세대(7.11%) 증가해 60대(79만6천946세대)를 넘어섰다.

 비수도권은 70대 이상(24.02%)이 가장 많았다. 60대(20.73%), 50대(17.22%), 30대(13.39%), 20대(12.50%), 40대(11.69%), 10대 이하(0.45%)가 뒤를 이었다.

 고령 기준인 65세 이상 1인 세대수는 299만6천207세대(전체 29.60%)로 매년 증가했다. 여자(197만4천924세대)가 남자(102만1천283세대)보다 95만3천641세대 더 많았다.

2016년∼2024년 65세 이상 1인 세대 및 비중 추이

 고령화와 함께 저출생 문제가 지속하며 초등학교 문을 열어젖힐 학생 수는 2년 연속 감소했다.

 올해 초등학교 입학 예정인 6세 인구(2018년생)는 33만4천145명으로 전년(36만 4천740명)보다 3만595명(8.39%) 감소했다.

 2023년 30만명대로 하락한 이후 2년 연속 감소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17만1천369명, 여자는 16만2천776명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8천593명 많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청색광, 교묘하게 눈 건강 위협'…UNIST, 단백질 손상경로 규명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피부나 눈 건강을 해치는 청색광(블루라이트)에 의해 세포 단백질이 손상되는 새로운 경로를 규명했다. 민두영·권태혁·민승규 화학과 교수팀은 청색광이 항산화 시스템을 피해 세포 단백질을 손상하는 과정을 밝혔다고 7일 밝혔다. 청색광은 햇빛, 발광다이오드(LED) 기반 디스플레이 기기, 실내조명 등에서 방출되는 빛이다. 고에너지 가시광선이라 일반적인 자외선 차단제로는 제대로 막을 수 없고, 눈의 각막과 수정체를 통과해 망막까지 도달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체내에 도달한 청색광은 세포 단백질의 산화 손상을 유발해 피부와 눈 건강을 해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내에 녹아 있던 산소가 청색광을 흡수해 반응성이 높은 활성산소로 바뀌면, 이 활성산소가 세포의 단백질 사이를 헤집고 다니면서 단백질 표면을 산화 손상하는 방식이다. 세포 내 항산화 시스템은 이런 활성산소를 무력화시켜 단백질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이번에 연구팀이 규명한 단백질 손상 경로는 항산화 시스템이 닿지 않는 단백질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단백질 내부에 갇힌 산소가 특정 아미노산과 상호작용하며 청색광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를 통해 활성산소로 바뀌는 경로다. 생성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