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람에서 무덤까지"…생애 사이클 따라 없는 기술 없네

아기 상태 체크하는 침대, 입는 유축기, 고령자 반려 로봇…

 "흡사 '요람에서 무덤까지'라는 오래된 표어가 떠오를 정도로, 육아부터 노년 관리까지 우리 삶 전체를 관통하는 기술이 모여 있습니다."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하는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5'를 두고 정보기술 업계에서 나오는 평가다.

 기술이 인간의 삶을 위해 존재하기에 얼핏 당연한 말이지만, CES는 최근까지도 산업·업무 분야 등 딱딱한 주제를 주로 다뤄왔다.

 이제 세세한 일상의 관리까지 인공지능(AI) 등 기술의 혜택이 스며든 모습이 전시장 곳곳에서 포착됐다.

 ◇ 요람에서 디지털이 부모 역할 대행…고령자 AI 비서가 된 로봇

 AI가 장착된 센서가 아기 침대의 온도와 습도는 물론 냄새까지 측정해 기저귀 갈아줄 때가 되지 않았는지, 아기가 자다 깨서 울음을 터트린 것은 아닌지 세세한 정보를 부모의 휴대전화 앱을 통해 전달해준다.

 또 자동으로 높낮이를 조절하면서 아이가 방 안 여러 곳을 둘러볼 수 있게 아이 호기심도 충족해준다.

 미국 회사 시리우스 센스는 아기가 0세부터 7세에 이르기까지 육아에 필요한 아이의 생체 정보를 부모에게 제공하는 AI 기반 돌봄 시스템을 만들었다.

 심장 박동이나 호흡 관련 수치부터 아이 목에 이물질이 걸리진 않았는지 구토 기미가 있지는 않은지 등의 정보를 디지털 기기가 수집해 부모에게 알린다.

 중국 기업 앵커 이노베이션은 수유기 여성이 입는 유축기를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사람의 체온보다 약간 따뜻한 온도를 유지해 모유 유축이 원활하도록 도움을 준다.

 일상에서 착용이 가능한 기기여서 유축을 위해 특별한 장소를 찾는 수고도 덜어준다는 설명이다. 

 국내 기업 웅진씽크빅[095720]은 생성형 AI 기술을 적용해 모든 책을 원하는 언어로 읽어주는 독서 플랫폼 '북스토리'로 최고혁신상을 받았는데, 칭얼대는 아이를 달래는 '육아템'으로 활용할 수 있다. 어린이와 함께 주요한 돌봄 대상은 노년층이다.

 국내기업 신성델타테크는 노인이 겪는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변화를 해결하기 위해 '반려 로봇' 레미(Lemmy)를 개발했다.

 레미는 집안 곳곳에 설치된 센서를 사용해 돌봄 대상 고령층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고, 이상 행동에 즉각적으로 반응한다.

 또 이용자가 친구, 가족, 간병인, 의료 전문가와 연락을 유지하도록 돕는 AI 개인 비서(PAA) 역할도 맡았다.

 ◇ 운동을 더욱 재미있고 쾌적하게…'슬립테크' 기술 '쑥쑥'

 돌봄 노동을 디지털 기술이 대신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용자의 개인 관리도 수요가 큰 부분이다.

 CES 주최 측은 올해 혁신상 대상으로 뷰티, 패션 기술과 함께 퍼스널 케어(개인 관리) 부문을 새롭게 도입하기도 했다.

 국내 기업 휴머닉스가 개발한 세짐은 0.2파운드 단위로 최대 660파운드의 저항을 생성할 수 있는 세계 최초의 디지털 트레이닝 기기로, 피트니스 부문에서 CES 혁신상을 받았다.

 특허받은 기술을 사용해 초당 100회 신체 데이터를 분석해 정확한 진단과 맞춤형 운동을 추천하며, 센서와 AI가 사용된 거울 디스플레이에서 실시간 코칭을 제공한다.

 아웃도어 스포츠를 보다 쉽고 즐겁게 즐길 수 있는 기기들도 소개됐다.

 스위스 회사 이아웃도어가 만든 에스키모(E-SKIMO)라는 스키 보조 전력 구동 장비는 스키어들이 80% 빠른 속도로 슬로프를 오르면서 체력 소모는 30%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내리막길에서 '내리막 모드'를 쓰면 위험하지 않게 하강의 스릴을 즐길 수 있다고 한다. 

 CES 최고혁신상을 받은 중국 웨어러블 로봇 하이페셸 카본 X는 가파르고 험준한 산을 오를 때 근력을 보강해줘서 등산이나 격렬한 운동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수면의 질이 삶의 질로 연결되면서 쾌적하고 질 좋은 수면을 돕는 '슬립테크' 기술도 CES 2025에 대거 출동했다.

 국내 헬스케어 기기 기업 텐마인즈가 전시한 'AI 모필(mopill)'은 머리 위치를 조정해 기도 위치를 최적화하고 사용자가 착용한 스마트 반지와 연동해 호흡, 코골이 등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관리한다.

  스마트 반지 개발사 비브헬스는 자연스러운 수면 질 향상 음향이 나오도록 하는 '비브링(VIV Ring)'을, 세라젬은 수면 패턴을 모니터링해 최상의 수면 환경을 만드는 '홈 메디케어 베드 2.0'을 CES 2025에서 공개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경기도의료원 수원·안성·이천병원, AI 진단보조시스템 도입
경기도는 경기도의료원 수원·안성·이천병원에 'AI 진단보조시스템'과 '의료영상 AI 데이터 플랫폼'을 도입해 AI 공공의료 실증 지원사업에 나선다고 12일 밝혔다. AI 진단보조시스템은 의료기관의 기존 PACS(의료영상 저장·전송 시스템)와 연동돼 실시간 진료에 활용된다. 폐결절, 유방암, 치매, 뇌졸중 같은 주요 질환의 영상 판독과 식약처 인증을 받은 설루션을 지원하는 등 의료진의 판독 업무를 보조해 진단의 정확도와 속도를 높이게 된다. 의료영상 AI 데이터 플랫폼은 3개 병원의 영상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AI 학습용 데이터로 전환해 의료 AI 기업의 데이터 확보 어려움을 해소하게 된다. 유신씨앤씨 컨소시엄이 수행하는 실증사업은 오는 11월까지 7개월간 진행된다. 컨소시엄에는 PACS 연동과 영상 데이터 가명화에 강점을 지닌 유신씨앤시, 폐결절과 유방암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AI 진단 설루션을 보유한 루닛, 뇌질환 중심의 MRI 기반 분석 기술에 특화된 휴런 등 분야별 전문기업이 참여한다. 도는 사업 종료 시점에 맞춰 성과공유회를 열고 시스템 운영 결과와 의료데이터 활용 사례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 확대 여부를 검토하고 향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팬데믹 문턱에 선 조류인플루엔자…반려동물 감염 주목해야"
조류인플루엔자(AI)의 이종(異種) 간 감염이 증가하면 사람에게 전파되기 쉬운 바이러스 변이가 발생해 코로나19에 이은 팬데믹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남중 서울의대 감염내과 교수는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의기협)와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원장 강원택)이 12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19층 기자회견장서 개최한 '조류인플루엔자의 팬데믹 위험성과 대응 전략' 포럼에서 조류인플루엔자의 종간 전파 위험성을 이같이 진단하고 팬데믹 발생 대비를 서둘러야 한다고 밝혔다.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고병원성과 저병원성으로 구분된다. 이중 인체에 감염되는 건 고병원성인 H5N1형이다. H5N1형은 1959년 처음 발견된 이후 가금류와 야생조류를 중심으로 확산해왔지만, 최근 들어 포유류와 사람에게 전파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H5N1형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젖소, 고양이, 양, 개 등으로 옮겨간 사례가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영국과 멕시코 등지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의 인체 감염 사례가 추가로 확인됐다. 김남중 교수는 "조류인플루엔자가 가금류와 야생조류에서 포유류로 종간 장벽을 넘어서는 '스필오버'(spillover) 현상과 포유류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