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란·성매매 정보 판치는 랜덤채팅앱…시정요구 5년새 5배 급증

작년 1만7천377건 역대 최다…'엑스' 성매매 정보 시정요구도 1년새 1만1천건 늘어

 랜덤 채팅앱에 대한 음란·성매매 정보 시정 요구 건수가 지난해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한민수 의원이 최근 방송통신심의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랜덤 채팅앱 음란·성매매 정보 시정 요구는 1만7천377건으로 역대 가장 많았다.

 이는 2019년(3천297건) 대비 약 5배 증가한 수치다.

 2020년 시정요구는 6천848건에서 이듬해 6천653건으로 소폭 줄었으나 2022년 9천313건, 2023년 1만4천958건 등 증가 추세다.

 랜덤 채팅앱은 주제·나이와 상관 없이 다양한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이지만, 이와 같이 음란·성매매 정보가 많이 적발되며 규제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상위 5개 앱이 전체 시정요구 건수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는 셈이다.

 글로벌 소셜미디어(SNS)에서는 성매매 관련 시정 요구가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X(엑스·옛 트위터)에 대한 성매매 정보 시정 요구는 1만6천616건으로 전년(5천388건) 대비 1만1천228건 증가했다. 음란 정보 시정 요구는 작년 9천707건으로 같은 기간 659건 감소했다.

 페이스북에 대한 음란 정보 시정 요구는 작년 72건으로 전년(89건) 대비 소폭 줄었으나, 성매매 정보 시정 요구는 같은 기간 869건 증가한 1천207건으로 집계됐다.

 반면, 인스타그램·텀블러는 음란 정보 시정 요구가 증가했고, 성매매 관련 시정 요구는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작년 인스타그램에 대한 음란 정보 시정 요구는 185건으로 전년 대비 69건 증가했다. 성매매 정보 시정 요구는 276건 감소한 2천559건이었다.

 텀블러에 대한 지난해 음란 정보 시정 요구는 2천887건으로 전년(292건) 대비 2천595건 증가했고, 성매매 정보 시정 요구는 1천217건으로 644건 감소했다.

 2023년 성매매 정보 시정 요구 2건을 받은 틱톡은 지난해 음란 정보 시정 요구 6건을 받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