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0일 조간)

▲ 경향신문 = 박정훈 대령 항명 무죄, '윤석열 격노' 유죄라는 의미

'관저 체포' 충돌 일어나면 윤석열·최상목 책임이다

명태균 여론조사 받은 윤석열의 거짓말, 이걸 덮은 검찰

▲ 국민일보 = 내란 특검법, 여야 합의로 처리하는 게 바람직하다

이단 JMS 정명석 교주 처벌이 한국 교회에 던지는 과제

▲ 동아일보 = 與野 '대법 추천 내란 특검' 합의로 수사 난맥 정리하라

박정훈 1심 무죄… 부당한 명령 거부는 항명이 아니라는 뜻

떠나는 주한 美 대사 "계엄은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 불행"

▲ 서울신문 = 시동 건 국정협의회, 민생·경제 집중해 성과 내야

박정훈 대령 무죄, 채 상병 사건 외압 의혹도 수사 속도를

특검 찬성했다고 "탈당"… 與 '중도 확장' 포기한 건가

▲ 세계일보 = 한·미 원전 수출 MOU 체결… 巨野도 몽니 접고 협력해야

당론 거슬렀다고 탈당 권유한 국민의힘 옹졸하다

신임 의협 회장, 장기 의료 공백 더 방치해선 안 돼

▲ 아시아투데이 = 공수처, 무리한 尹 체포 접고 불구속 수사해야

단발성 추경보다 더 중요한 원전 생태계 회복

▲ 조선일보 = 野 무더기 연쇄 탄핵소추에 헌재 "각하될 수 있다" 경고

특검 찬성했다고 탈당하라니, 국힘은 '계엄 수호당'인가

"韓 정치인들 정치적 야망 추구할 때 아니다" 美 일각의 우려

▲ 중앙일보 = 내란 특검 도입으로 수사권 논란 빌미 차단해야

국민의힘, 김상욱 탈당 강요는 자해적 행태

▲ 한겨레 = 박정훈 대령 1심 무죄, 정의는 승리한다

경호처는 '윤석열 사병들'이 아니다

'특검 찬성' 의원 겁박 권성동, '백골단 비호' 김민전

▲ 한국일보 = 박정훈 대령 항명 무죄… 핵심은 'VIP 격노·외압'이다

'당론 반대' 의원 따돌리더니 탈당 겁박한 국민의힘

길어진 설 연휴, 매출 격감 소상공인 한숨도 살펴야

▲ 글로벌이코노믹 = 휴간

▲ 대한경제 = K-건설, 이젠 해외수주 2조달러 향해 달리자

전례없는 SOC예산 신속집행, 공사진행 여건부터 살펴야

▲ 디지털타임스 = 尹수사 갈등, 법적 하자 털어낸 내란특검법이 해법이다

`여야정 협의회` 출범… 또 공수표 되면 대한민국 희망없다

▲ 매일경제 = 과잉진료 주범 실손·비급여 개편 더 미뤄선 안돼

'10년 후 복지지출 OECD 최고' 세대 전쟁 걱정된다

분출하는 개헌 논의 … 87체제 이대로는 안 된다

▲ 브릿지경제 = 급변하는 철강산업 해법, 경쟁력 강화에 '답' 있다

▲ 서울경제 = '쌍특검' 위헌 소지 독소 조항 빼고 여야 합의로 처리하라

巨野 "최소 20조 추경 편성" …선심성 현금 살포 경계해야

'트럼프 스톰' 임박, 시나리오별 대책 마련해 국익·안보 지켜라

▲ 이데일리 = 동력잃은 의료개혁, 원점 재논의로 의·정갈등 풀어야

美, 한국 정치안정 강조… 최 대행 체제 이래도 흔들 건가

▲ 이투데이 = '24조원대' 현대차 투자, 박수 보내고 말 일 아니다

▲ 전자신문 = 11차 전기본도 민생사안이다

▲ 파이낸셜뉴스 = 尹 체포 시도해도 불상사만큼은 절대 없어야

경제위기 속에 빛나는 현대차의 통큰 국내투자

▲ 한국경제 = 헌재에서 속속 막히는 野 무차별 탄핵 …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다

현대車 국내에 사상 최대 투자 … 기업가정신은 살아있다

의료시스템 망친 실손보험, 이번에 확실히 뜯어고쳐라

▲ 경북신문 = 경북도의 '농업 대전환 핵심전략' 기대된다

▲ 경북일보 = 대왕고래 프로젝트 이익공유 펀드 기대 크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 누가 우리 몸의 주인인가? 우리 몸의 주인은 누구일까? 이 질문은 지구상 생명체 중 누가 주인인가 하는 질문과 일맥상통한다. 대부분의 사람이 인간이 이 세상의 영장이고 주인이라고 주저 없이 대답할 것이라 생각한다. 과연 그럴까?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세균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세균이 과연 건강의 적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다. 많은 사람이 세균을 박멸해야 할 대상으로 치부한다. 하지만 인간이 세균을 완전히 박멸할 수 있을까? 절대로 못 한다. 인간의 피부에만 약 1조 마리, 소화기관에는 무려 100조∼400조 마리의 세균이 살고 있다. 인간의 세포 수보다 많은 세균을 어떻게 박멸할 수 있겠는가? 인간의 생명 유지에 가장 필수적인 것이 산소다. 인간이 호흡하기에 적당한 산소의 농도, 즉 지구상의 산소 농도를 21%로 맞춰준 존재가 바로 세균이다. 그런 의미에서 세균은 온갖 생명체의 시조이자 지구상에서 수십억 년을 살아온 원주(原主) 생물이며, 지구의 주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니까 세균은 우리의 적이 아니고 우리가 신세를 지고 있는 소중한 생명체다. 이외에도 세균은 우리 몸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비유하자면 세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