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노인이 생각하는 노인연령은 평균 71.8세

베이비부머 유입에 평균 학력·소득↑…"정책 세분화 필요"

 노인연령 상향 논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경기지역 노인들이 스스로 생각하는 노인연령은 평균 71.8세로 나타났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인집단 유입이 본격화하며 평균 학력과 소득이 높아져 관련 정책의 세분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20일 경기도가 한국갤럽과 함께 지난해 8~9월 도내 거주 65세 이상 노인 3천599명을 표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성별의 경우 여성(55.0%)이 남성(45.0%)보다 10%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65~69세가 40.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70~74세(20.8%), 75~79세(16.1%), 80~84세(13.4%), 85세 이상(9.0%) 등의 순이었다.

 65~69세 노인 비중이 커지면서 평균 학력과 소득도 높아져 고졸 이상의 학력이 53.1%로 2021년 44.2%보다 8.9% 포인트 늘어났다.

 월평균 소득이 100만~300만원 구간도 2021년 51.7%에서 지난해 56.7%로 증가했다

 이와 함께 노인들이 스스로 생각하는 노인연령은 평균 71.8세로 조사됐다.

 이는 법적 기준인 65세보다 6.8세 많은 것이다.

 구간별로는 70~74세(45.8%)로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 취업 중'이라는 응답자가 45.2%로 나타났고 이유로는 '생계비 마련(79.4%)'을 가장 많이 들었다. '생계비 마련'은 2021년 조사보다 10.7% 포인트 상승했다.

노인실태조사 주요 결과

 노후 생활비 마련 방법은 '본인 스스로(40.9%)'가 가장 많았고, '본인과 사회보장(34.5%)', '사회보장(16.3%)' 등이었다.

 2021년 조사 때의 '본인과 사회보장(31.0%)', '사회보장(29.1%)', '본인 스스로 마련(28.5%)'과는 뒤바뀐 결과다.

 응답자의 85.8%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를 보유했는데 이는 2021년보다 24.7%나 증가한 수치다.

 김하나 경기도 복지국장은 "베이비부머 세대의 노인집단 유입이 본격화되며 경기도 노인의 인식과 생활의 변화를 명확히 보여줬다"며 "노인복지정책의 변화 및 세분화가 요구되고 있는 만큼 조사 결과를 토대로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세심한 제도적 지원과 서비스를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경기복지재단 누리집(www.ggwf.gg.go.kr) 정책연구보고서 코너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혈당측정기 온라인 가격 강제…아이센스 과징금 2억5천600만원
온라인 재판매 업체들이 자사의 혈당측정기를 특정 가격 이하로 싸게 팔지 못하도록 '갑질'한 의료기기업체가 억대 과징금을 물게 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아이센스에 과징금 2억5천600만원을 부과하기로 했다고 최근 밝혔다.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한 위법 행위 방지 교육 실시 명령도 했다. 아이센스는 2019∼2024년 자가혈당측정기 세트의 온라인 권장 판매가격을 준수하지 않은 온라인 재판매 업체에 불이익을 준 혐의를 받는다. 국내 상장사 기준으로 2020년 이후 60%가 넘는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는 아이센스는 오프라인 유통점의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 가격을 강제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이센스는 2019년 혈액을 묻힐 수 있게 제조된 용기인 '스트립'을 저가로 판매하는 업체를 자체 적발해 공급가 10% 인상·공급 수량 제한·신규 영업활동 제한 등 불이익 조치를 부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이후에는 온라인총판 계약을 체결한 대한의료기와 함께 온라인 판매 가격을 점검한 뒤, 20개 업체를 '블랙리스트'로 관리하면서 공급 중단을 실행하기도 했다. 이는 거래 가격을 정해 그 가격대로 판매할 것을 강제하는 '재판매 가격 유지 행위'에 해당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