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근의 'K-리큐르' 이야기…설날에 마시는 도소주

 우리 조상은 세시풍속에 따라 그에 알맞은 음식을 먹었고 술을 마셨다.

 정월에는 떡국, 식혜, 수정과, 대보름에는 오곡밥과 나물을 먹는다. 3, 4월에는 화전과 미나리강회를, 7월에는 삼계탕, 8월 추석에는 송편을 해 먹고 10월에는 김장을 한다.

 동지에는 팥죽을 쑤어 먹고, 섣달에는 동치미, 호박범벅, 조청을 먹었다. 그와 함께하는 술로 설날에는 '세주'(歲酒·한 해 동안의 무병장수를 위해 설날에 마시는 술)인 도소주(屠蘇酒)를 마셨다.

 세주인 도소주의 기원은 중국이다. 후한(後漢) 시대 명의 화타(華陀)가 처음 만들었다고도 하고, 당나라 손사막(孫思邈)이 만들었다고도 한다.

 우리나라에도 일찍부터 상류층에 전해 내려왔다. 고려시대는 흔히 마셨지만, 조선시대는 덜 마시게 되었다고 한다.

 현대에 와서 중국에서는 도소주를 마시는 풍속이 거의 사라졌다. 우리나라는 최근 전통주를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 도소주에 의미를 담아 즐기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다.

 세주는 데우지 않고 찬술을 그대로 마시는데 전혀 가공하지 않은, 즉 끓이거나 데우지 않은 가장 원초적(시작)임을 뜻한다.

 도소주의 도(屠)는 '때려잡는다'라는 의미이고 소(蘇)는 '사악한 기운'을 말하며 옛날의 사악한 기운은 전염병을 말한다.

 즉, 도소주는 한 해 동안 전염병에 걸리지 않고 건강하게 지내길 바라는 술이다. 술이라고는 하지만 술을 팔팔 끓여서 알코올은 사실 없다.

 그래서 어린이도 마실 수 있었기에 설날 아침에 차례를 지낸 후 온 가족이 동쪽을 향해 앉아, 나이가 가장 어린애부터 어른 순으로 차례차례 마셨다.

 유교문화의 장유유서 관점에서 보면 이상하지만, 어린아이가 전염병에 보다 취약하기도 했고 또 나이 어린 사람은 한 살 더 먹는 것을 축하해주고 나이 든 사람은 한 살 더 먹는 것에 대한 조심스러움이 술 마시는 순서에 나타났다고도 본다.

 모두가 동쪽을 향해 앉는 이유는 동쪽이 해가 뜨는 방향이기 때문인데 새해 첫날부터 양기를 받아 일 년을 무사히 보낼 수 있게 해달라고 기원하는 것이다.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면서 나이 들어감을 쓸쓸해하며 그것을 도소주를 마시는 순서에 빗대어 쓴 재미난 시(詩)가 있다.

 신정(申晸·1628∼1687)이 '분애유고'(汾厓遺稿)의 '원조'(元朝) 편에 "도소주를 가장 나중에 마신다 고 한탄하지 말게나, 이 몸도 역시 일찍이 소년이었다네"라고 쓴 내용이나 임상원(任相元)이 '염헌집'(恬軒集)의 '정사원일'(丁巳元日) 편에 "도소주를 마실 때 내 나이 많아졌음을 깨달았네"라고 쓴 시구가 그러하다.

도소주 재료

 도소주를 만드는 방법은 동의보감에 기록돼있다.

 대황, 백출, 산초, 도라지, 천오(독성이 강해 현대에는 제외), 호장근, 계심 등 일곱 가지 약재가 들어간다.

 음력 12월 그믐에 약재를 넣은 붉은 주머니를 우물 속에 담갔다가 정월 초하루 새벽에 꺼내 맑은 술에 넣고 팔팔 끓인 다음 식혀서 마셨다.

 맑은술에 우려낸 약재 주머니는 다시 우물에 담가뒀다.

 우물을 함께 사용하는 온 동네 사람들도 함께 건강하기를 바라는 마음이었다.

 하지만 도소주를 만들지 못하였을 때는 다른 약주나 청주를 도소주라고 하여 마시기도 했다.

 또, 향료와 계피 등을 넣어 약주처럼 마셨다. 정월 초하루에 마시는 술을 그냥 도소주라고 불렀을 가능성도 있다.

 배상면주가에서 매년 한정판으로 도소주를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올해에도 '2025 도소주'를 2천25병 한정판으로 출시했다.

 다만 이 도소주는 12도 도수가 있다.

2025 도소주

 집에서 초간단 도소주를 만드는 법을 소개하면 먼저 약주나 청주를 준비한다.

 약재는 마트에서 판매하는 삼계탕 약재 팩을 구입하면 된다.

 준비된 술과 약재 팩을 함께 오래 끓여서 알코올을 모두 증발시키면 도소주가 완성된다.

 이번 설날에 차례 후 모두 모여앉아 도소주의 의미를 되새기며 함께 한잔씩 마셔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신종근 전통주 칼럼니스트

 ▲ 전시기획자 ▲ 저서 '우리술! 어디까지 마셔봤니?' ▲ '미술과 술' 칼럼니스트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