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킥보드' 사고 중증외상 7년새 3배↑…중증외상 장애율 급증

2023년 전체 중증외상 환자 8천192명…전년比 장애율 6.5%P↑, 중증장애율 5.0%P↑
중증외상 원인 1위 운수사고…"개인형이동장치 안전지침 상반기 보급"

 중증외상으로 인한 장애율은 물론 이로 인한 중증장애율이 지난 2023년 갑자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 정부가 원인 분석에 나섰다.

 질병관리청은 2023년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통계를 최근 발표했다.

 중증외상은 운수사고, 추락·미끄러짐 등에 의한 외상 중 손상중증도 점수가 높거나(16점 이상) 외상에 의해 병원 도착 전 심정지 또는 사망한 경우를 가리킨다.

 질병청은 2019년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사업을 구축하고 119구급대를 통한 중증손상·다수사상 응급실 이송 건을 전수조사해 관련 통계를 내고 있다.

 성별로 보면 남성 환자가 72.0%로 다수였다. 연령별로는 60대가 22.7%로 가장 많았다.

 중증외상 환자 중 사망자의 분율인 치명률은 54.7%로 전년도 56.3%에서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생존자 중 장애율은 2022년 67.3%에서 2023년 73.8%로 6.5%포인트 늘었고, 이 중 활동장애 정도가 식물인간·중증장애인으로 판정된 '중증장애율'은 23.8%에서 28.8%로 역시 5.0%포인트 늘었다.

 이는 최근 8년간 가장 가파르게 증가한 수치다. 특히 중증장애율은 2016년 29.3%에서 2022년 23.8%로 전체적으로 감소세였으나 2023년 급증했다.

 질병청은 "장애율과 중증장애율이 2023년에 상당히 증가한 이유에 대해서는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증외상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운수사고(49.1%)가 지목됐다. 추락·미끄러짐(43.8%)으로 인한 건도 많았다.

 운수사고는 2016년부터 중증외상 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다만 2016년 59.6%에서 2023년 49.1%로 전체적으로는 줄어든 반면 추락·미끄러짐은 같은 기간 33.5%에서 43.8%로 꾸준히 증가했다.

 운수사고 중에서는 차량 등으로 인한 건수가 감소한 것과 대조적으로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가 포함된 기타 유형이 늘었다.

 이 유형의 중증외상 환자는 2016년에는 34명에 불과했지만 2023년에는 103명으로 3배 이상 증가했다.

 질병청은 "개인형 이동장치 사용 중 사고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75%는 헬멧을 착용하지 않았다"며 "최근 빈번히 발생하는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에 따른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안전사용 지침을 개발해 올해 상반기 중 보급하겠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중증외상 발생 시 손상 부위는 주로 머리 쪽으로, 안전모 등 안전장비 착용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2023년 중증외상 환자 중에서는 머리를 다친 비율이 42.4%로 가장 높았고 흉부 손상 환자 비율은 32.7%, 다리 손상은 13.5%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