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00만 특례시' 새출발 화성시, 4개 일반구 설치 추진

만세·효행·병점·동탄구…행안부에 설치 승인 요청

 2년 연속 인구 100만명 이상을 유지해 올해 1월 1일자로 특례시가 된 경기 화성시가 산하에 4개 일반구(區) 설치를 추진 중이다.

 27일 화성시에 따르면 화성시는 2년 연속 100만명 이상의 인구를 유지할 경우 기초자치단체 법적 지위를 유지하면서 광역시에 준하는 행·재정적 권한을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한 지방자치법에 따라 올해부터 특례시가 됐다.

 수원시와 용인시, 고양시, 창원시에 이어 전국에서 5번째이다. 화성시 인구는 2023년 12월 100만명을 넘어섰으며, 현재 100만3천400여명이다.

 만세구는 우정읍·향남읍·남양읍·마도면·송산면·서신면·팔탄면·장안면·양감면·새솔동 등 3읍·6면·1동을, 효행구는 봉담읍·매송면·비봉면·정남면·기배동 등 1읍·3면·1동을 관할하도록 획정했다.

 또 병점구는 진안동·병점1동·병점2동·반월동·화산동 등 5동을, 동탄구는 동탄1~9동을 관할 구역으로 하는 것으로 잠정 결정했다.

 시의 구상대로 일반구가 설치될 경우 구별 인구는 만세구가 23만7천여명(시 인구의 24.5%), 효행구가 14만9천여명(15.2%), 병점구가 17만3천여명(18.0%), 동탄구가 40만9천여명(42.2%)이 된다.

 지난해 11월 14일 시가 경기도에 '화성시 일반구 설치계획'을 제출하고, 도가 같은해 12월 24일 행안부에 '화성시의 일반구 설치 관련 타당성 검토 결과'를 제출한 상태다.

 시는 행안부가 올해 안에 구 설치를 승인할 경우 곧바로 각 구청 임시청사 마련 등 준비에 들어가 내년 1월 구청 체제를 출범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행안부의 작은 정부 기조와 계속 이어지고 있는 탄핵 정국, 구청별 관할 구역에 대한 일부 시민의 이견 등은 구청 체제 출범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화성시 관계자는 "면적(844㎢)이 서울의 1.4배, 수원의 7배인 화성시는 행정 서비스 사각지대에 놓인 주민을 위해 구청 설치가 꼭 필요하다"며 "인구 100만명의 특례시가 된 만큼 행안부와 긴밀하게 협의해 지역 숙원인 구청이 설치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