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사회 가속에 작년 55∼64세 경제활동 참가율 역대 최고

작년 고령자 고용률 69.9%…계속고용 논의 속 올해 70%대 가능성

 고령화 사회가 가속하면서 작년 고령자(55∼64세) 경제활동 참가율이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고용노동부의 고령자 고용동향에 따르면 2024년 고령자 경제활동 참가율(취업자와 실업자 비중)은 71.6%로, 전년(71.4%) 대비 소폭 상승했다.

 고령자 경제활동 참가율은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83년 38.6%(55세 이상 대상)였으나 대상을 55∼64세로 좁힌 1989년 60.7%를 기록했다.

 고령자 고용률은 69.9%로 전년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고령자 고용률은 2017년 이후까지 2021년까지 꾸준한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2022년 증가세로 전환했다.

 특히 고령자 고용률은 현재 고령자 계속고용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어 올해는 연간 수치가 처음으로 70%대를 기록할 수 있으리라는 전망이 나온다.

 고령자 실업률은 전년 2.1%에서 2.4%로 올랐다.

 연령별로 나눠보면 법적 정년(60세) 이전인 55∼59세의 고용률이 75.8%, 실업률은 2.0%로 60∼64세의 고용률(64.0%)과 실업률(2.8%)보다 나은 모습을 보였다.

 노동부는 "전반적인 고령자 고용 규모는 증가하는 추세지만,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가 본격적으로 은퇴하면서 경제활동인구 부족이 우려된다"며 "양질의 고령자 일자리가 부족하고 임시·일용근로자 비중이 커 적극적인 취업 알선과 취업 지도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고 해석했다.

 [표] 최근 5년간 고령자(55∼64세) 고용동향 (단위: 천명 ,%)

 

  2020 2021 2022 2023 2024
15세 이상 전체인구 44,785 45,080 45,260 45,407 45,570
고령자 인구 비중 17.9 18.1 18.2 18.3 18.5
고령자 경제활동참가율 68.8 68.6 70.3 71.4 71.6
고령자 고용률 66.6 66.3 68.8 69.9 69.9
고령자 실업률 3.3 3.3 2.2 2.1 2.4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