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소방활동 6만4천건…긴 연휴·대설에 전년보다 49%↑

 소방청은 올해 설 연휴기간 소방활동 통계를 분석한 결과 긴 연휴와 대설·한파 등의 영향으로 작년 설 연휴 대비 화재·구조·구급 등 출동건수가 증가했다고 31일 밝혔다.

 소방청에 따르면 설 연휴 기간이었던 이달 25∼30일 6일간 화재·구조·구급 등 소방활동은 모두 6만4천852건이었다.

 연휴 기간이 4일이었던 2024년(4만3천504건)에 비해 49.1%(2만1천348건) 증가했다.

 소방 활동별로 보면 화재 607건, 구조 1만3천23건, 구급 5만1천222건이었다.

 설 연휴 기간 화재는 하루 평균 101건 발생했다. 이로 인한 인명피해는 사망 6명, 부상 34명이었다.

 구조활동 중 장애물 제거 및 안전조치는 656건으로, 대설·한파 등으로 인해 전년(97건)보다 5배 이상 늘었다.

 소방당국의 구급활동으로 이송된 환자는 2만7천603명이었다.

 이송환자 연령대는 70대 이상(40.9%)이 가장 많았다.

 설 연휴에 몰아친 대설·한파로 한랭질환 환자 수는 전년 5명에서 18명으로 크게 늘었다.

 119 신고는 전년(9만3천127건)보다 50% 증가한 13만9천709건이었다.

 구급상황관리센터로 접수된 '병의원·약국 안내' 등 일평균 상담건수는 7천703건으로, 전년(8천863건)보다 1천160건(13.1%) 감소했으나 '의료 지도'는 24건(7.1%), '이송병원 안내'는 113건(111.6%) 증가했다.

 박근오 소방청 119대응국장은 "긴 연휴와 대설·한파 등의 영향으로 소방활동이 전반적으로 증가했음에도 국민의 적극적인 협조로 명절을 무사히 보낼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국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