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산재 신청·승인 10년내 최다…외국인 신청 1만건 넘어

신청 건수 전년比 6.5%↑…"산재 대상 확대·인식 개선 덕분"
외국인 산재 신청 중 사고 산재가 92.6%…주로 제조·건설업

 지난해 산업재해 보상 신청과 승인 건수가 최근 10년 내 최다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근로복지공단의 연도별 산재 신청 및 승인 현황(2015∼2024년)에 따르면 지난해 산재 신청은 17만3천603건으로, 전년 16만2천947건보다 6.5% 증가했다.

 산재 신청은 2015∼2017년 9만건대를 기록하다가 2018년 10만건을 돌파했다.

 최근 5년간에는 증가 폭이 더 커져 2020년 12만3천921건과 비교하면 40.1%가 늘었다.

 승인 건수(15만1천753건) 또한 10년 내 가장 많았다.

 공단은 "노무제공자에게 산재를 적용하는 등 산재 보호대상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산재보험에 대한 인식이 확대·개선된 덕분에 전체 산재 신청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90% 안팎이던 승인율은 2023년 89%, 2024년 87.4%로 줄어드는 추세다.

 2019∼2022년 60%대이던 질병 산재 승인율이 2023년부터 50%대로 떨어지면서 전체 승인율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공단은 업무상 질병 신청이 급증함에 따라 산재 인정기준에 미달하는 건수가 증가해 승인율이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인정기준에 미달하는 뇌심혈관 질병 신청 및 고령자의 소음성난청 신청이 증가한 것 또한 영향이 있었다고 전했다.

 [표] 전체 산재 신청 및 승인 현황 (단위: 건)

 

연도 전체 사고(출퇴근 포함) 질병
신청 승인 신청 승인 신청 승인
2015 97,932 87,550 87,815 82,709 10,117 4,841
2016 97,252 87,215 86,951 82,474 10,301 4,741
2017 98,093 87,792 86,421 81,811 11,672 5,981
2018 114,687 104,901 101,712 97,168 12,975 7,733
2019 124,988 113,727 106,722 102,652 18,266 11,075
2020 123,921 112,670 105,287 101,238 18,634 11,432
2021 141,727 128,466 116,856 112,767 24,871 15,699
2022 150,862 135,983 122,066 117,940 28,796 18,043
2023 162,947 144,965 131,281 126,632 31,666 18,333
2024 173,603 151,753 135,384 129,926 38,219 21,827

 

 한편 외국인 근로자의 산재 승인 신청 또한 매년 꾸준히 늘어 지난해 1만건을 넘어섰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김위상 의원이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외국인 근로자 산재 신청은 1만161건으로, 전년 대비 6.5% 증가했다.

 외국인 근로자 산재 신청은 2020년 8천62건에서 2021년 8천555건, 2022년 8천886건, 2023년 9천543건 등 매년 증가세다.

 지난해 외국인 산재 신청 중 92.6%가 사고 산재로, 내외국인 전체 산재 신청에서 사고가 차지하는 비중(78%)보다 훨씬 높았다.

 외국인 산재 승인율은 2020년 96.5%에서 지난해 94.2%로 소폭 줄었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30인 미만 사업장에서 62.2%가 나왔다.

 업종별로는 제조업과 건설업이 74.3%를 차지했다.

 김 의원은 "내국인이 기피하는 위험하고 힘든 업종을 외국인 근로자가 채우는 가운데 열악한 환경에서 산업을 지탱하는 143만명 외국인 근로자의 근무 여건을 철저히 살펴봐야 한다"며 "안전관리가 취약한 소규모 사업장과 한국어가 서툰 외국인 특성을 고려한 맞춤 안전 대책도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표] 외국인 근로자 산재 신청 및 승인 현황 (단위: 건)

 

연도 전체 사고 질병
신청 승인 신청 승인 신청 승인
2020년 8,062 7,778 7,814 7,647 248 131
2021년 8,555 8,199 8,184 8,003 371 196
2022년 8,886 8,509 8,497 8,285 389 224
2023년 9,543 9,097 9,011 8,741 532 356
2024년 10,161 9,571 9,407 9,155 754 416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