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한 외국인 환자 10명 중 4명 "한국 문화가 한국행에 영향"

보건산업진흥원 보고서…동남아·중동 환자 중엔 70% 이상

  한국을 찾아 의료 서비스를 받은 외국인 환자 10명 중 4명은 한국 문화가 한국 의료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2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2023년 외국인 환자 한국 의료 이용 경험 및 만족도 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국내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은 외국인 환자 1천5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

 한국 의료를 선택할 때 한국 문화 경험이 영향을 주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41.3%가 '그렇다'고 답했다.

 직전 조사인 2022년의 49.7%보다는 8.4%포인트 낮아졌지만, 여전히 높은 비중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국적별로는 동남아(70.8%), 중동(70.2%) 출신 환자들의 경우 10명 중 7명 이상이 한국 문화가 한국행에 영향을 미쳤다고 한 반면 러시아(20.5%) 환자에선 이 같은 응답률이 가장 낮았다.

 환자의 연령층이 낮아질수록 한류의 영향이 두드러졌다.

 의료기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에선 의원·병원급 관계자가 "한국 연예인 사진을 들고 오는 환자가 90% 이상"이라 말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보고서는 "한류를 통한 환자 유치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뿐 아니라 의원급도 홈페이지 언어 지원과 제도 안내 등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만 "한국 문화 경험은 한국 의료서비스 선택 과정에는 영향을 미치나 추후 의료서비스 경험 관련 평가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며 "높은 수준의 서비스 제공과 사후 관리를 통해 고객 유지와 확대를 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 외국인 환자들의 한국 의료서비스 종합 만족도는 90.2점으로, 전년도보다 1점 높아졌다. 한국 의료서비스를 타인에게 추천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률도 전년보다 2.8%포인트 오른 97.4%를 기록했다.

 이들은 한국서 평균 8천910.9달러(약 1천300만원)를 지출했고, 이중 의료비 비중은 61.9%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심혈관질환자 중강도 이상 운동 꾸준히 하면 재발위험 13%↓"
심혈관질환 환자 중엔 '심장에 무리가 갈 수 있다'는 우려에 운동을 꺼리는 경우가 있지만, 오히려 꾸준한 운동이 재발 위험을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은 이 병원 권준교 교수팀이 이런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영국 스포츠의학 저널'에 최근 게재했다고 14일 밝혔다. 권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2010∼2017년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을 진단받고 관상동맥중재술이나 관상동맥우회술을 받은 20세 이상 환자 3만여 명의 운동량 변화와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6.7년간 추적 관찰했다.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은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의 혈관 내에 급성으로 생긴 크고 작은 혈전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혈관이 폐쇄되거나, 혈전에서 분비된 혈관 수축성 물질로 인해 심장에 혈류 공급이 부족해지는 질환이다. 심근경색, 불안정 협심증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연구 결과 급성관상동맥증후군 진단을 받기 전과 후에 주 1회 30분 이상 빠르게 걷기, 자전거 타기, 가볍게 뛰기 등의 '중강도 이상 운동'을 한 그룹의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은 운동을 전혀 하지 않은 그룹보다 13% 낮았다. 진단받은 후에 새롭게 운동을 시작하더라도 운동을 전혀 하지 않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