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ong>인력 감원 (PG) [연합]</strong>](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208/art_17402904211186_8d0e3a.jpg)
한 사회복지법인이 시설 내 성희롱에 문제를 제기한 직원을 부당하게 해고하고, 복직 후에도 보복하고 있다며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시민단체의 주장이 나왔다.
직장갑질119 온라인노조는 23일 A사회복지법인에 대해 "부당해고가 인정되자 (해고된 직원을) 사문서위조 등 혐의로 경찰에 고소하고 과장으로 강등 발령하는 등 '보복 갑질'을 일삼고 있다"고 주장했다.
당시 중노위는 "법인의 이사회가 파행적이고도 기형적으로 운영된 것은 이사장, 이사, 감사들이 오랜 기간 바로잡지 않고 방치했던 사실에 기안한다"며 "근로자에게 징계 책임을 묻는 것은 정의 관념에 비춰 심히 부당하다"고 B씨의 손을 들어줬다.
온라인노조는 B씨가 전 이사장 아들인 전 시설장의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한 진정을 제기하는 등 문제를 지적하자 시설장과 동서지간인 후임 이사장이 이사회를 열어 그를 부당하게 해고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사회복지시설의 사유화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며 지자체의 적극적인 감독을 촉구했다.
온라인노조 최지원 사회복지지부장은 "시설과 법인에 강력히 책임을 묻고 위수탁 규제 및 사업을 운영할 수 없도록 철저히 감독해야 한다"며 "정부와 지자체에서 관리·감독을 체계화하지 않는다면 사회복지시설의 불법 운영은 뿌리 뽑히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