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4일 조간)

▲ 경향신문 = 윤석열 최후진술, 내란 사과하고 '판정 승복' 약속해야

식품·주거·의료 지출이 70%, 살아도 사는 게 아닌 서민들 삶

한국 반도체 기술, 중국에 추월당했다니

▲ 동아일보 = '연금 받는 돈' 1%P 차 못 좁히는 與野… 무책임 정치 흑역사 될 것

野, 반도체법은 후퇴 노란봉투법은 재발의… '성장 우선' 맞나

의대 신입생에 휴학 동참 압박… 부당한 집단행동 멈춰야

▲ 서울신문 = 광장도 캠퍼스도 '탄핵 분열'… 헌재 결정 승복 다짐부터

이 와중에 노란봉투법 재발의 野, '경제중심당' 말뿐인가

'계엄옹호당' 못 벗어나 중도 민심 걷어찬 與

▲ 세계일보 = '尹 최후 진술', 국민에게 사과하고 승복 메시지 밝혀야

"中, 韓 반도체 추월", 이래도 여야는 '특별법 합의' 못하나

'영원한 친구 없다'는 냉혹한 현실 일깨운 러·우 전쟁 3년

▲ 아시아투데이 = 중앙지법, 공수처 누락 2024-6 영장내용 밝혀야

국민의힘, 영장은폐에 긴급 의원총회라도 열기를

▲ 조선일보 = 대통령은 승복 약속하고, 與野는 헌재 압박 중단해야

우크라 北 포로, 정쟁 대상 되기 전에 빨리 데려와야

美는 '러 침공' 부인, 유럽은 美 빠진 '핵 공유', 무너지는 질서

▲ 중앙일보 = 반도체 기술 중국에 역전당했는데 발목만 잡고 있는 정치권

만족스럽지 못해도 연금개혁 무산 안 된다

▲ 한겨레 = 검찰의 잇단 김성훈 영장 기각, 켕기는 거라도 있나

중도층 등돌리는데 민주당 욕만 하는 국민의힘

트럼프발 관세전쟁, 한·미 '윈윈 모델'로 돌파구 찾아야

▲ 한국일보 = 당내 잠룡들 뛰는데 정신 못 차린 국민의힘

한한령 해제 가시화, 한중관계 발전 기회 살려야

토지거래허가 해제 후 강남 들썩… '버블' 확산 없게 대응을

▲ 글로벌이코노믹 = 미국산 수입 늘릴 카드는 LNG

미 국채 대신 금 보유 늘리는 중국

▲ 대한경제 = AI활용과 성과의 선순환 위한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

25일 금통위, 기준금리 인하로 경기 불씨 살려야

▲ 디지털타임스 = 정치 급속 후진·경제 혁신 부재, 이대론 대한민국 미래 없다

中·日에 따라잡힌 韓반도체, 이런데도 법 하나 처리 못한 여야

▲ 매일경제 = G20 회의 미국 불참…흔들리는 다자외교 틀

기업엔 '기업편', 노조엔 '노조편'…'李의 중도' 이런 뜻인가

휴학 설명회된 의대 신입생 환영회, 무책임한 정부·의료계

▲ 브릿지경제 = 반도체법 이견 못 좁히는 '정치' 각성해야

▲ 서울경제 = 與 계엄·탄핵 늪 벗어나 경제 살리기 비전·정책 제시하라

우크라戰 3년, 각자도생 시대 '서울 패싱' 막고 국익·안보 지켜야

"반도체 기술 中에 역전"…이래도 주52시간제 족쇄 채울 건가

▲ 이데일리 = 테무, 정보 국외 이전 확대… 데이터 주권 흔들려도 되나

민주당 또 노란봉투법… 미국은 '전기톱'을 드는 판국에

▲ 이투데이 = 벼랑 끝 몰린 K-반도체…'초격차' 긍지 어디 갔나

▲ 전자신문 = 강남 테스트필드, 新 '로봇성지' 되길

▲ 파이낸셜뉴스 = 반도체 핵심기술서 중국이 한국 추월, 충격적이다

실용주의 강조하며 "상법 철회" 눈감은 野 이중성

▲ 한국경제 = 정책 경쟁에서 무력증 빠진 국민의힘

상속세 개편도 '초부자 감세' 프레임으로 갈라치기 하나

野 "이번주에 상법 개정" … '기업' '성장' '혁신'은 헛구호

▲ 경북신문 = 헌재의 공정한 판결만이 갈등을 치유할 수 있다

▲ 경북일보 = 일본, 도 넘은 독도 영유권 주장 즉각 중단하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