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 유발 꽃가루 과거보다 일찍, 짧게 날려"

기상청, 2014∼2024년 관측 반영 꽃가루 달력 개정판 내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꽃가루가 과거보다 일찍 날리기 시작해 더 짧게 날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꽃가루 달력 개정판을 16일 공개했다.

 수목류 꽃가루 날림 기간은 전국 평균으로 나흘 감소했다.

 기상청은 "꽃가루의 알레르기 유발성은 크지 않으나 도심에서 흔히 보이는 은행나무는 꽃가루 날림 기간은 줄었으나 농도는 짙어져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서울 꽃가루 달력.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 은행나무는 꽃가루가 날리기 시작하는 날이 이전(2007∼2017년)엔 4월 10일이었으나 4월 9일로 하루 당겨졌다.

 날림 기간은 24일에서 19일로 줄었다. 1㎥당 연간 누적 꽃가루 수는 1170개에서 3천271개로 늘었다.

 서울 소나무의 경우 꽃가루 날림 시점이 4월 3일에서 4월 5일로 이틀 늦어진 대신 날림 기간이 78일에서 61일로 17일 단축되면서 1㎥당 꽃가루 수가 5천935개에서 3천558개로 대폭 감소했다.

 꽃가루가 심한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잔디는 꽃가루가 날리는 기간이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에서는 열흘과 사흘 줄었으나 제주에선 34일 길어져 지역 차가 컸다.

 가을철 잡초류 꽃가루 날림 기간은 전국 평균으로 닷새 연장됐다. 돼지풀과 쑥은 꽃가루 날림 시점이 일주일 빨라지고 환삼덩굴은 일주일 늦어졌다고 한다.

 꽃가루 달력은 국립기상과학원 홈페이지(www.nims.go.kr)에서 볼 수 있다.

서울 꽃가루 시작일과 날림 기간, 연간 누적 꽃가루 수.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대한약사회 "성분명 처방, 국민 부담 줄여…'밥그릇 싸움' 아냐"
대한약사회는 성분명 처방에 대해 "국민의 합리적 선택권을 보장하고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는 제도"라며 도입을 촉구했다. 권영희 대한약사회 회장은 지난 3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성분명 처방 한국형 모델 도입 정책토론회'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대한약사회와 의약품정책연구소가 주관했고 더불어민주당 남인순·서영석·김윤·장종태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주최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지어도 무방해진다. 권 회장은 "성분명 처방은 약사 사회에서 의약분업 이후 계속 도입 필요성을 요구해온 사안"이라며 "2007년 정부 주도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일부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됐지만 사회적 합의 문제 등으로 인해 제도적 확산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지속적인 의약품 품절사태를 경험하면서 현재 의약품 사용과 처방 구조 등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몸소 체험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약사회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기대 효과 분석, 적용 대상 의약품 선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