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르기 유발 꽃가루 과거보다 일찍, 짧게 날려"

기상청, 2014∼2024년 관측 반영 꽃가루 달력 개정판 내놔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꽃가루가 과거보다 일찍 날리기 시작해 더 짧게 날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꽃가루 달력 개정판을 16일 공개했다.

 수목류 꽃가루 날림 기간은 전국 평균으로 나흘 감소했다.

 기상청은 "꽃가루의 알레르기 유발성은 크지 않으나 도심에서 흔히 보이는 은행나무는 꽃가루 날림 기간은 줄었으나 농도는 짙어져 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서울 꽃가루 달력.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 은행나무는 꽃가루가 날리기 시작하는 날이 이전(2007∼2017년)엔 4월 10일이었으나 4월 9일로 하루 당겨졌다.

 날림 기간은 24일에서 19일로 줄었다. 1㎥당 연간 누적 꽃가루 수는 1170개에서 3천271개로 늘었다.

 서울 소나무의 경우 꽃가루 날림 시점이 4월 3일에서 4월 5일로 이틀 늦어진 대신 날림 기간이 78일에서 61일로 17일 단축되면서 1㎥당 꽃가루 수가 5천935개에서 3천558개로 대폭 감소했다.

 꽃가루가 심한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잔디는 꽃가루가 날리는 기간이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에서는 열흘과 사흘 줄었으나 제주에선 34일 길어져 지역 차가 컸다.

 가을철 잡초류 꽃가루 날림 기간은 전국 평균으로 닷새 연장됐다. 돼지풀과 쑥은 꽃가루 날림 시점이 일주일 빨라지고 환삼덩굴은 일주일 늦어졌다고 한다.

 꽃가루 달력은 국립기상과학원 홈페이지(www.nims.go.kr)에서 볼 수 있다.

서울 꽃가루 시작일과 날림 기간, 연간 누적 꽃가루 수. [기상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바이오시밀러 개발 간소화로 최대 3천억원 절감…韓 기업 수혜"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 과정이 간소화되면 미국에서만 최대 2억2천500만달러(약 3천300억원)가 절감되고 개발 기간도 1∼2년 단축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2분기 바이오시밀러 시장 보고서'를 발간했다. 최근 미국과 유럽 등 주요 국가 규제 기관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절차를 간소화하는 추세다. 대표적 사례가 '비교 임상 효능연구'(CES) 필요성에 대한 재검토에 나선 것이다. CES는 2개 이상 치료제의 임상적 효능 등을 비교해 치료제 간 효과, 안전성 등이 비슷한지 평가하는 과정이다.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를 통해 대조약과의 생물학적 동등성이 충분히 확립된 데다 작용 기전이 잘 알려진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CES를 거칠 필요가 없다고 규제 기관은 보고 있다. 약동학은 약물의 흡수·분포·대사 등을 다루는 분야다. 예컨대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지난해 발표한 지침에서 경우에 따라 분석 및 약동학 데이터가 비교 임상 연구 없이도 충분한 동등성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FDA에 바이오시밀러 승인을 간소화하도록 장려하는 내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