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자 호흡기감염병 검사 시범사업 확대…김해공항서도 가능

 국내 입국하는 여행자를 대상으로 희망자에 한해 호흡기 감염병을 검사하는 시범사업이 김포·제주공항에 이어 김해공항까지 확대됐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 15일부터 국립 김해공항 검역소에서도 '공항만 여행자 호흡기 감염병 검사 서비스 시범사업'이 시행됐다.

 지난 2월 17일부터 김포공항과 제주공항으로 입국하는 여행자를 대상으로 시행했으며, 이달부터는 김해공항도 참여기관에 이름을 올렸다.

 검사는 별도의 독립된 공간에서 검역관이 희망자의 콧속 등에서 채취한 검체로 진행되며, 해당 입국자는 검사 후 검역관으로부터 보건교육을 받은 후 귀가하면 된다. 결과는 2∼3일 후 본인의 휴대전화 또는 이메일로 받을 수 있다. 검사 결과 양성일 경우 검역소에서 양성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시범사업을 통해 공항에서 호흡기 감염병 검사를 받고 양성으로 확인된 코로나19, 인플루엔자 환자는 병의원에서 의약품 투여 시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를 인정받을 수 있다.

 질병청은 시범사업을 통해 해외 호흡기 감염병 의심 증상이 있는 입국자에 신속한 검사를 제공하고, 이후 신속한 의료기관 이용을 독려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질병관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심장 내 승모판 역류증, 성별 따라 수술 시점 달라져야"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은 노화로 인해 심장의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가는 입구에 위치한 승모판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하는 심장 판막 질환이다. 역류 현상이 지속되면 심장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데,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질환 발생 초기부터 사망 위험이 더 높아 성별에 따라 수술 시점을 달리 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김대희 교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곽순구·이승표 교수 연구팀은 2006∼2020년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으로 수술받은 환자 1천686명을 8년간 추적 관찰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현재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의 표준 치료는 판막 성형술이나 인공 판막치환술과 같은 수술이다. 수술은 좌심실에 들어온 혈액이 대동맥으로 빠져나간 비율을 뜻하는 '좌심실 박출률'을 토대로 좌심실 기능 저하 여부를 판단해 결정한다. 환자에게 뚜렷한 증상이 없더라도 좌심실 박출률이 60% 이하이면 수술을 고려하도록 권고된다. 연구팀이 성별에 따른 좌심실 기능과 사망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좌심실 박출률이 55% 이하로 떨어졌을 때만 사망률이 유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