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네이버 AI랩, 자폐 아동과의 대화 위한 AI 소통앱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홍화정 교수팀은 네이버클라우드 AI랩, 도닥임 아동발달센터와 공동으로 자폐 아동과 부모 간 소통을 위한 인공지능(AI) 소통 도구 '액세스톡'(AAcessTalk)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자폐스펙트럼장애(ASD)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결여, 반복·과잉 행동, 지적·불안 장애 등 증상을 보이는 뇌 발달 장애다.

 이 가운데 일부는 일상적인 구어 표현이 어려운 '최소 발화 자폐' (Minimally Verbal Autism·MVA) 상태를 보인다.

 연구팀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 아동의 관심사와 상황 맥락을 반영한 개인화된 단어 카드를 실시간으로 추천하는 태블릿 기반 AI 소통 시스템을 설계했다.

 부모에게는 상황에 따른 구체적인 대화 가이드를 제공하고, 아동은 '대화 전환 버튼'을 눌러 대화의 시작과 끝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엄마는요?'라는 질문 버튼을 통해 부모의 생각을 먼저 물어보는 기능도 있다.

 2주 동안 11가정을 대상으로 진행된 현장 연구에서 부모들은 생에 처음으로 자녀로부터 질문을 받는 경험을 했다며, 진짜 대화를 나누는 느낌이었다는 소감을 전했다.

 한 양육자는 "아이가 예상치 못한 단어를 사용해 놀랐고, 아이의 언어 능력을 더 깊이 이해하게 됐다"고 말했다.

 홍화정 교수는 "아이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사회적 약자를 위한 실질적 기술 적용과 사용자 경험 기반 연구를 이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최근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ACM CHI 2025'(미국 컴퓨터협회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학술대회)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받았다.

액세스톡 개발한 KAIST·네이버클라우드 AI랩 연구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미네랄과 금식의 역설
◇ 알려지지 않은 무기질의 위험성 건강한 식생활에 꼭 필요한 요소로 비타민과 미네랄을 꼽는다. 그런데 독자 여러분은 미네랄 중에서도 먹어서는 안 되는 해로운 미네랄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우선 미네랄이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겠다. 미네랄이라고 하면 대개 미네랄워터를 떠올릴 것이다. 미네랄워터는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광물질이 미량 함유된 물을 뜻한다. 그렇다면 미네랄이란 칼슘, 마그네슘, 칼륨 등의 광물질을 뜻한다. 그렇다. 미네랄은 광물, 광석, 무기물이란 뜻으로 무기질이라고도 한다. 무기물에 대해서는 과학 시간에 배웠을 것이다. 돌이나 흙을 구성하는 광물에서 얻을 수 있는 물질로, 탄소를 포함하지 않는 양분을 바로 무기물이라고 한다. 미네랄이라고 했을 때는 단순히 몸에 좋은 어떤 물질 같았는데, 그 정의를 파고들다 보니 함부로 먹어서는 안 될 것 같지 않은가? 실제로 그렇다. 우리가 흔히 섭취하는 미네랄 중에는 인체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대표적인 예가 알루미늄이다. 음료수 캔이나 포일을 만들 때 쓰이는 은백색의 가볍고 무른 금속이다. 알루미늄 섭취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하면 대부분의 사람이 알루미늄을 왜 먹느냐고 생각할 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