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루한 일상을 깨운 미술…병원 직원이 쓴 '서양미술공식'

 직장 일이라는 게 반복되는 게 많아서 하다 보면 지겨워지기도 한다.

 서울대병원에서 근무하는 피지영 씨도 슬럼프 비슷한 무료한 일상을 보내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사내 사이버 강의 '유럽 미술관 순례'를 듣고, 마치 10대가 아이돌에 빠져들 듯, 미술이란 세계에 흠뻑 빠져들고 말았다.

 늦바람이 무섭다는 말을 증명이라도 하듯, 그는 닥치는 대로 미술책을 섭렵하기 시작했다.

 3년간 무려 1천권을 독파했다.

 도슨트 양성 과정을 수료하고 자기계발 휴직으로 유럽 여러 나라를 직접 돌아다니며 배운 지식을 그림에 하나하나 적용하며 실전 연구를 했다.

 이후 쌓은 지식과 경험을 병원의 직원들과 환자, 보호자 앞에서 풀어냈다.

 2017년부터 3년간 점심시간을 이용해 약 100회에 이르는 서양미술 강연을 했다.

 식약처, 공공도서관, 평생교육원 등 외부에서도 강의했다.

 코로나19 탓에 강연을 멈춘 그는 잠시 숨을 골라 이번에 책을 펴냈다.

 신간 '서양미술공식'(부크크)은 서양미술에서 마치 공식처럼 나오는 장면들을 친절하게 해설한 책이다.

 저자는 몇몇 공식만 알면 서양미술을 훨씬 더 쉽게 즐길 수 있다고 말한다.

 예컨대 서양에서 예수 탄생 장면은 거의 비슷하다.

 소와 나귀가 무조건 나오고, 대머리 노인이 반드시 등장한다. 방대한 듯하지만 이처럼 서양미술에도 '공식'이 있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책은 '서양 미술의 절반, 성경 이야기는 무조건 공식에 따라 그려야 한다', '서양미술 더 재밌게 보는 법', '책도 있고 인터넷도 있는데 왜 굳이 미술관에 가야 할까', '매우 쓸만한 미술관 관람법' 등으로 구성됐다. 일러스트레이터로 신조은 작가가 참여했다.

 저자는 "운 좋게 신설된 자기계발 휴직을 사용해 더욱 깊이 있는 공부를 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책을 준비하는 동안 못 만났던 청중들 앞에서 서양미술을 재미있게 이야기하고 싶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