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크크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http://www.hmj2k.com/data/photos/20250520/art_17475526241047_e1fc4a.jpg)
직장 일이라는 게 반복되는 게 많아서 하다 보면 지겨워지기도 한다.
서울대병원에서 근무하는 피지영 씨도 슬럼프 비슷한 무료한 일상을 보내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사내 사이버 강의 '유럽 미술관 순례'를 듣고, 마치 10대가 아이돌에 빠져들 듯, 미술이란 세계에 흠뻑 빠져들고 말았다.
늦바람이 무섭다는 말을 증명이라도 하듯, 그는 닥치는 대로 미술책을 섭렵하기 시작했다.
3년간 무려 1천권을 독파했다.
도슨트 양성 과정을 수료하고 자기계발 휴직으로 유럽 여러 나라를 직접 돌아다니며 배운 지식을 그림에 하나하나 적용하며 실전 연구를 했다.
이후 쌓은 지식과 경험을 병원의 직원들과 환자, 보호자 앞에서 풀어냈다.
2017년부터 3년간 점심시간을 이용해 약 100회에 이르는 서양미술 강연을 했다.
식약처, 공공도서관, 평생교육원 등 외부에서도 강의했다.
코로나19 탓에 강연을 멈춘 그는 잠시 숨을 골라 이번에 책을 펴냈다.
신간 '서양미술공식'(부크크)은 서양미술에서 마치 공식처럼 나오는 장면들을 친절하게 해설한 책이다.
저자는 몇몇 공식만 알면 서양미술을 훨씬 더 쉽게 즐길 수 있다고 말한다.
예컨대 서양에서 예수 탄생 장면은 거의 비슷하다.
소와 나귀가 무조건 나오고, 대머리 노인이 반드시 등장한다. 방대한 듯하지만 이처럼 서양미술에도 '공식'이 있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책은 '서양 미술의 절반, 성경 이야기는 무조건 공식에 따라 그려야 한다', '서양미술 더 재밌게 보는 법', '책도 있고 인터넷도 있는데 왜 굳이 미술관에 가야 할까', '매우 쓸만한 미술관 관람법' 등으로 구성됐다. 일러스트레이터로 신조은 작가가 참여했다.
저자는 "운 좋게 신설된 자기계발 휴직을 사용해 더욱 깊이 있는 공부를 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책을 준비하는 동안 못 만났던 청중들 앞에서 서양미술을 재미있게 이야기하고 싶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