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10명 중 8명 "감염병 관련 가짜뉴스 접한 적 있다"

질병청·한국리서치, 1천명 설문조사…접촉경로 '유튜브' 최다
94% "정보 사실인지 고민한 경험"…88% "백신은 효과적 수단"

 성인 10명 중 8명은 감염병과 관련한 가짜뉴스를 접한 경험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리서치가 질병관리청 의뢰로 지난 6월 실시해 최근 공개한 '2025년 상반기 감염병 관련 국민인식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천명 가운데 '최근 1년간 완전히 허위로 밝혀진 감염병 관련 가짜뉴스를 접한 적이 있다'고 한 응답자는 79.0%에 달했다.

 가짜뉴스를 접한 경험이 '자주 있다'는 응답은 2.7%, '가끔 있다'는 30.1%, '별로 없다'는 46.2%, '전혀 없다'는 21.0%로 나타났다.

 한 번이라도 감염병 관련 가짜뉴스를 접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790명에게 접촉 경로를 물었더니, 유튜브(58.8%)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어 페이스북·인스타그램·X 등 소셜미디어(SNS·41.1%), 인터넷 커뮤니티·블로그(36.2%) 등의 순서였다.

[감염병 국민인식조사 보고서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최근 1년간 감염병 관련 정보를 접할 때 '정보를 접한 후 사실인지 아닌지 확실하지 않아 고민했던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는 94.2%에 달했다.

 '같은 주제를 다루지만 서로 반대되는 정보를 접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도 93.6%였다.

 감염병 정보가 사실인지 불확실할 때 '일단 믿지 않는 편이다'라는 응답은 35.1%, '반신반의하는 편이다'는 50.9%, '일단 믿는 편이다'는 14.0%로 나타났다.

 감염병 관련 가짜뉴스를 접했을 때 '신뢰할 만한 채널이나 미디어, 정보원 등을 찾아본다'는 응답은 34.6%,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냥 넘어간다'는 30.5%였다.

 응답자들은 정부의 바람직한 감염병 관련 가짜뉴스 대응 방식으로는 법적 제재 강화(53.9%·복수 응답), 신속하고 투명한 반박 자료 공개(37.4%) 등을 꼽았다.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서의 신뢰도는 의사·방역 전문가 등 의료전문가 그룹에서 '매우 또는 어느 정도 신뢰한다'는 응답(90.3%)이 가장 많았고, 이어 질병청(87.4%), 그 외 방역 당국(85.1%), 국제기구 발표(83.8%), 가족·친구·동료 등 지인(82.1%) 등 순이었다.

 SNS의 경우 43.1%가 '매우' 또는 '어느 정도' 신뢰한다고 답했다.

 백신 접종 관련 인식을 보면, '백신 접종을 통한 면역 형성은 가장 효과적인 감염병 대응 수단'이라는 데 87.8%가 동의한다고 답했다.

 '감염병 유행 정도에 따라 개인에게 접종 증명·검사음성 확인서 등을 요구하는 것을 검토하거나   다만 '백신 접종은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이어야 하며 접종은 어떤 경우에도 강요할 수 없다'는 데도 67.2%가 동의했다.

 향후 신종 감염병이 대유행하면 '반드시 백신을 접종하겠다'는 응답은 36.8%에 그쳤다. 나머지는 '아마도 접종할 것이다'(43.7%), '아마도 접종하지 않을 것이다'(9.4%), '잘 모르겠다'(6.8%), '절대 접종하지 않을 것이다'(3.4%) 등으로 답했다.

 접종을 망설이거나 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한 이유로는 '감염보다 접종 이상 반응이 더 걱정돼서'(59.6%·복수 응답)를 꼽은 사람이 가장 많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혈액·소변 등 검체검사 보상체계 개편…"공정성·투명성 제고"
병의원에서 이뤄지는 혈액·소변검사 등과 관련해 검사기관 간의 과도한 할인 경쟁 등 부작용을 바로잡기 위해 정부가 위·수탁 보상체계 개편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달 29일 관련 의학회, 의료계 단체 등과 함께 검체검사수탁인증관리위원회 회의를 열고, 검체검사 위·수탁 보상체계 및 질 관리 개선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 복지부는 "검체검사 위·수탁의 공정성과 투명성 제고, 질 관리 강화 및 환자 안전 확보를 위해 보상체계의 근본적 개편이 불가피하다"며 검사료 분리지급과 위탁검사관리료 폐지 방안 등을 보고했다. 검체검사는 질환 진단 등을 위해 혈액, 소변, 조직 등 인체에서 채취한 검체를 분석하는 것으로, 동네의원 등은 검체를 채취해 외부 검사기관에 의뢰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복지부 고시인 '검체검사 위탁에 관한 기준'에 따라 위탁한 병의원엔 위탁검사관리료가, 수탁한 검사기관엔 검사료가 건강보험에서 지급되는 게 원칙인데, 현재는 관행적으로 위탁기관이 일괄 지급받은 후 검사기관에 정산해주고 있다. 그러다 보니 검사기관이 병의원과 계약하려고 과도한 할인 경쟁을 벌이고 불공정 계약이 이뤄지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검사 질 저하 우려로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처럼 조절하는 '뉴로모픽' 칩으로 실시간 뇌 연결 해석한다
국내 연구팀이 뇌처럼 신호를 조절하는 뉴로모픽(사람의 뇌 구조를 닮은 소자) 시스템을 개발해 기존보다 2만 배 빠른 뇌 연결 분석에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반도체기술연구단 박종길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뇌가 신경세포 간 신호 발생 순서에 따라 연결 강도를 조절하는 원리를 공학적으로 구현해 신경세포 활동 저장 없이 실시간으로 신경망 연결 관계를 학습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뇌 신경망 연결 분석기술은 뇌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의 핵심이다. 기존 기술은 신경세포 활동 데이터를 오랫동안 저장한 후 통계적 방법으로 신경세포 간 연결 관계를 계산해 왔지만, 신경망 규모가 커질수록 막대한 연산량이 필요해 뇌처럼 수많은 신호가 동시 발생하는 환경에서는 실시간 분석이 불가능했다. 연구팀은 뇌의 학습 원리인 '스파이크 시각 차이 기반 학습'(STDP)을 하드웨어로 구현해 메모리를 줄일 수 있는 새 학습 구조를 고안했다. 이를 통해 각 뉴런에 연결된 이전 뉴런들의 주소 정보를 저장하며 대규모 메모리를 잡아먹는 '역연결 테이블'을 제거해 뉴로모픽 하드웨어에서도 STDP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렇게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