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등서 5년간 27명 대형로펌행…"월급 5배로 뛰기도"

김선민 의원 "전관예우 최소화 장치 필요"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 등 보건의료 정책을 담당하는 기관에서 근무하다 퇴직한 후 대형 로펌에 들어간 이들이 최근 5년여간 최소 27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5년 9월까지 식약처와 심평원에서 각 9명, 복지부 8명, 건보공단에서 1명이 6대 법무법인(김앤장·태평양·광장·세종·율촌·화우)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 기간 질병관리청에서 로펌으로 이직한 사람은 없었다.

 27명은 2020년 이후에 복지부 등에서 퇴직해 로펌으로 옮긴 후 현재까지 재직 중인 사람만을 포함한 것이다.

 2020년 이전에 퇴직한 후 취업 제한 기간 3년이 지나 재취업한 사람이나, 이 기간 이직했으나 현재는 로펌을 그만둔 경우까지 포함하면 로펌행 사례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보건의료는 전문성이 요구되는 분야인 만큼 로펌들은 해당 분야 정책 경험이 많은 고위 관료 출신 등을 적극적으로 영입하고 있다.

 지난 2022년 퇴임한 권덕철 전 복지부 장관과 류근혁 복지부 제2차관, 김강립 식약처장 모두 관련 기관 취업 제한 기간 3년이 경과한 후 올해부터 각각 세종, 광장, 김앤장 고문으로 영입돼 재직 중이다.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에 다니다 로펌으로 이직한 경우엔 보수도 크게 뛰었다.

 김 의원실이 2명 이상 이직한 법무법인의 이직 후 평균 보수월액을 살펴본 결과 심평원에서 김앤장으로 이직한 사람들의 월급이 1인당 594만원에서 2천900만원으로 5배 가까이 뛰는 등 모두 로펌에서 훨씬 많은 보수를 받았다.

김선민 의원은 "직업선택의 자유가 있기 때문에 법무법인 이직 자체에 대해 평가를 하긴 어렵지만, 퇴직 후 이해충돌과 전관예우 관행을 최소화할 제도적 장치가 필요해 보인다"며 "아울러 유능한 관료들이 공공분야에서 전문성을 펼치고 합당한 대우를 받을 수 있는 대책도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수술만 답 아니다"…'추나·침'에 주목하는 메이요클리닉
허리가 아파 오래 걷지 못하고, 엉덩이와 다리로 저릿한 통증이 뻗어나간다면 '척추전방전위증'을 의심해야 한다. 척추뼈가 제자리에서 앞으로 밀려나면서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심한 허리 협착증을 호소하는 환자들 가운데 상당수가 이 전방전위증을 동반한다. 보통 이런 전방전위증에는 신경주사로 통증을 완화하거나, 불안정해진 척추뼈를 나사로 고정하는 척추유합술이 권유된다. 하지만 이 같은 통념에 변화를 줄 만한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국내 한방병원과 미국 메이요클리닉이 공동 진행한 대규모 임상 연구에서 추나와 침 치료를 중심으로 한 한방치료가 신경주사나 진통제 같은 양방 치료보다 허리·다리 통증 완화에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이번 연구는 모커리한방병원과 미국 메이요클리닉 통증센터 연구팀이 공동으로 진행했으며, 국제학술지 메이요 클리닉 회보(Mayo Clinic Proceedings) 11월호에 게재됐다. 연구는 2017년 6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5년 이상 진행됐고, 준비기간을 포함하면 꼬박 10년이 걸린 대규모 프로젝트다. 연구팀은 총 115명의 척추전방전위증 환자를 대상으로 58명에게는 이완추나와 침치료, 생활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