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등으로 재산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노인을 위해 공공기관이 재산을 맡는 공공신탁제도 도입을 적극 검토하겠습니다. 시범사업부터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국무위원 후보자일 때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 질의 답변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답변은 정부가 이재명 대통령의 후보 시절 공약 중 하나였던 '공공신탁제도' 도입이 새 정부의 공식 정책 과제로 추진되고 있음을 명확히 했다. 국가가 직접 나서 고령층의 자산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대통령의 약속이, 최근 발표된 154조 원 규모의 '치매 머니' 실태와 맞물려 구체적인 실행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 대통령 공약, 속도 붙나? 29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정부의 이런 움직임이 급물살을 타게 된 배경에는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지난 5월에 발표한 충격적인 조사 결과가 있다. 2023년 기준, 국내 65세 이상 치매 환자가 보유한 자산은 154조 원(GDP의 6.4%)에 달하며, 2050년에는 488조 원까지 급증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단순히 개인의 재산을 넘어 국가 경제의 선순환을 막는 '사회적 폭탄'이 될 수 있다는 위기감을 고조시켰다. 특히 정은경 복지부 장관이 "민간신탁제
[오늘의 주요 일정](29일·화) [정치] ▲ 이재명 대통령 제33회 국무회의 주재(10:00 대통령실) ▲ 김민석 국무총리 제33회 국무회의(10:00 대통령실) ▲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제33회 국무회의(10:00 대통령실) ▲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10:00 본관 506호)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농림축산식품법안심사소위원회(10:00 본관 501호)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해양수산법안심사소위원회(10:00 본관 504호)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10:00 본관 529호) 국회운영위원회 전체회의(11:00 본관 319호)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16:00 본관 501호) ▲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원내대책회의(09:30 국회 본청 원내대표회의실) 김병기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11:00 국회 본청 319호) ▲ 국민의힘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원내대책회의(09:00 본관 245호)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 운영위 전체회의(11:00 본관 319호) 김정재 정책위의장·정점식 사무총장,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10:00 529호) ▲ 조국혁신당 서왕진 원
[오늘의 증시일정](29일) ◇ 신규상장 ▲ 프로티나[468530] ◇ 추가 및 변경상장 ▲ 심텍홀딩스 [036710](주식전환 82만895주 1천876원) ▲ 나인테크 [267320](주식전환 9만주 3천176원, CB전환 25만1천761주 2천979원) ▲ 지엔코 [065060](유상증자 1천300만주 899원) ▲ 라닉스 [317120](유상증자 560만주 1천575원) ▲ 엑시온그룹 [069920](CB전환 59만9천791주 1천924원) ▲ 엘앤케이바이오 [156100](CB전환 6만6천708주 6천371원) ▲ 심텍 [222800](CB전환 1만4천541주 2만1천194원) ▲ 퀀타매트릭스 [317690](CB전환 18만6천591주 4천542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28일) 주요공시] ▲ SK하이닉스, 116억원 자사주 처분…임직원 상여지급 목적 ▲ iM금융지주[139130] 2분기 영업이익 1천986억원…작년 대비 493.3%↑ ▲ 두산로보틱스[454910] 2분기 영업손실 157억원…적자 확대 ▲ 에이피알[278470], 1천343억원 규모 배당…"주주환원정책 앞장" ▲ 두산로보틱스[454910] "美 로봇 업체 주식 356억원 취득…지
▲ 경향신문 = 언론사 단전단수·계엄 공모·위증, 이상민 구속하라 "한국과 마주 앉을 일 없다"는 북한, 긴 호흡으로 신뢰 쌓길 '원청 책임·손배 청구조건' 강화한 노란봉투법 처리해야 ▲ 국민일보 = 일본차도 유럽차도 관세 15%… 협상 마지노선 정해졌다 급증하는 보이스피싱 피해 AI로 막겠다는데 스토킹·사제 총기 살인 사건, 경찰은 어디 있었나 ▲ 동아일보 = 취임식 '특별 초청' 金 849명, 尹 765명… 30여 명이 특검 수사 중 강경일변도 대표 경선, 최동석 발언 논란… 갈피 못 잡는 與 무인기 '계통 무시' '사후 은폐·조작'… 비정상의 연속 ▲ 서울신문 = 15% 관세 턱걸이도 버거운데… 왜 '기업 부담 가중법'을 수련 단축, 졸업 전 인턴… 특혜 요구가 특권인 의대생들 또 스토킹 참변… 가해자 신속 분리 없인 비극 못 막는다 ▲ 세계일보 = 노란봉투법 입법 속도전, 지금이 기업 압박할 때인가 최동석 '막말' 사죄하고, 대통령실은 거취 고민해야 김여정 대남담화 의미 있으나, 대북접근은 신중하게 ▲ 아시아투데이 = 미·EU 15% 관세 합의…우리도 마지노선 지켜야 '생산적 금융'으로 전환…바른 정책 방향이다 ▲ 조선일보 = 노란봉투법, 관세협상 카
▲ 경향신문 = 정부, 미국에 'MASGA' 제안 ▲ 국민일보 = 관세 레드라인 15% 美에 '마스가' 제안 ▲ 동아일보 = EU도 日도 15% 관세, 한국 車-반도체 동반 위기 ▲ 매일일보 = "15% '트럼프 하한선'을 뚫어라" 총력전 ▲ 서울신문 = 車 이어 반도체 관세 초비상 정부, EU처럼 '원샷딜' 추진 ▲ 세계일보 = 삼성, 테슬라와 23조 파운드리 계약 ▲ 아시아투데이 = '농산물 추가 개방' 美압박 거세다 ▲ 일간투데이 = 美 빅테크와 22.7조 파운드리 계약에 주가도 '껑충' 공시 매출 규모 연간 매출의 7.6% 파운드리 체력... ▲ 조선일보 = 한국만 남았다… '통상 투톱' 英 급파 ▲ 중앙일보 = 한국, 수십조원 MASGA 승부수 ▲ 한겨레 = 노란봉투법 '속전속결' 내주 본회의 처리한다 ▲ 한국일보 = EU도 15% 타결… 韓 '미국산 구입 확대' 논의 ▲ 글로벌이코노믹 = 삼성전자, 테슬라發 23조 잭팟 터졌다 ▲ 대한경제 = "아파트 조감도에 속았다" … 올 민원만 2000건 ▲ 디지털타임스 = 韓 벼랑 승부수, 美에 'MASGA' 전격 제안 ▲ 매일경제 = 삼성 파운드리 부활 테슬라에 23조 공급 ▲ 브릿지경제 = '와신상담'
■ 산업장관, '트럼프 수행' 美상무장관 동선 따라다니며 총력 협상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상호관세 부과 시점으로 예고한 내달 1일(현지시간)을 앞두고, 정부가 그 이전에 한미간 무역협상을 타결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28일 트럼프 대통령이 머물고 있는 영국 스코틀랜드를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을 수행중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 미국 측 인사들과 다각적인 접촉을 모색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은 지난 24∼25일 러트닉 장관을 만나 2차례 협상을 했다. 24일에는 워싱턴DC에서 만났고, 25일에는 그의 뉴욕 자택까지 찾아가 협상을 이어갔다. 전문보기: https://www.yna.co.kr/view/AKR20250729004600071 ■ 김여정 "북미정상관계 나쁘지 않아…비핵화 논의는 상대 우롱"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미국이 변화된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과거에만 집착한다면 조미(북미) 사이의 만남은 미국측의 '희망'으로만 남아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부부장은 '조미사이의 접촉은 미국의 '희망'일 뿐이다'라는 담화에서 이같이 말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궤양성 대장염 등 국내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비만율이 10여년 사이 2.3배로 올라 최근에는 10명 중 3명가량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 염증성장질환센터의 황성욱·김민규 교수 연구팀은 2008∼2021년 병원을 방문한 환자 1만1천216명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BMI) 변화 분석 결과를 29일 밝혔다. BMI는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으로, 비만의 판단 기준으로 쓰인다. 분석 결과, 염증성 장질환 환자의 평균 비만율은 2008년 13.1%에서 2021년 29.8%로 2.3배가 됐다. 같은 기간 일반 인구의 비만율은 30.7%에서 37.1%로 6%포인트가량만 올랐다. 성별로 나눴을 때 여성 환자 비만율은 2008년 9.2%에서 15.0%로 오르는 데 그쳤으나 남성 환자 비만율은 15.1%에서 37.7%로 2배 이상 올랐다. 염증성 장질환은 위장관에 만성적인 염증이 생기는 병으로,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이 대표적이다. 완치가 불가능해서 환자의 특성과 증상에 맞는 치료가 필요하지만, 기존 연구는 대부분 백인 중심으로 이뤄져 동양인 환자 중 비만 인구를 구체적 수준으로 분석하지 않았다. 더불어 서양의 비만 기준(BMI 30 이상)과 동양의 비만
전 세계에서 수행된 대기오염과 치매에 관한 연구 논문 30여편의 메타 분석에서 실외 대기오염에 장기간 노출되면 치매 위험을 증가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초미세먼지(PM2.5)와 이산화질소(No₂), 그을음이 위험 요인으로 지목됐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하린 크레이스 박사팀은 의학 저널 랜싯 플래니터리 헬스(Lancet Planetary Health)에서 세계 2천900여만명을 대상으로 한 대기오염과 치매 연관성 논문 34편을 메타 분석해 PM2.5와 No₂, 그을음이 치매 위험을 높이는 요인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크레이스 박사는 "역학적 증거는 대기오염이 치매 위험을 얼마나 높이는지 결정하는 데 중요하다"며 "이 연구는 실외 대기오염 장기간 노출이 건강한 성인에게도 치매 위험 요인이 된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증거"라고 말했다. 알츠하이머병 같은 치매는 당사자는 물론 가족, 간병인, 그리고 사회 전반에 큰 부담을 준다. 현재 환자는 세계적으로 5천740만명 이상으로 추산되며, 2050년에는 1억5천28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팀은 최근 여러 연구에서 대기오염이 치매 위험을 높이고 다양한 오염물질이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지목돼 왔다
일반담배를 피우거나 전자담배를 사용하는 중·고등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우울증이나 불안 증세를 겪을 위험이 최대 90%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웨스트버지니아대 루치 반다리 교수팀은 최근 국제학술지 PLOS 정신건강(PLOS Mental Health)에서 미국 중·고등학생 6만여명의 데이터 분석 결과, 일반담배를 피우거나 전자담배를 사용할 경우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우울증이나 불안 증세 위험이 37%에서 90%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인과관계를 단정할 수는 없지만 모든 형태의 담배 사용이 정신건강 문제와 유의미하게 연관돼 있음을 보여준다"며 "청소년의 모든 형태 담배 사용을 줄이기 위한 정신건강 지원과 맞춤형 개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담배는 정신건강과 복합적이고 양방향적인 관계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청소년기는 건강 관련 위험 행동이 시작되는 발달기이기 때문에 이 시기의 담배 사용과 정신건강 간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 게 특히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2021~2023년 미국 청소년 흡연실태조사(NYTS) 데이터를 활용, 중·고등학생 6만72명을 대상으로 일반담배 및 전자
태어난 지 1∼2년인데도 피부 주름이 많고 키가 자라지 않으며, 뼈와 혈관이 급속도로 노화하는 '조로증'. 약 800만명 중 1명에게 발생하는 희귀 난치성 유전질환인 허친슨-길포드 조로증 증후군(HGPS)으로, 평균 기대수명이 14.5년에 불과한데도 아직 완치 치료법이 없다.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이 승인한 유일한 치료제인 '로나파닙'(조킨비)은 1회 투여 비용이 14억원에 달하지만 수명을 2.5년 정도 연장하는 데 그칠 뿐 아니라 다른 치료제 병용이 필요하고 부작용 위험도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미래형동물자원센터 김선욱 박사 연구팀이 차세대 유전자 조절 기술을 활용, 조로증의 원인을 정밀하게 억제하는 새로운 치료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RNA)를 정확히 잘라내고 정상 기능은 그대로 유지해 안전성을 높이는 조로증 치료 가능성을 열었다고 생명공학연구원은 설명했다. 조로증은 'LMNA 유전자'에 생긴 단 하나의 돌연변이로 발생한다. 이 돌연변이는 세포 안에서 '프로제린'(progerin)이라는 비정상적 단백질을 만드는데, 이 단백질이 세포의 핵 구조를 망가뜨리고, 세포를 빠르게 노화시켜 노인처럼 뼈가 약해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