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알코올성 지방간(NASH: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치료를 위해 개발된 실험 신약 에프룩시페르민(EFX: efruxifermin)이 임상시험에서 효과가 매우 좋은 것으로 밝혀졌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술을 전혀 마시지 않거나 아주 적게 마시는데도 간에 지방이 쌓이는 현상으로 방치하면 간 섬유화-간경화-간암으로 이어질 수 있다. 비만, 당뇨병 등이 위험요인이다. 이 신약을 개발한 아케로 세러퓨틱스(Akero Therapeutics) 사는 EFX가 두 번째의 2상 임상시험(HARMONY)에서 간 섬유화(fibrosis)와 NASH를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힌 것으로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임상시험을 진행한 피너클 임상 연구소(Pinnacle Clinical Research)의 스티븐 해리슨 의료 실장은 EFX가 임상시험에서 1차 평가변수(primary endpoint)와 2차 평가변수(secondary endpoint)를 모두 충족했다고 밝혔다. 피너클 임상 연구소는 간과 소화기관 분야의 임상시험을 전문으로 하는 연구소이다. 임상시험은 간 섬유화 2~3단계인 간경화 직전의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 질환(CAD: coronary artery disease)을 겪은 사람들이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P2Y12 억제제 계열의 항혈소판제(클로피도그렐 또는 티카그렐러)를 단독 투여하는 것이 또 다른 항혈소판제인 아스피린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효과가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베른 대학병원 심장 전문의 마르코 발기밀리 교수 연구팀이 유럽, 아시아, 북미의 492개 의료기관에서 관상동맥 질환을 겪은 총 2만4천32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시험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이들 중 1만2천178명은 P2Y12 억제제, 1만2천147명은 아스피린이 투여됐다. 치료 기간은 평균 557일이었다. 전체적으로 심근경색, 뇌졸중,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발생률은 P2Y12 억제제가 투여된 그룹이 5.5%, 아스피린이 투여된 그룹이 6.3%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항혈소판제의 부작용인 주요 출혈(major bleeding) 발생률은 P2Y12 억제제 그룹이 1.2%, 아스피린 그룹이 1.4%로 거의 비슷했다. 이 두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살아 있는 쥐의 두개골을 절개하지 않고도 뇌 신경망을 3차원(3D) 고해상도로 관찰할 수 있는 홀로그램 현미경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IBS 연구진은 2019년 빛이 생체 조직에서 다양한 세포들에 부딪치며 생기는 '다중 산란 현상'을 제거하고 빛의 세기 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시분해 홀로그램 현미경을 최초로 개발했다. 이를 통해 절개 수술 없이 살아 있는 물고기의 신경망을 관찰했는데, 쥐 두개골은 물고기보다 두꺼워 더 심한 빛의 왜곡과 다중 산란이 발생한다. 두개골을 제거하거나 얇게 깎아내지 않고는 뇌 신경망 영상을 얻을 수 없었다.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최원식 부연구단장과 가톨릭대 김문석 교수·서울대 최명환 교수 공동연구팀은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정량화해서, 더 깊은 곳까지 관찰 가능한 고심도 3차원 시분해 홀로그램 현미경을 개발했다. 다양한 각도로 빛을 넣어도 비슷한 반사 파형을 가지는 단일 산란파만 골라내는 방법을 고안했다. 연구진은 기존 기술로는 불가능했던 깊이에서도 빛의 파면 왜곡을 바로잡았고, 쥐의 두개골을 절개하지 않고도 가시광선 대역의 레이저로 두개골 밑에 존재하는 뇌 신경망 영상을 고해상도
스타틴(statin) 계열의 고지혈증(이상지질혈증) 치료제의 흔한 부작용으로 지목되는 근육통은 대부분 스타틴이 원인이 아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 인구 보건·의학 연구위원회(Population Health and the Medical Research Council)의 콜린 베이전트 역학 교수 연구팀은 총 15만5천여 명이 대상이 된 23건의 스타틴 관련 임상시험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이 중 19건은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이 설정된 임상시험이었고 4건은 저용량과 고용량 스타틴의 부작용을 비교한 것이었다. 전체적으로 근육통 발생률은 스타틴 복용 그룹이 27.1%, 위약(placebo)이 주어진 대조군이 26.6%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다만 스타틴 그룹은 스타틴 복용을 시작한 첫해에만 근육통 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대조군보다 7% 높았다. 그렇다 해도 스타틴 복용 첫해의 근육통 발생률은 표준 용량 복용 그룹이 15명에 한 명, 고용량 복용 그룹이 10명에 한 명꼴에 지나지 않았다. 복용 첫해 이후에는 그나마 스타틴 그룹의 상대적 근육통 발생률이 대조군보다
심근경색 생존자에게는 아스피린, 혈압약, 고지혈증약 등 3가지 약을 한 캡슐에 넣은 복합제제인 폴리필(polypill) 하나를 복용하는 것이 여러가지 약을 복용하는 것보다 유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심근경색에서 회복된 환자에게는 여러 가지 약이 처방되는데 그런 약들을 한 캡슐에 넣어 한 번에 복용하면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뉴욕 마운트 시나이 병원 심장 실장 발렌틴 퍼스터 박사 연구팀이 스페인,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폴란드, 체코, 헝가리의 총 113개 의료기관에서 심근경색으로부터 회복된 지 6개월이 지난 환자 2천499명(65세 이상, 거의 전부 백인, 여성 3분의 1)을 대상으로 3년에 걸쳐 진행한 임상시험(SECURE: Second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the Elderly)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뉴욕타임스 인터넷판이 최근 보도했다. 이들은 80%가 고혈압이었고 60%는 당뇨병을 함께 가지고 있었다. 또 절반 이상이 전에 담배를 피웠다. 이들 중 절반에게는 폴리필이 투여됐고 나머지 절반은 심근경색 후유증을 막기 위한 일반적인 치료를 받았다. 폴리필은 ▲아
정부가 첨단기술을 활용한 혁신의료기기의 시장 진입 기간을 390일에서 80일로 단축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보건복지부와 식약처는 지난달 '제4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보고한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방안의 후속 조치로 혁신의료기기가 의료현장에서 신속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규제 개선에 착수한다고 25일 밝혔다. 혁신의료기기는 정보통신·생명공학·로봇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의료기기다. 인공지능 활용 뇌경색, 유방암, 심전도분석 진단보조 소프트웨어 등 19개가 지정돼있다. 그동안 혁신의료기기 지정 이후에도 인허가 등에 약 390일이 걸리는 등 실제 활용에 지나치게 긴 기간이 소요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규제 개선을 통해 정부는 기존에 순차적으로 진행하던 ▲ 혁신의료기기 신청(식약처) ▲ 요양급여 대상·비급여대상 판단 신청(건강보험심사평가원) ▲ 혁신의료기술평가 신청(한국보건의료연구원) ▲ 인허가 신청(식약처) 등 심사 과정을 통합해 동시에 처리하도록 할 계획이다. 관계부처와 기관은 심사한 결과 의료기기가 기준을 충족할 경우 30일 이내 혁신의료기기로 지정한다. 통합심사·지정을 위해 상시접수 방식에서 매달 공고를 내 접수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정부는 또 인공지능과 디지털혁신
아모레퍼시픽은 무거운 장비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피부 상태를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칩-리스 무선 전자 피부'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피부 임상 연구를 하려면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한 장소에서 고가의 진단 장비를 활용해야만 한다. 이 때문에 특수한 환경에서의 피부 연구 결과는 상대적으로 적을 수밖에 없었다. 아모레퍼시픽 R&I센터 임상Lab의 한지연 수석연구원은 미국 출장길 비행기 안에서 장소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피부를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다가 관련 연구를 시작했다. 이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김지환 교수팀과 4년간의 공동 연구를 통해 피부에 부착해 무선으로 진단할 수 있는 전자 피부를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렸다. 아모레퍼시픽은 이를 통해 추위나 더위, 건조함을 견디며 특수한 환경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의 피부를 손쉽게 진단해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 성과는 설화수 등 아모레퍼시픽의 주요 브랜드에 적용될 예정이다.
비타민D 보충제가 우울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핀란드 동부 대학 임상의학 연구소의 투오마스 미콜라 교수 연구팀이 지금까지 세계에서 발표된 비타민D-우울증 관련 임상시험 41건(무작위 대조군 설정)의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의학 뉴스 포털 뉴스 메디컬 라이프 사이언스(News Medical Life Science)가 최근 보도했다. 전체 임상시험에서 비타민D 보충제를 복용한 그룹이 복용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우울증세가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복용한 비타민D 보충제의 용량은 크게 달랐지만 50~100µg(마이크로 그램) 복용자가 가장 많았다. 50~100µg는 2000~4000IU(국제단위: international unit)에 해당한다. 비타민D는 중추신경계의 기능을 조절하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중추신경계의 교란은 우울증과 연관이 있다. 그러나 이 임상시험 결과는 참가자의 인구 이질성(population heterogeneity)과 편향성(bias) 위험이 있어 증거의 확실성이 낮다고 연구팀은 인정했다. 따라서 추가 연구를 통한 증거가 더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중 하나인 테라조신(terazosin)이 대표적인 운동신경 질환(MND: motor neuron disease)인 루게릭병(근 위축성 측삭경화증) 치료에도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운동신경 질환은 근육을 조절하는 뇌와 척수의 운동신경 세포가 손상되는 퇴행성 질환이다. 대표적 질환이 루게릭병이다. 루게릭병은 운동 신경세포가 퇴행성 변화에 의해 점차 소실돼 근력 약화와 위축으로 언어 장애, 사지 위약, 체중 감소, 폐렴 등의 증세가 나타나다가 결국 호흡 기능 마비로 사망에 이르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테라조신은 원래 적응증이 고혈압을 치료하는 혈압 강하제였으나 나중 전립선의 평활근 이완 효과가 발견돼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로 쓰이고 있다. 영국 에든버러 대학 유언 맥도널드 운동신경 질환 센터(Euan MacDonald Centre for Motor Neurone Disease)의 헬레나 체이토 박사 연구팀은 테라조신이 루게릭병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시험관 실험과 동물 실험 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최근 보도했다. 테라조신은 운동 신경세포의 에너지 생산을 증가시켜 운동신경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김세윤 교수 연구팀이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체료제인 '로미타피드'가 항암 효과까지 있음을 확인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인공지능에 기반한 약물 가상 스크리닝 기술을 이용해 이런 성과를 냈다. 기존 약물의 새로운 적응증을 찾는 약물 재창출은 신약 개발에 투입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이지만, 모든 약물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어려움이 있다. 연구팀은 가상 스크리닝 기술을 이용, 3천391개 약물 가운데 엠토르 단백질 활성 저해 능력이 있는 약물만 신속하게 선별할 수 있었다. 엠토르 단백질은 암 발생과 진행에 핵심적인 역할을 해, 제약사들은 엠토르 단백질 저해제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연구팀은 엠토르 단백질의 활성을 담당하는 효소 활성부위를 3차원적으로 구조 분석하고, 인공지능 기반 유효 결합 판별 기술을 이용해 로미타피드의 항암 효과를 예측해냈다. 실제로 대장암 환자에서 유래한 암 장기유사체(오가노이드)에 로미타피드를 처리했더니 암세포가 사멸했다. 연구 성과를 담은 논문은 국제 학술지 '세포 사멸과 질병' 온라인판에 지난달 게재됐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난치성 피부 질환인 판상 건선(plaque psoriasis) 치료제로 포스포디에스테라제4(PDE4) 억제제 계열의 '로플루밀라스트 0.3%' 피부 크림 '조라이브'(Zoryve)를 승인했다. 건선은 피부에 생긴 붉은 반점 위에 비늘 모양의 하얀 각질층이 두껍게 쌓이는 만성 피부 질환으로 판상 건선이 80%를 차지한다. FDA는 12세 이상의 경증 내지 중증 판상 건선 환자의 치료에 조라이브를 사용할 수 있도록 승인했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지난 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아큐티스 바이오테라퓨틱스(Arcutis Biotherapeutics) 사 제품으로 하루 한 번씩 건선 피부에 도포하는 이 크림은 중증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치료제로 승인된 경구용 로플루밀라스트와 동일한 활성 성분이 들어있다. 조라이브는 여러 차례의 임상시험에서 치료가 어려운 부위(무릎, 팔꿈치), 민감한 부위(얼굴, 생식기), 피부가 접히는 부위(겨드랑이, 유방, 복부)의 치료 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차례의 3상 임상시험에서는
2형 당뇨병 표준치료제인 메트포르민(metformin)이 조울증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조울증은 기분이 상승한 상태인 조증(躁症)과 기분이 저조한 상태인 울증(鬱症)이 번갈아 가며 나타나는 정신장애다. 그래서 공식 명칭이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다. 메트포르민은 간(肝)의 포도당 생성을 감소시키고 세포의 인슐린 민감성을 높임으로써 당뇨병을 치료한다. 캐나다 댈하우지(Dalhousie) 대학 의대 정신의학 전문의 신시어 캘킨 박사 연구팀은 메트포르민이 조울증 환자의 인슐린 저항(insulin resistance)을 개선, 조울증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 의대 조울증 외래 클리닉 실장인 클라우디아 발다사노 박사에 따르면 조울증 환자의 50% 이상이 인슐린 저항이 있다고 한다. 그 이유는 조울증 환자는 대개 과체중이거나 비만으로 2형 당뇨병 위험이 높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25년 이상 조울증이 계속되고 있는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에서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환자들은 90% 이상이
우울증은 '행복 호르몬'으로 알려진 감정 조절 신경전달 물질 세로토닌 불균형이 원인이라는 통설을 정면으로 부인하는 반론이 제기됐다. 우울증은 세로토닌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세로토닌을 증가시키는 선별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계열의 항우울제가 널리 쓰이고 있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정신의학 전문의 조애나 몬크리프 교수 연구팀은 우울증이 세로토닌 분비량 감소 또는 세로토닌 활동 저하 같은 세로토닌 불균형으로 발생한다는 세로토닌 원인설에 반론을 제기했다고 일간 텔레그래프 인터넷판이 최근 보도했다. 지난 수 십 년 동안 발표된 수많은 관련 연구 결과들을 봐도 이 이론을 입증할만한 확실한 증거를 찾을 수 없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우울증 치료에는 1990년대부터 뇌의 신경전달 물질 세로토닌의 불균형을 약으로 조절해야 한다는 이론에 따라 세로토닌을 활성화하는 항우울제가 사용돼 왔지만 이는 아무런 근거가 없다고 연구팀은 주장했다.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 결과들을 보면 수 천 명의 우울증 환자와 우울증이 없는 건강한 사람들의 세로토닌 분비량을 비교해
밤에도 좀처럼 기온이 떨어지지 않는 '열대야'가 이어지면서 밤새 잠들지 못한 채 뒤척이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열대야를 이겨내려고 시원한 맥주를 들이켜거나 격렬한 운동으로 땀을 내는 사람이 있지만, 술이나 과한 운동은 도리어 숙면을 방해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열대야를 극복하고 숙면하는 방법을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유진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봤다. ◇ "에어컨은 각자 잠들기 적정한 온도보다 2∼3℃ 높게" 후텁지근할 때는 왜 잠들기 어려운 걸까. 당장 높아진 외부 온도에 적응하기 위한 체내 온도조절 중추가 가동돼 신경이 예민해지고, 높은 습도로 인한 불쾌감까지 더해지면서 수면을 방해하기 때문이라는 게 의학계의 답변이다. 우리 몸은 체온을 낮추려고 땀을 배출하는데 한여름에는 공기 중에 습기가 많아 땀이 잘 증발하지 않고, 땀이 증발하지 않으니 체온 조절이 되지 않는 상황이 된다. 즉, 밤에 온도와 습도가 높아 체온 조절이 안 되다 보니 잠이 좀처럼 오지 않고 잠들더라도 깊이 자지 못한다. 이 교수는 "기본적으로 수면은 체온 조절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환경적인 온도에도 영향받기 쉽다"며 "너무 덥거나, 춥거나 하는 등 본인이 주관적으로 불편하다고 느끼는 온도에
영국 아스트라 제네카 제약회사가 뇌종양 치료제로 개발한 실험 신약(ADZ 1390)이 척수 부상 회복에 놀라운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ADZ 1390은 '운동실조 모세관 확장증 돌연변이 키나제 억제제'(ATM kinase inhibitor)로 현재 미국과 영국의 여러 의료기관에서 뇌졸양 치료제로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임상시험은 2024년 5월에 끝날 예정이다. 영국 버밍엄 대학 의대 신경과 전문의 주바이르 아메드 교수 연구팀은 ADZ 1390이 척수 부상 생쥐 모델의 감각과 운동 기능을 회복시켰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UPI 통신이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먼저 ADZ 1390이 시험관에서 배양한 신경세포의 성장을 자극하고 DNA 손상에 대한 반응을 조절하는 ATM 키나제 경로(pathway)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연구팀은 이어 척수가 손상된 생쥐에 ADZ 1390을 경구 투여했다. 그러자 ATM 키나제 경로가 크게 억제되면서 손상된 척수 부위 넘어 신경이 재생되고 재생된 신경은 손상된 부위를 건너서 전기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생쥐는 4주도 안 되어 척수가 손상되지 않은 생쥐와
근감소증 상태의 노인이 필수 아미노산인 '류신'(Leucine)을 꾸준히 섭취하면 근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서울대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과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 공동 연구팀(이상윤·임재영 교수)은 근감소증으로 진단된 노인이 류신 성분 영양보충제를 꾸준히 섭취한 후의 근력 변화를 관찰한 국제학술지 연구논문 6편을 메타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확인됐다고 12일 밝혔다. 류신은 인체의 근육합성 과정에서 단백질 분해를 막고 합성을 촉진해 체내 근육량을 유지하거나 늘리는 역할을 한다. 체내에서 자연 생성되지 않아 달걀과 우유 등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이나 별도의 보충제를 통해서만 섭취할 수 있다. 연구팀은 연구에 참여한 노인 699명을 류신 보충제를 먹는 그룹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눠 근육량과 운동능력 등의 근감소증 지표를 평가했다. 이 결과 두 그룹 간 근감소증 점수(표준화된 평균차, SMD) 차이는 0.939점으로, 류신 보충제 섭취 그룹에서 근육량과 운동능력 등 근감소증을 진단하는 주요 지표가 크게 개선되고, 근력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류신 성분이 노년기 근감소증을 개선하고 근력을 강화하
물가상승세가 뚜렷한 가운데 감기약 1위 제품 '판피린'의 가격 인상이 예고됐다. 12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동아제약은 10월 1일자로 마시는 감기약 판피린의 약국 공급가를 12.5% 인상하기로 했다. 2017년 9월 이후 5년 2개월 만의 가격 인상이다. 동아제약 관계자는 "약국과 소비자들을 고려해 가격 인상을 최대한 늦춰왔지만 원재료 및 인건비 등 지속해서 비용이 상승해 불가피하게 가격 인상을 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공급가 인상에 따라 약국에서 판매되는 가격도 오를 전망이다. 약국은 약사가 일반의약품 가격을 자율적으로 결정해 판매할 수 있는 곳이어서, 소비자가 약국에서 지불하는 일반의약품 가격은 약국별로 다르다. 현재 약국에서는 통상 20㎖짜리 판피린 5병을 한 상자에 담아 2천500원∼3 천원 정도에 판매한다. 판피린은 1961년 출시된 감기약으로, 일반인들에게는 '감기 조심하세요~'라는 광고로 친숙한 일반의약품이다. 의약품 시장조사 기관 아이큐비아의 감기약 부문 판매액 기준으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 연속 판매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판피린은 현재 약국용 액상 제형과 편의점용 알약 제형 등 두 가지 종류로 나온다. 이번 가격 인상은 약국
각성제 메틸페니데이트(제품명: 리탈린) 같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에 쓰이는 노르아드레날린 제제(noradrenergic drugs)가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에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ADHD는 유달리 주의력이 떨어지고 산만하며 행동이 지나치게 활발하고 충동 조절과 행동 통제가 안 되는 일종의 정신 장애로 소아 또는 청소년들에게 흔히 발생하지만, 요즘엔 성인 환자들도 적지 않다. 중추신경 자극제인 메틸페니데이트는 주의력과 행동을 조절하는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노르아드레날린을 활성화한다. 영국 임피어리얼 칼리지 런던(ICL), 케임브리지 대학,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의 공동 연구팀은 ADHD 치료에 쓰이는 노르아드레날린 제제가 치매 증세를 다소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일간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1980~2021년 사이에 발표된 노르아드레날린 제제가 알츠하이머 치매와 치매의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MCI: mild cognitive impairment)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19편의 연구 논문 자료
편두통 발작 예방약 엡티네주맙(제품명: 바이엡티)이 편두통 발작 빈도를 상당히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 의대 신경과 전문의 메수드 아시나 교수 연구팀은 전에 편두통 예방 치료에 여러 번 실패한 적이 있는 편두통 환자들에게 엡티네주맙이 편두통 발작 빈도를 월평균 최대 5일 이상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했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덴마크의 룬드벡 제약회사 제품인 엡티네주맙은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를 표적으로 하는 단일 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로 같은 계열인 애모빅(암젠 제약), 앰갈리티(일라이 릴리 제약), 아조비(테바 제약)와 함께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편두통 예방약으로 승인을 받았다. 엡티네주맙은 정맥 주사제이고 다른 3가지 약은 피하주사제이다. 엡티네주맙은 여러 번의 3상 임상시험에서 이미 효과가 입증됐지만 과거에 치료제가 듣지 않았던 경험이 있는 편두통 환자들이 대상이 된 임상시험은 없었다. 이번 임상시험(phase IIIB DELIVER)은 지난 10년 사이에 편두통 예방 치료에
항우울제 이미프라민과 조울증, 조현병 등에 사용되는 항정신병 제제 올란자핀(제품명: 자이프렉사)이 알츠하이머 치매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콜로라도 대학 의대 신경학 전문의이자 알츠하이머병·인지기능 센터(Alzheimer's and Cognition Center) 소장인 헌팅턴 포터 박사 연구팀은 이 두 기존 약물의 이러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동물실험을 거쳐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을 크게 높이는 APoE4 변이유전자의 작용을 차단할 수 있는 약을 기존의 약제에서 찾아왔다. 지금까지 수십 년에 걸친 치매 치료제 개발 노력에도 불구하고 효과가 확실한 약이 아직 나오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 결과들에 의하면 APoE4 변이 유전자는 치매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뇌 신경세포의 독성 단백질 베타 아밀로이드 펩타이드를 신경독성을 지닌 소중합체(oligomer)와 미세섬유(fibril)로 전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베타 아밀로이드의 이러한 연쇄반응을 억제하면 신경 퇴행과 그로인한 치매 위험을 줄이거나 막을 수 있을지 모른다고 연구팀은 판단
국내 제약사들이 질병을 일으키는 세포에 정확히 약물을 전달하는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다. 27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메신저리보핵산(mRNA) 신약, 차세대 항암제 카티(CAR-T) 등 질병을 일으키는 세포에 핀셋처럼 작용하는 치료법이 등장하면서 약물 전달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유한양행[000100]은 최근 미국 신시내티 대학 이주엽 교수 연구팀과 지질나노입자(LNP, Lipid NanoParticle) 기술을 개발한다고 밝혔다. LNP는 약물이 세포막을 통과해 세포질 안에서 작용하도록 하는 전달체다. 유한양행 관계자는 "mRNA 신약 등 기술적으로 앞선 신약의 경우 이전과는 다른 약물 전달 방법이 필요하다"며 "개발할 LNP 기술을 회사의 어떤 약과 접목할지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대웅제약[069620]도 코로나 백신·치료제로 쓰인 mRNA가 면역항암, 당뇨 등 대사질환 치료제에도 유용할 것으로 보고, 폐나 뇌 등을 표적으로 하는 '선택적 장기 표적형' LNP 기술을 개발하겠다고 최근 밝힌 바 있다. 그러나 LNP 기술에도 한계는 있다. 한국바이오협회 박봉현 책임연구원은 "LNP는 보통 정맥 내로 주사되면 간세포로 흡수돼 간 이외의 장기로 전
감염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피부 고유의 상태·감각을 유지할 수 있는 피부일체형 항균 나노망사(mesh) 패치가 개발됐다. 감염병연구센터 권오석 박사팀이 일본 동경대 타카오 소메야 교수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김재준 박사팀 등과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한 이 패치는 신축성 고분자 망사 나노섬유에 항균성 물질인 구리를 코팅했다. 이 패치에 노출된 대장균 박테리아는 1분 뒤 99.999%가, 인플루엔자A 바이러스도 10분 뒤 같은 수준으로 소멸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반복된 사용에도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는 등 높은 안정성을 보였다. 또 피부에 달라붙은 상태에서도 구리 나노망사의 다공성 구조 덕에 피부 고유 습도와 열적 감각을 유지할 수 있다. 알코올류를 이용한 소독은 일시적으로 병원균을 제거할 수는 있지만, 이후 감염원에 다시 노출되는 경우 재오염을 막을 수 없고 수분 증발로 피부를 건조하게 만드는 단점이 있다. 위생장갑 등 보호 제품을 착용하는 때도 피부는 보호할 수 있지만, 안쪽에 땀이 차면 피부감각을 떨어뜨린다. 권오석 박사는 "항균성이 잘 알려진 구리 나노구조에 피부 일체화를 가능하게 하는 나노망사 기술을 더한 융합형 연구성과"라며 "피부를 감염성 병균들
암과 중증·희귀질환으로 투병 중인 환자 10명 중 4명 이상이 과도한 약값 부담 때문에 치료를 중단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회장 김철중)는 21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환자 중심 항암제·희귀질환 혁신 신약, 바람직한 정책 방향'을 주제로 포럼을 열어 이런 내용의 환자 대상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개선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조사는 암(100명), 희귀질환(115명), 기타 중증 만성질환(35명)을 대상으로 했다. 응답은 환자가 직접 하거나, 가족이 대신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62.8%(157명)가 치료 과정에서 가장 힘든 부분으로 '경제적 요인'을 꼽았다. 특히 환자 10명 중 4명이 넘는 44.0%(110명)가 약값 부담 등의 이유로 실제 치료를 중단한 경험이 있었다고 응답했다. 암과 중증·희귀질환에 사용되는 신약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안전성과 유효성을 인정받은 이후에도 건강보험급여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약제 급여 적정성 평가'를 거쳐야 하므로 비싼 약값을 환자가 고스란히 감당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적절한 치료제가 있는데도 비싼 치료비를 감당하지 못해 치료를 시도하지 못하거나 중간에 치료를 중단하는 환자가 생길 수밖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애브비(AbbVie) 제약회사가 개발한 리산키주맙(제품명: 스카이리지)을 난치성 염증성 장 질환인 크론병(Crohn's disease) 치료제로 승인했다. 크론병은 궤양성 대장염(UC)과 함께 2대 염증성 장 질환의 하나로 소화기관 전체에서 발생할 수 있다. 대장과 소장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발병하는 경우가 많고 그다음으로 대장, 회장 말단부, 소장 등에서 발생한다. 염증성 장 질환은 면역체계가 대장(궤양성 대장염) 또는 주로 소장(크론병)을 표적으로 오인, 공격함으로써 장 점막에 다발성 궤양과 출혈, 설사, 복통을 일으키는 만성 난치성 장 질환이다. 완화-재발이 반복하며 진행된다.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에 따르면 FDA는 관해 유도(induction)와 관해 유지(maintenance) 3상 임상시험 결과를 토대로 리산키주맙의 판매를 승인했다고 애브비 제약회사가 발표했다. 관해 유도 임상시험(ADVANCE, MOTIVATE)에서는 리산키주맙이 투여된 실험군이 불과 4주 만에 임상적 반응과 관해(증상 완화)가 나타났다. 12주에는 크론병 활성도 점수(Crohn's disease activity 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