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늘 없는 미세침 패치, 백신 효과·안전성 주사와 비슷"

英 연구팀 "자원 부족 지역 영유아 백신 접종률 개선 기대"

 주사기 대신 많은 미세침이 배열된 마이크로 어레이 패치로 백신을 투여할 경우 주사를 이용해 접종할 때와 유사한 수준의 강력한 면역반응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영국 런던 위생·열대의학 대학원(LSHTM) 에드 클라크 교수팀은 2일 의학 학술지 '랜싯'(Lancet)에서 성인과 영유아 280여 명을 대상으로 홍역·풍진 백신을 마이크로 어레이 패치로 투여하는 임상 1/2상 시험을 통해 강력한 면역 반응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마이크로 어레이 패치는 표면에 배열된 미세한 돌기(침)를 통해 통증 없이 피부 아래로 백신을 전달하는 것으로, 의료 인력과 장비 등이 부족한 저소득 국가 등의 백신 접종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임상시험에 사용된 마이크로 어레이 패치는 마이크론 바이오메디컬이 개발, 제조했으며, 임상 시험 비용 등은 빌 앤드 멜린다 게이츠 제단이 지원했다.

그 결과 영아의 경우 마이크로 어레이 패치로 백신을 1회 접종한 후 93%(56명 중 52명)에서 홍역 면역 반응이 유도됐고 풍진은 100%(58명 중 58명)가 면역 반응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사기로 백신을 투여한 경우 면역 반응 비율은 홍역 90%(58명 중 52명), 풍진 100%(59명 중 59명)였다.

마이크로 어레이 패치 접종 시 이상 반응으로는 접종 부위가 붉어지는 증상이 유아 58%(60명 중 35명), 영아 95%(60명 중 57명)에서 나타났으나 모두 경미한 수준이었으며, 중증 또는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

연구팀은 마이크로 어레이 패치는 의료전문가가 투여할 필요가 없고 백신 냉장 보관 필요성을 없애거나 크게 줄일 수 있다며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같은 자원 부족 지역의 백신 접종률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클라크 교수는 "이 결과는 마이크로 어레이 패치로 백신을 영유아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음을 처음 입증한 것"이라며 "홍역 백신이 마이크로 어레이 패치 접종의 최우선 순위지만 다른 백신도 이 방법으로 투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 출처 : Lancet, Ed Clarke et al., 'A measles and rubella vaccine microneedle patch in The Gambia: a phase 1/2, double-blind, double-dummy, randomised, active-controlled, age de-escalation trial', https://www.thelancet.com/journals/lancet/article/PIIS0140-6736(24)00532-4/fulltext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국가 희귀질환 등록사업 시행…"질환별 지원체계 강화"
질병관리청은 희귀질환 정보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국가 희귀질환 등록사업'을 본격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17개 희귀질환 전문기관을 기반으로 국가 관리대상 희귀질환 1천314개의 발생·진단·치료 현황 등의 통계를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희귀질환 통계는 2020년부터 매년 연보 형식으로 공표돼 왔으나, 기존 통계는 건강보험 산정특례 등록자의 해당연도 정보만 반영해 전체 희귀질환자의 규모와 질환별 현황을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번 사업 시행으로 희귀질환자 정보와 치료제, 유전자 검사 정보 등을 의료현장에서 직접 수집해 산정특례 정보만으로는 알기 어려운 질환별 다양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됐다. 질병청은 다음 달 중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사업 설명회와 실무자 교육 등을 실시할 계획이다. 등록사업 지침과 시스템 사용 매뉴얼은 질병청 희귀질환 헬프라인 누리집(www.helpline.kdc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향후 국내 희귀질환자를 전수 등록하기 위해 참여 의료기관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한 국가 통계를 생산해 질환별 맞춤형 지원체계 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사회적 건강과 스트레스
필자는 지난 칼럼에서 스트레스 다스리기에 관해 강조한 바 있다. 이번 칼럼에서는 그것이 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추가로 더 자세히 언급하고자 한다. 대한민국은 현재 개인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건강'의 위기가 심각해 총체적 개선방안 모색이 시급하다. '나'만 있고 '우리'는 없는 사회로 가고 있어 그 과정에서 고립된 개인의 스트레스가 심화하고 있다. OECD 자살률 1위, 항생제 남용 1위, 낮은 행복지수 등 한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은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뿐만 아니라 사회적 건강까지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과거 경제 제일주의에 근거해 초경쟁적으로 살아온 결과, 미세먼지, 화학물질 오남용(ex-가습기 살균제 사건), 분노조절장애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복합적으로 발생해 개인의 삶의 질을 저하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SNS의 과도한 사용은 이러한 문제점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다. 많은 정신분석학자는 SNS에서 사람들이 흔히 자신의 좋은 모습만 보여주는 경향이 있어 이를 접하는 사람들은 타인과 비교하며 자존감 하락과 스트레스, 우울증을 경험하기 쉽다고 경고한다. 특히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들에게 더욱 심각한 문제로 이어진다. 필자는 SNS가 만

메디칼산업

더보기